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피로 사회

기사입력 2018-11-14 10:29 기사수정 2018-11-14 10:29

불과 몇 개월 전의 무더위가 어느새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지고 어느덧 가을이 깊어간다. 기온이 갑자기 하강하여 부리나케 옷장을 열고 겨울옷으로 교체작업에 나선다. TV 화면에 비치는 설악산은 온산이 단풍으로 물들어 장관이 화려하다. 바야흐로 나무들은 아름다움의 절정에서 생의 다운사이징을 준비한다. 꽃이 만발한 청춘의 봄도 화사하지만, 인생을 마무리하는 순간의 중후한 미도 그에 못지않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인생의 황금기로 언급한 6, 70대가 아마도 단풍에 물든 인생의 가을이 아닐까 한다. 아직 나무숲을 헤매고 있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백세의 눈으로 숲을 관조하는 시각에서 우리의 삶은 이미 단풍이 물드는 초입에 당도했는지 모른다. 그렇다면 삶이 아름답고 향기로워야 하는데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한 듯하다. 비 맞아 누추하고 칙칙한 낙엽이 될까 걱정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아름다움은커녕 노후에 대한 걱정으로 온통 우울한 얼굴이다. 그래서 그런지 인간관계마저 삭막해져 가는 듯하다. 오가는 언어에도 날이 서 있다. 해탈까지는 아니어도 나이 들면서 타인에게 너그러워지는 게 보통인데 편협하고 옹졸한 모습을 보인다. 희망이 보이지 않는 사회적 상황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가슴 아픈 일이다.

온라인이건 오프라인이건 모임에 나가면 서로에 대한 덕담보다는 뒷담화로 모임 이후 감정이 상하곤 한다. 단풍처럼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어쩔 수 없이 관계를 다운사이징 하는 관계들이 늘어났다. 길지 않은 인생에 무슨 낙을 보려고 억지로 그런 불편한 관계를 이어가야 하나 싶다.

인생의 절정기에서 풍성한 인간관계를 즐기고 살다가 겨울을 맞이해야 하는데 우리네 삶은 그 반대로 단풍 근처에도 못 가보고 칙칙한 낙엽으로 하나둘 사라져 갈 것을 생각하면 입맛이 씁쓸하다. 그러나 어쩌랴. 뾰족한 말의 창에 찔려 피 흘리며 스트레스를 받느니 차라리 외로워지더라도 관계를 정리하는 편이 정신 건강에 이롭지 않을까. 이것이 작금의 노년이 겪는 삶의 애환이다.

행복이란 감정의 영역으로 ‘느끼는’ 것이다. 이성이나 의지로 행복하고자 해도 감정으로 느낄 수 없으면 행복이 아니다. 거액의 복권에 당첨되더라도 행복감의 유통기한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학자들은 큰 행복을 추구하기보다 생활 속에서 작은 행복을 만들어가는 게 좋다고 말한다.

우리 사회의 감정 환경은 그리 밝지 못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진영 간, 지역 간, 세대 간, 상하 간, 남녀 간에 벌어지는 사회적 갈등이 극에 달해 갈가리 찢겨 있고 온라인상의 참람한 댓글들을 보면 거의 인격살인에 다름없다. 이런 환경 속에서 제정신 차리고 감정 추스르며 살아가기도 힘겨울 지경이다. 그러니 노년의 환경이라고 정상일 리 없다. 감정피로지수가 높은 사회를 살아가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 받을 용기>에서처럼 인간관계에서 상처는 불가피하니 환경 탓만 하며 불행에 빠지지 말고 미래가 아닌 지금, 이 순간 ‘행복해질’ 용기를 가지는 것이다. 엊그제 비가 오는 속에서도 춘천마라톤이 열리는 북한강 변 춘천 가도의 단풍은 선명하게 빛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남다른 통찰을 안겨줄 책
    [카드뉴스] 남다른 통찰을 안겨줄 책
  • “사회적 교류 활발한 50대 여성도…” 외로운 중장년은 우울하다
    “사회적 교류 활발한 50대 여성도…” 외로운 중장년은 우울하다
  • [카드뉴스] 안면 근육 ‘이렇게’ 풀어주세요
    [카드뉴스] 안면 근육 ‘이렇게’ 풀어주세요
  •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