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는 사람에게는 이유가 있다 PART4] 철학이 있는 사람 ②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라이문드 로이어 센터장

기사입력 2017-02-13 09:57 기사수정 2017-02-20 09:25

“한 번 시작하면 끝장 보는 성격이 한의사로 만들었죠”

그때는 마치 기적과도 같았다. 백인 청년은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믿을 수 없었다. 좀 전까지 걷기 힘들었던 다리가 동양의 비술을 만나자 5분 만에 나아버렸다. 한의학과의 첫 만남이었다. 그 자리에서 그는 반드시 이 학문을 익히리라 마음먹었다. 하지만 주변의 만류가 심했다. 한의대에서 거절당하기도 했다. 그래도 그는 포기하지 않았고, 한의사 국가고시 사상 최초로 합격한 백인이 되었다.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라이문드 로이어(Raimund Royer·53) 센터장의 이야기다.

글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Studio Pic) obdlife@gmail.com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라이문드 로이어 센터장.(브라보마이라이프)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라이문드 로이어 센터장.(브라보마이라이프)
푸른 눈의 한의사. 많은 언론에서 라이문드 로이어 원장을 지칭하는 수식어다. 이 수식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를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편견이 보인다. 한의사라는 단어보다는 푸른 눈에 방점이 찍혀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결국 외국인으로 바라보는 시선. 그 시선으로 인해 그는 역경도 겪었고 혜택도 받았다.

오스트리아인인 그가 처음 한국에 온 것은 1987년. 무역회사에 다니던 그는 동양의 아시아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나라를 찾았고, 그중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가 눈에 들어왔다고.

“당시 한국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은 나라였어요. 1988년 서울올림픽 이전이었으니까 유럽에서 한국에 관한 정보는 전무했어요. 그렇게 무작정 서울에 도착했을 때 인상 깊었던 것은 젊은이들의 활기로 가득한 도시의 모습이었죠. 서울의 역동적인 모습은 알프스 산맥의 작은 동네 출신인 저를 사로잡았어요.”

한국에서 지내다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노란띠를 매고 한창 재미가 붙을 무렵 훈련 중 발목을 다치게 된다. 그리고 이때 한의학과 운명적으로 조우한다.

“발목이 다쳐서 갔는데 엉뚱한 부위에 침을 놓더라고요. 처음엔 당황해서 보디랭귀지를 섞어가며 항의했어요. 그런데 5분 만에 통증이 사라지면서 걸을 만해지더라고요. 마법 같았죠. 한의원 특유의 한약 냄새, 약장의 모습 등이 낯설고 신기했습니다. 한의학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더라고요. 알아보니 영화에 등장하는 무술처럼 엄청난 스승을 만나야 하는 것도 아니고, 대학을 통해 체계화된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절 놀라게 했어요. 당장 배워야겠다고 생각했죠.”

그러나 그의 뜻과는 달리 한의사가 되는 길은 멀고도 험했다. 주변의 만류도 컸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자까지 알아야 하는데 가능하겠느냐는 의견이 많았다. 대학 쪽에서도 난색을 표했다. 유명 한의대에 입학 가능 여부를 문의했는데 거절한다는 회신이 왔다. 이미 한 차례 외국인이 도전했다가 중도 포기한 전력이 있기도 하고, 외국인이 제대로 된 수강이 가능하겠느냐는 의견이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의 표현(한국어로)대로 그는 ‘한 번 시작하면 끝장을 보는’ 사내였다.

한국어 실력을 갖춰야 한다고 해서 어학당을 다니며 한국어를 익혔다. 한문과 동양문화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해서 강릉대학교에서 동양철학을 배웠다. 그때 대관령 자락에 있는 빈집에서 장작불을 지펴 가마솥밥을 해먹고 다녀, 주변에서 미친놈 소리까지 들었다.

그 후 전국을 수소문한 끝에 자신을 받아주겠다는 대구한의대(당시 경산대학교)에 입학했다. 그렇게 원하던 한의대생이 됐지만 자격을 획득하기까지 또 다른 시련을 겪어야 했다. 그것도 두 번씩이나.

“1993년에 약사에게 한약 조제권을 주는 것을 놓고 한의대생들의 수업거부가 있었어요. 그때 다른 학생들의 뜻에 따랐기 때문에 수업을 제대로 못 받았죠. 어렵게 한의대생이 됐는데 말이죠. 그리고 1995년에 약학대학 안에 한약학과를 설치하는 문제 때문에 또다시 수업거부가 있었어요. 그때는 안 되겠다 싶어 강의를 꼭 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교수님들이 파업을 하시더라고요(웃음).” 정작 수업 자체는 어렵지 않았다고 한다. 한문이 낯선 것은 한국 학생들도 마찬가지였고, 전공 수업이 익숙해지면서 성적은 점점 향상되어갔다. 그리고 마침내 서양인 최초 한의사라는 감격적인 타이틀을 따냈다. 아직까지도 서양인 한의사는 그가 유일하다.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라이문드 로이어 센터장.(브라보마이라이프)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라이문드 로이어 센터장.(브라보마이라이프)
한의사가 되고 난 후 그는 또 다른 목표를 세웠다. 그중 하나가 한의학의 세계화다. 자생한방병원에서 그에게 국제진료센터를 제안했을 때 어렵지 않게 수락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는 이렇게 효과가 좋고, 체계적으로 발전해온 한의학이 아직 세계 속에 자리매김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했다.

“제 고국에 인접한 독일의 경우 TCM(중의학) 관련 단체만 60개가 넘어요. 소속된 양의사들이 3만~5만 명 정도 돼요. 한국의 한의사보다 많은 셈이죠. 이들은 양의학의 테두리 안에서 침술과 같은 동양의학의 장점을 받아들이고자 노력하고 있어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양의학과 한의학 사이의 벽이 너무 높아요. 왜 이렇게 싸우나 의문이 들 정도죠. 확실한 건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면 분명 한의학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거예요. 특히 한약의 우수성은 중의학이 못 따라옵니다. 부작용 적고 효과 좋은 한약의 장점을 세계에 알리고 싶어요.”

한의학을 알리고 싶다는 그의 열망은 생각으로만 그치지 않았다. CNN 등 다양한 해외 매체와의 접촉을 통해 한의학의 장점을 알렸고, 국제학술대회 등 모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대한한의사협회에 소속돼 일하기도 했다.

의사로서의 그는 어떨까. 병원 관계자는 그를 찾는 환자들이 많아 실적만으로도 병원 내에서 상위권이라고 귀띔한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용하다는 소문이 난 덕분이다.

“이젠 고향이에요.” 한국 생활이 어떠냐는 질문에 돌아온 그의 대답. 한국 생활 30년. 어지간한 젊은 청년들보다 한국 생활을 오래한 그다. 그럴 수밖에.

인터뷰를 마무리하면서 다시 그 의문이 머릿속에 맴돈다. ‘푸른 눈’에 가려 그의 진짜 모습을 보지 못한 것은 아닐까. 누구보다 한의학을 아끼고 사랑하며, 환자 걱정을 멈추지 않는 그. 이제 그를 바라볼 때 인종을 구분하는 수식어는 내려놓아도 될 것 같다. 그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멋진 韓醫師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문장을 따라 걷다, 박완서 13주기 추모 공연
    문장을 따라 걷다, 박완서 13주기 추모 공연
  • “치매는 곧 만성질환, 안심하고 걸릴 수 있는 사회 돼야”
    “치매는 곧 만성질환, 안심하고 걸릴 수 있는 사회 돼야”
  • 지웅스님, 서울노인복지센터 제7대 관장 취임
    지웅스님, 서울노인복지센터 제7대 관장 취임
  • “단순하게 살아갑니다”... 황보름 작가의 휴남동 서점 그 후
    “단순하게 살아갑니다”... 황보름 작가의 휴남동 서점 그 후
  • 기업지배구조 전문 미디어 '더 이코노미' 창간…
    기업지배구조 전문 미디어 '더 이코노미' 창간…"한국경제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 될 것"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