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연못을 벗 삼아 노닐기만 하였으랴?

기사입력 2021-04-08 11:02 기사수정 2021-04-08 11:02

[전통정원의 멋] 영양 서석지

국도를 벗어나 냇물 따라 이어지는 소로로 접어들자 풍경이 환하다. 물은 맑고, 물가 바위는 훤칠하다. 마을 동구, 냇가의 느티나무들은 또 어떻고? 늙었으나 우람하고 당당하다. 느티나무 아래로 흐르는 냇물은 연둣빛으로 순정하다. 경북 영양군 입암면 연당마을이다. 마을의 집들은 검정 기와를 올린 개량한옥 일색이어서 차분하다. 서석지(瑞石池)는 마을 한복판에 있다.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부용정과 함께 ‘조선의 3대 원림’이라 소문나면서 서석지를 보러 오는 사람들이 엄청 늘어났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나직한 대문을 통해 서석지로 들어서자 이제 조선이다. 조선 시대의 건축과 연못이 고스란히 남아 있으니 시간을 초월한 공간이다. 보수가 잦았으나 원형을 훼손하진 않았다. 조선 광해군 때의 선비 정영방(鄭榮邦, 1577∼1650)이 조성했다.

서석지는 이곳의 연못 이름이지만, 담장 내부의 별서 공간을 통틀어 서석지라 부른다. 자연을 바라보는 산림선비들의 눈엔 경계가 없었다. 눈에 보이는 모든 풍치를 내 것으로 삼았다. 정영방이 그랬다. 그는 서석지를 내원으로, 주변 일대의 산천경개를 외원으로 간주했다. 자연을 무한풍류의 대상으로 관조한 선비들이었으니 하늘의 달과 별빛인들 나의 것이 아닐 리 있으랴. 또 그들에겐 자연이 경전(輕典)이었다. 수신(修身) 교과서였다. 담벼락으로 내·외부를 가를 일이 아니었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정영방은 매우 신중한 캐릭터의 소유자? 그는 10여 년에 걸쳐 서석지를 구상했다. 이후 완성까지는 다시 17년이 걸렸다지? 풍수지리에 밝았던 그는 주변 산수의 형국을 면밀히 고려해 연못을 파고 정자를 지었다. 정자의 이름은 경정(敬亭)이다. 경(敬)! ‘섬김’이다. 매사 예를 다해 삼가고 섬기는 게 성리학자의 본분이자 이상이었다. 정영방은 퇴계학파의 문인. 정자를 짓더라도 분수에 넘쳐 도학자의 체통을 스스로 구기는 일을 할 리 없는 인물이었다. 정자보다 서재인 주일재(主一齋)를 먼저 지은 데에서 그의 됨됨이가 읽힌다. 음풍영월을 즐길 정자를 지을지라도 일단 공부부터 해두자! 그런 뜻으로 공부방부터 지었던 게 아닐까.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정영방이 한층 심혈을 기울인 건 연못이다. 터의 대부분을 연못 공간으로 활용했다. 조선의 연못은 네모꼴이 일반적이다. 서석지 역시 네모 모양이다. 괜히 네모가 아니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로 본 성리학적 자연관을 적용했다. 연못의 물은 동북쪽 귀퉁이에서 들어와 서남쪽으로 나간다. 이 수로의 방위 역시 조선 연못들이 공통으로 지닌 특징이다. 풍수를 중시했던 옛사람들은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물을 역수(逆水)로 봐 배제했던 거다. 이래저래 서석지는 전형적인 조선 연못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그런데 서석지엔 특별한 게 있다. 연못에 있는 90여 개의 크고 작은 돌들이 그렇다. 정영방은 못을 팔 때 나온 이 바윗돌들 일부에 이름을 붙였다. 생김새에 맞춰 물상의 이름을 주기도 했고, 도학의 이상세계를 표현해 명명하기도 했다. 이 명명보다 흥미로운 건 돌들과 못물이 어우러져 자아내는 미감이다. 정영방은 ‘돌엔 문기(文氣)가 있다’고 했다. ‘숨어 사는 군자를 닮았다’고도 했다. 돌을 동행할 만한 벗으로 삼았던 셈이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경정은 규모가 꽤 큰 정자다. 6칸 대청마루에 올라 내려다보는 연못 경관이 압권이다. 연꽃들 소담히 피어오르는 계절엔 아찔하리라. 꽃에 마음을 두고 은거의 고독과 허기를 달랬으리라. 그런데 성리학자의 유토피아를 상징적으로 구현한 게 원림이요 연못이라지만, 오직 은둔을 일삼노라면 삶이 맨송맨송해지니 유토피아고 뭐고 별 의미 없어진다. 허세꾼의 여흥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럼 무엇으로 허기진 마음을 채우나? 정영방에겐 공부가 처방이었다. 서재 주일재에 틀어박히는 날이 많았다. 서재 앞에는 소나무와 대나무 등 고상한 것들을 심어 족집게 레슨 교사로 삼았다. 아예 연꽃이 보이지 않도록 나무들로 못을 가린 건 독공(獨工)을 방해받고 싶지 않아서였을 테다.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정영방은 진사시에 붙었으나 한 번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이렇다 할 취직한 적 없이 살았다. 조선 양반들이야말로 ‘금수저’의 레전드였으니 요상할 거 없다. 밥벌이 걱정 없이 그저 무욕을 길잡이로 삼아 노닐 것 다 노닐되 공부에도 부끄럽지 않게끔 열을 내는 사람이라면, 그는 인생 최고봉에 오른 게 아닐까. 백수도 이쯤이면 진흙을 딛고 올라온 연꽃에 뒤지지 않는다.


답사 Tip

서석지가 있는 연당마을은 운치 있는 전통 마을이다. 돌담길 따라 한 바퀴 돌아볼 만하다. 아랫마을엔 정영방의 후손이 지은 양반 가옥 태화고택이 있다. 서석지 들머리에 있는 천변의 바위벼랑 석문(石門)도 빼어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군산의 섬 무리, 고군산군도… 중국 사신도 감탄한 절경
    군산의 섬 무리, 고군산군도… 중국 사신도 감탄한 절경
  • [카드뉴스] 올봄 부모님과 가기 좋은 여행지 5
    [카드뉴스] 올봄 부모님과 가기 좋은 여행지 5
  • 천사대교 건너 신안 가거들랑… 1004개 섬의 다른 이야기
    천사대교 건너 신안 가거들랑… 1004개 섬의 다른 이야기
  • “신년 계획 세워볼까?” 고요한 작은 시골 마을, 변산
    “신년 계획 세워볼까?” 고요한 작은 시골 마을, 변산
  • 유달산 기슭에 깃든 골목 이야기, 레트로 목포
    유달산 기슭에 깃든 골목 이야기, 레트로 목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