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다경 대신 신양다경을

기사입력 2021-02-10 09:06 기사수정 2021-02-10 09:07

[임철순의 즐거운 세상]

임철순 언론인ㆍ전 이투데이 주필

바야흐로 봄이다. 지난 3일이 봄이 시작되는 입춘(立春)이었다. 24절기 중 첫 번째인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로,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과 함께 사립(四立)으로 꼽히는 날이다. 옛날엔 한 해 동안 대길(大吉)·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갖가지 풍속이 있었지만, 지금은 입춘축(立春祝)만 붙이는 정도로 의미가 왜소해졌다.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이는 입춘축은 춘축(春祝) 입춘서(立春書) 입춘방(立春榜) 춘방(春榜)이라고도 부른다. 붙이는 위치에 따라 문구는 약간 다르지만, 가장 흔한 것은 역시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이다. 올해에도 입춘 며칠 전부터 이 문구를 여러 사람으로부터 받았다.

▲필자의 올해 졸필 ‘입춘대길 신양다경’(왼쪽), 작년엔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라고 썼다.
▲필자의 올해 졸필 ‘입춘대길 신양다경’(왼쪽), 작년엔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라고 썼다.

‘입춘대길’이라는 문구는 우리나라에서 시작돼 일본 중국으로 번졌다는 설이 있다. 이 말이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건 선조실록 26년 계사(1593) 12월 16일이다. “정원(政院, 승정원)이 아뢰기를 ‘오늘이 바로 입춘인데 아직 일이 안정되지 못해 춘첩자(春帖子)를 지어 올리지 못했습니다. ’立春大吉‘ 네 글자를 정성스럽게 써서 행궁(行宮)의 안팎에 붙이는 게 마땅하겠습니다’ 하니 ‘할 만하면 하도록 하라’ 했다.”[政院啓曰 今日是立春 而時未事定 春帖子不爲製進矣 精書立春大吉四字 帖於行宮內外宜當 傳曰 可爲則爲之]

나라가 망해가는 임진왜란 와중에 입춘이고 뭐고 흥이 날 리가 있나. 입춘을 축하하는 시를 새로 지을 여력도, 정신도 없으니 알기 쉽게 이 넉 자를 써서 임시 거소의 안팎에 붙이자는 이야기였다. 선조의 대답도 심드렁하기만 하다. 난 모르겠으니 할 수 있으면 해보라는 거 아닌가. 입춘대길은 이렇게 임시변통으로 만들어졌는데, 뜻밖의 대히트를 한 작품이 아닌가 싶다.

조선 후기의 문신 조명채(曺命采, 1700~1763)가 종사관으로 일본을 다녀와서 쓴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의 1748년(영조 24) 6월 9일 기록에 이런 내용이 있다. “연로 촌가에서 우리나라처럼 ‘입춘대길(立春大吉)’ 넉 자를 써서 붙인 것이 있는데, 그것을 보니 눈이 새로워진다.” 이게 입춘대길의 일본수출로 해석되는 사료인 것 같다.

입춘대길 건양다경은 立(설 립)과 建(세울 건), 春(봄 춘)과 陽(볕 양)이 잘 어우러지는 대구(對句)다. 건양다경은 어디에서 나온 말인가. 중국에서 온 건 아닌 것 같다. 건양은 1896년부터 1897년 8월까지 사용된 조선시대 최초의 연호다.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이때부터 태양력과 함께 건양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그러다가 이듬해 8월 14일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光武)로 바꾸어 8월 17일부터 사용했다. 고종은 황제가 됐다.

이렇게 건양은 겨우 1년 8개월 가까이 사용된 국호였다. 좋은 뜻 같기도 하지만 좁게 말하면 양력을 도입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런데도 건양다경이 입춘대길과 함께 고전처럼 오래 전승돼온 것은 앞서 말한 대로 잘 어울리는 대구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 대구는 농담거리로 회자되기도 한다. 어떤 호사가는 ‘입춘대길’에 대해 “봄에 남자의 물건이 서면 집안이나 부부에게 크게 길하다는 뜻”이라고 해석한다. ‘건양다경’도 같은 맥락에서 남성의 양물을 세운다는 뜻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되면 다경(多慶), 즉 자손이 번창하고 집안에 경사가 많아지는 건 당연한 일이라는 것이다.

건양다경이 출전이 모호하거나 망국의 연호인 게 분명하거나 성적 농담거리까지 된다면 굳이 그 말을 계속 쓸 필요가 있을까. 지난해 내가 소속된 서예단체 겸수회(兼修會)의 공부시간에 이미 이런 의문이 제기됐다. 입춘대길은 그대로 두고, 건양다경만 바꾼다면 뭐라고 하는 게 좋을까. 후보로 나온 게 초양(初陽)다경, 맹양(孟陽)다경, 가양(佳陽)다경, 시양(始陽)다경, 청양(靑陽)다경 등이다. 이중 청양은 청(靑)이 계절상으로 봄, 방위로는 동방을 가리키는 색깔이라는 점에서 만든 말이다.

▲서예가 하석 박원규 작 ‘입춘대길 신양다경’.
▲서예가 하석 박원규 작 ‘입춘대길 신양다경’.

하지만 가장 알기 좋고 발음도 쉬워 여러 사람의 지지를 얻은 것은 신양(新陽)다경이다. 겨울이 지나고 봄이 되어 새롭고 신선한 햇볕이 천지사방에 고루 퍼지는 입춘의 의미를 잘 담고 있다.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 겨울의 어둠과 추위에서 벗어나 새로 출발하는 생명의 활기를 느낄 수 있다. 성적 농담의 대상이 되는 말 대신 이걸 쓰기로 하자. 신양은 음력 11월을 달리 이르는 말이기도 하지만, 신춘(新春)과 같은 의미이다. 신(新)에는 처음이면서 세상을 다시 새롭게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새로워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