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북한산

기사입력 2020-03-23 15:09 기사수정 2020-03-23 15:09

▲북악산 도시숲 종합안내도(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
▲북악산 도시숲 종합안내도(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

북한산은 서울과 경기도에 접해 있으면서 자연경관이 뛰어나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서울시 도봉구, 강북구, 성북구, 종로구, 은평구 등 5개 구와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등 3개 시, 모두 8개 시, 구가 걸쳐있다. 지난 20일 국민대학교 앞에서 출발하여 북한산 전망대까지 올라가며 생태계를 살펴봤다.

▲북한산 입구에 설치된 절간판(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 입구에 설치된 절간판(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 전망대를 올라가는 중간 지점에는 절이 많이 포진하고 있다. 요즘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신도들의 발길이 많이 줄었다고 한다. 북한산 숲 체험장이 있는 곳에서 전망대까지는 1시간 30분 정도가 걸렸다. 올라가는 길에 야생화가 자라고 있고 맑은 물이 흐르는 개울도 여러 곳 있다. 북한산 기온이 시내와 비교하여 다소 낮아서 야생화가 개화하는 시기도 시내보다 5일에서 10일 정도 늦다.

북한산에서 자연의 생태계가 살아 숨 쉬는, 곳을 여러 곳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더욱 맑게 잘 관리되길 바랄 뿐이다.

▲북한산 중간지점의 맑은 개울(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 중간지점의 맑은 개울(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개울 위쪽에서 발견한 개구리 알(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개울 위쪽에서 발견한 개구리 알(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개울 중앙 하단에 있는 도롱뇽 알(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개울 중앙 하단에 있는 도롱뇽 알(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가장 먼저 북한산 개울에서 개구리 알과 도롱뇽 알을 볼 수 있었다. 북한산 개울의 물이 깨끗하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것이다. 개구리와 도롱뇽은 맑고 깨끗한 물에서 알을 낳는다. 북한산 전망대를 올라가는 중간 지점에 있는 5개 정도의 개울 중에 3개의 개울에서 개구리 알과 도롱뇽 알을 낳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구리 알에서 50 ~ 75일 정도 지나서 개구리가 되고 도롱뇽 알은 40 ~ 50일 정도 지나서 도롱뇽이 된다.

▲북한산에서 자생하는 바위취(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에서 자생하는 바위취(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에서 자라는 방가지똥(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에서 자라는 방가지똥(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에서 겨울을 난 뽀리뺑이(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에서 겨울을 난 뽀리뺑이(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 음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긴병꽃풀(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 음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긴병꽃풀(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냉이와 비슷하게 생긴 지칭개(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냉이와 비슷하게 생긴 지칭개(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올라가는 곳곳에 야생화가 자라고 있었다. 시내보다 북한산 기온이 다소 낮아서 새싹이 나고 꽃이 피는 시기가 늦지만, 곳곳에 신기한 모습으로 자라는 야생화를 볼 수 있었다. 산수유, 생강나무, 산벚나무, 진달래, 산철쭉과 바위취, 방가지똥, 뽀리뱅이, 방가지똥, 긴병풀꽃, 지칭개 등이 꽃을 피우려고 꽃봉오리를 맺고 있다.

▲북한산에 있는 딱다구리집(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북한산에 있는 딱다구리집(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텃새 동고비(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텃새 동고비(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직박구리(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직박구리(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상모솔새(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상모솔새(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다양한 새들도 둥지에서 나와 활기를 찾는 모습이었다. 시내에서는 좀처럼 새들을 볼 수 없지만, 북한산에서는 새들을 볼 수가 있었다. 추운 겨울을 지내기 위하여 나무 위에 지은 둥지와 까치집 들을 여러 곳에서 확인했다. 동고비, 직박구리, 상모솔새 등을 보았다. 새들이 활동하는 모습을 먼발치에서 사진을 찍었다.

▲재선충액 투입(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재선충액 투입(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재선충약 투입(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재선충약 투입(사진 홍지영 동년기자)

성북구청 녹지과에서 북한산 주변 소나무에 재선충약을 투입하는 모습도 봤다. 재선충은 소나무 등의 침엽수에 기생하여 나무를 갉아먹는 선충이다. 큰 소나무의 밑동에 구멍을 내고 약을 투입했다. 봄에 한번 나무에 약을 투입하면 1년 동안 약효가 있어서 내년 봄까지 예방이 된다.

북한산에서 자라는 꽃은 평지보다는 다소 늦게 피지만 더 아름답다. 4월 초순에서 4월 중순이 되면 북한산에서는 개나리, 목련, 산수유, 생강나무, 진달래, 산철쭉과 애기똥풀, 민들레, 복수초, 긴병풀꽃 등의 꽃을 볼 수 있다. 북한산이 자연 생태계가 살아 숨 쉬는, 곳으로 길이 보전되길 기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