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초나 성묘할 때 쓰쓰가무시·유행성출혈열 조심해야

기사입력 2021-09-11 16:09 기사수정 2021-09-11 16:09

진드기와 쥐 통해 가을 전염병 감염…2주 내 이상 시 병원 찾아야

▲벌초와 성묘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9월부터 11월까지 가을 전염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나이가 많고 다른 질병이 있을수록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시니어들은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
▲벌초와 성묘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9월부터 11월까지 가을 전염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나이가 많고 다른 질병이 있을수록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시니어들은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

추석을 앞두고 벌초와 성묘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9월 가을에 야외에서 활동하면 진드기나 쥐를 통해 쓰쓰가무시병과 유행성출혈열 같은 가을 전염병에 감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김시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9~11월 야외에서 진드기나 쥐를 통한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면서 “벌초나 등산을 포함해 밖에서 일을 할 때는 긴소매나 긴 바지를 입으며 피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주 내 증상 발생 시 바로 병원 찾아야

쓰쓰가무시병은 얕은 풀밭에 사는 털진드기에 기생하는 오리엔티아 쓰쓰가무시균을 통해 발생한다. 외부 활동 후 1~3주인 잠복기가 지나 갑자기 오한이나 섭씨 40도에 가까운 고열과 두통 등이 나타난다. 이어 기침과 구토, 근육통, 복통, 인후염을 동반하며, 발진과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까만 괴사 딱지가 특별하게 생긴다. 대부분 진드기에 물린 지 모른 채 생활하다가 증상 발생으로 병원을 찾고서야 안다.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어 대부분 2주면 낫는다. 하지만 일부에게는 폐렴과 급성 신부전, 뇌수막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하게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률이 30~60%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다.

또 다른 가을 감염병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있다. 2009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감염병으로 SFTS 바이러스로 발생한다. 중국과 일본, 한국에서만 발생한다.

SFTS는 참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피참진드기가 매개체로 추정된다. 또 일부는 환자의 체액과 혈액이 노출되는 과정에서 2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 치료제와 예방백신이 없고, 치사율이 10~30%에 달할 정도로 높아 위험한 감염병이다.

보통 4~15일의 잠복기를 거쳐 섭씨 38도에서 40도에 이르는 고열과 혈소판 감소, 구토, 백혈구 감소 등을 동반한다. 중증에 일면 근육 떨림과 혼동, 혼수 등 신경계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건강한 사람은 대부분 가볍게 앓거나 자연적으로 낫는다.

한타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유행성출혈열은 들쥐의 타액과 소변, 분변이 마른 것이 공기에 떠다니며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신장의 염증과 급성 출혈을 유발해 ‘신증후군 출혈열’로도 부른다.

평균 2~3주의 잠복기를 거친 뒤 몸살이나 장염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일반 몸살이나 장염과 달리 피부 홍조와 점상 출혈, 결막 충혈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시간이 지나면서 발열기, 저혈압기, 소변량 감소, 소변량 증가, 회복기라는 5단계 과정을 보인다. 치사율이 2~7%로 알려져 있는데, 다행히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면 95% 이상 항체가 만들어진다.

또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쥐나 소, 돼지, 개의 소변에 노출돼 발생하는 렙토스피라증도 조심해야 한다. 렙토스피라증도 주로 9~11월에 발생한다. 고열과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 충혈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김시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야외활동 후에 발열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시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야외활동 후에 발열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나이가 많고 다른 질병이 있으면 야외활동 더 조심해야

쓰쓰가무시병과 유행성출혈열 같은 가을철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진드기나 들쥐가 있는 풀밭에서의 야외활동을 최소화해야 한다. 어쩔 수 없이 야외활동을 해야 한다면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한다. 또 일상복 대신 작업복을 입어 감염 가능성을 줄인다. 소매와 바지 끝은 단단히 묶고, 토시와 장화를 이용하면 좋다. 풀밭에 앉을 때는 돗자리를 이용하고, 쓴 돗자리는 꼭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풀밭에 눕거나 옷을 벗어놓지 않도록 하고, 용변도 삼간다.

집에 돌아오면 야외활동 중에 입었던 옷을 털어서 세탁한다. 바로 샤워나 목욕을 하고 머리카락이나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하게 확인한다.

김시현 교수는 “야외활동 후 2주 정도 지나 갑작스러운 고열과 함께 구토나 설사, 복통 같은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 검사와 진료를 받아야 한다”며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는 감염되면 사망률이 높아지므로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태풍이 지나간 자리, 감염병 주의해야
    태풍이 지나간 자리, 감염병 주의해야
  • KAIST-자생한방병원, “한의학 치료 고도화 위해 연구 협력”
    KAIST-자생한방병원, “한의학 치료 고도화 위해 연구 협력”
  • 각종 혈관질환 유발하는 ‘이상지질혈증’… 콜레스테롤이 문제
    각종 혈관질환 유발하는 ‘이상지질혈증’… 콜레스테롤이 문제
  • [카드뉴스] 뇌졸중 전 뇌가 보내는 마지막 신호
    [카드뉴스] 뇌졸중 전 뇌가 보내는 마지막 신호
  • 비염·소화불량·허리디스크로 한약 지어도 건강보험 적용
    비염·소화불량·허리디스크로 한약 지어도 건강보험 적용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