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잠 못자면, 치매 위험 신호?

기사입력 2020-07-14 08:00 기사수정 2020-07-14 08:00

[의학칼럼] 노년과 수면장애

우리는 수면으로 인생의 3분의 1을 보냅니다. 수면은 단순한 휴식을 넘어서 신체와 정신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잠이 부족하거나 수면의 질이 나빠지면 신체와 정신활동에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각종 질환에 걸릴 위험성도 높아지고 일상생활에도 큰 장해가 따릅니다.

나이가 들면 깊은 잠을 의미하는 서파 수면이 감소합니다. 멜라토닌 수치의 감소로 깊은 잠을 못 이루고 다양한 수면 관련 장애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줄어든 수면 시간과 자다가 자주 깨는 수면의 질적 저하가 치매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 잠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면장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면증

가장 흔한 수면 질환으로, 노년층의 30~50%가 경험합니다. 불면증이 생기면 낮에 맑은 정신을 유지하기 어렵게 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도 합니다. 나이가 불면증의 원인이 되는 경우보다는 주로 내과적 문제나 만성질환과 동반되어 발생하기 쉽습니다. 심장질환, 뇌졸중, 고관절 골절, 우울증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이외 야간다뇨, 수면구조 변화, 일주기 리듬 변화, 일조량 감소, 신체활동 감소 등 수면과 관련된 요인이 작용하며, 수면무호흡증을 비롯한 다양한 수면장애도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효과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오남용 및 부작용 등의 위험성이 높아 노년층은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여러 연구를 통해 인지행동치료가 불면증의 우선적 치료임이 입증되었습니다. 자극 조절, 수면 제한, 수면 위생, 이완 치료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 수면무호흡증

일부 환자는 자다가 숨이 막히거나 코 고는 소리에 잠이 깨지만, 대부분은 수면 중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같이 잠을 자는 배우자가 코골이나 무호흡 상태를 보고 환자를 병원에 데려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피곤해서 낮에 자주 졸거나 장거리 운전 또는 회의를 하다가도 졸음이 오는 등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합니다. 두통, 입마름 증세와 함께 집중력과 기억력 감소도 일어납니다. 밤에 화장실에 자주 가거나 발기부전이 있을 때도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반복적 산소포화도 감소와 무호흡과 저호흡에 동반하는 심박동 증가는 고혈압을 유발하거나 악화하며, 뇌경색 및 심장동맥 질환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발병률도 높입니다. 심부전, 신부전, 뇌경색을 동반한 환자에게서 보일 수 있는 중추성 수면무호흡증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감별 진단 및 정도를 파악하려면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합니다. 2018년 7월부터 수면다원검사 및 양압기 치료가 급여 대상이 되면서 많은 환자가 혜택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하지불안증후군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과 함께 불편함, 통증이 동반됩니다.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처럼 가만히 있을 때 증상이 심해지고 다리를 움직이면 줄어듭니다. 저녁이나 밤에는 증세가 악화해 불면증의 숨은 원인이 됩니다.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 ‘벌레가 기어가는 느낌’, ‘다리 근육이 무거운 느낌’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허리나 관절, 혈액순환 문제로 잘못 알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하지불안증후군은 철분의 대사와 도파민계 이상을 주요 병태생리로 하는 만성신경계 질환입니다. 따라서 전문의의 진료와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 렘수면행동장애

꿈이 생생해 잠꼬대가 심하고 꿈의 내용을 실제 행동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행동 양상은 아주 다양한데, 더러 과격한 행동으로 함께 잠을 자는 배우자가 다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도 증상 조절이 비교적 잘 되지만,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 뇌전증발작 등을 감별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렘수면행동장애를 가진 환자를 장기간 추적 관찰했더니 약 75%가 파킨슨 병 또는 루이소체 치매 등 퇴행성 신경계 질환을 일으켰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억력 저하, 손떨림, 행동이 느려지거나 보폭이 감소하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보다 적극적인 신경과 진찰 및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노화와 식습관이 만드는 장 건강 경고신호 ‘게실 질환’
    노화와 식습관이 만드는 장 건강 경고신호 ‘게실 질환’
  • “헬스장은 노시니어존?” 80대까지 운동하고 싶다면 여기로!
    “헬스장은 노시니어존?” 80대까지 운동하고 싶다면 여기로!
  • 저소득층, 건강도 불평등… ‘부자 노인’, 9년 더 산다
    저소득층, 건강도 불평등… ‘부자 노인’, 9년 더 산다
  • 허리·턱·피부 뱀처럼 유연하게… 을사년, 시니어 건강 관리법은?
    허리·턱·피부 뱀처럼 유연하게… 을사년, 시니어 건강 관리법은?
  • ‘고혈당 쇼크 주의’ 꾸준한 혈당 관리가 중요한 이유
    ‘고혈당 쇼크 주의’ 꾸준한 혈당 관리가 중요한 이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