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한때는 투수였다

기사입력 2020-10-21 09:50 기사수정 2020-10-21 09:50

가을 야구가 성큼 다가왔다. 그래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각 팀들은 일정에 따른 컨디션 조절을 위해 선수들을 세심하게 관리한다. 그중 감독들이 가장 신경 쓰는 것은 투수 운용이다. 야구는 투수 놀음이기 때문이다.

(사진 정원일 시니어기자 )
(사진 정원일 시니어기자 )

투수가 공격한다

투수는 공을 던지고 타자는 공을 배트로 때린다. 하지만 알고 보면 거꾸로 투수가 타자를 공격한다고 볼 수 있다. 타석에 들어서면 타자는 육체적 위협을 느낀다. 강속구가 날아든다. 쉭~ 하고 공기를 가르는 소리도 나고 중간에 멈췄다가 다시 날아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 꿈틀거리기도 하고 휘어지기도 한다. 그런 공에 맞으면 시퍼렇게 멍이 들고 붓는다. 몇 번 맞으면 공을 치기보다 일단 안 맞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까지 든다. 투수는 일부러 타자에게 위협구를 던질 수도 있다. 그러나 화가 난 타자가 날아오는 공을 때려서 투수를 맞춘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투수 마운드도 평지보다 25cm 정도 높다. 그러니 높은 마운드에서 2m 신장에 가까운 정통파 투수들이 긴 팔을 뻗어 던지게 되면 2층에서 내리 꽂는 느낌이 든다.

다음으로는 승률이다. 보통 3할을 치면 매우 우수한 타자이고 2할 타자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다섯 번 싸우면 타자가 겨우 한 번 이긴다는 얘기다. 만약 타자가 출루를 하더라도 견제구로 아웃시킬 수 있는 기회까지 있다. 그리고 매번 공을 던질 때마다 중계 화면을 채우는 이도 투수다. 그러니 야구에서는 투수가 주인공일 수밖에 없다.

반면 포수는 투수가 던지는 공을 받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단순히 공만 받는 것이 아니라 야구 경기에서 가장 다양한 역할을 한다. 상대 타자를 분석하고 기억해 투수에게 사인을 내고, 수비수들의 위치를 교정해주며, 주자에게 견제구를 날린다. 무거운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땀을 흘리며 경기 내내 쭈그리고 앉아 있어야 한다. 파울볼에 맞아 멍이 들고, 홈에 쇄도하는 주자와 부딪혀 다치고, 강속구를 받느라 성한 손가락이 없다.

(사진 정원일 시니어기자 )
(사진 정원일 시니어기자 )

투수에 4번 타자

어린 시절 동네 야구에서는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투수 포지션이 가장 인기가 좋았다. 승패를 결정짓는 주인공이었고 가장 재미있는 자리였다. 반면에 심심한 자리는 외야수들이었다. 여간해서는 공이 외야까지 날아가는 경우가 없어서 우익수의 경우 글러브가 배당되지 않는 경우도 허다했다. 그러니 야구 경기를 계획하고 친구들을 소집하는 역할을 하는 친구는 무조건 투수에 4번 타자 자리를 노렸다.

그런데 포수는 주인공도 아니었고 힘만 들었으며 위험하기까지 했다. 보호 장비도 없던 시절, 달랑 마스크 하나 쓰고 나머지는 운에 맡겼다. 그래서 배려심이 많거나 튼튼한 친구들이 포수 역할을 했다. 기피하는 자리라서 일단 역할이 한 번 주어지면 안경알이 깨지거나 파울볼에 급소를 맞아 쓰러지기 전까지는 좀처럼 벗어나기가 어려웠다.

붙박이 포수로 전락

어린 시절 나도 투수에 4번 타자였다. 그리고 직장이 학교였으므로 평생 학생들과 야구를 할 때도, 클럽에서 야구를 할 때도, 당연히 투수에 4번 타자였다. 그런데 평생을 지켜온 내 정체성이 갑자기 무너졌다. 바로 손자들이 내 자리를 빼앗았기 때문이다. 이 녀석들은 무조건 자기네들이 투수이고 4번 타자를 해야 한다. 그렇게 나는 단번에 포수로 전락했다. 그것도 타격 기회 한 번 없는 수비 전용 붙박이 포수다. 손자가 던지면 다른 손자가 친다. 공이 멀리 가면 주워오는 것도 당연히 내 몫이다. 그러니 포수에서 외야수 역할까지 하는 동선을 오가야 한다. 한강 공원에서 손자가 친 굴러간 공을 주우러 가려면 뙤약볕에서 왕복 200m를 뛰어야 한다. 게다가 비위도 잘 맞춰야 한다. 잘못을 지적하면 안 되고 무조건 박병호 같은 홈런타자, 류현진 같은 투수라고 응원해줘야 한다. 아무리 학생용 안전 야구공이라 할지라도 파울볼에 맞으면 아프지만 즐거운 분위기를 깨면 안 되니 참아야 한다. 또 계속 쭈그리고 앉아 공을 받아야 하는 것도 고역이다. 어쩌다 내가 한 번 타자로 나선 적이 있다. 큰손자가 던진 공을 때려서 멀리 보냈다. 나는 손자들이 홈런에 열광할 줄 알았다. 그런데 그들은 공연히 공을 멀리 보내 주워오는 시간 동안 자기네들을 심심하게 만든 나에게 싸늘한 시선을 보냈고 그 후론 타격의 기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았다.

(사진 정원일 시니어기자)
(사진 정원일 시니어기자)

나는 아직도 투수다!

공원에서 활발하게 소리 지르며 야구를 하면, 다른 애들이 다가와 손자들에게 내가 누구냐고 묻곤 한다. 그럴 때면 애들이 “우리 할아버지야!”라고 으쓱대며 대답한다. 그러면서 손자들은 다른 애들 앞에서 갑자기 커브와 슬라이더 그립의 차이를 보여 달라고도 하고 타격 자세를 교정해 달라고도 한다. 그렇게 애들이 몰려 시합이 형성되면 큰손자가 어린 시절의 나처럼 투수에 4번 타자로 나선다. 나는 그제야 비로소 조용히 안전망 뒤로 빠져 앉는다.

육십 너머까지 손자들과 야구를 한다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고 마음먹지만, 어깨는 쑤시고 무릎은 천근이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3대를 아우르는, 가족이라는 팀을 이끄는 투수라고 다짐하며 오늘도 글러브에 왁스를 먹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