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핸드볼 간판스타, 임오경

기사입력 2019-01-28 10:24 기사수정 2019-01-28 10:24

[스포츠 스타]

▲임오경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임오경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금메달,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 은메달, 2004년 아테네올림픽 은메달 그리고 아시아 최초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이라는 기록의 중심엔 핸드볼 선수 임오경이 있었다. 1990년대 한국 여자핸드볼의 전성기를 이끈 임오경(林五卿·48)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을 만났다.


금메달의 밑거름이 된 ‘지옥 훈련’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한국 여자핸드볼팀이 금메달을 딴 직후 여자핸드볼팀의 대대적인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이때 임오경 감독도 국가대표로 합류하게 되면서 태릉선수촌에 입촌했다. 생애 첫 올림픽 무대를 앞두고 부담스럽진 않았냐는 물음에 그는 “부담감보다 긴장감이 더 컸다”며 “오히려 태릉선수촌에서의 ‘지옥 훈련’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눈 감는 것도 두렵고 눈 뜨는 것도 두려웠어요. 눈을 감으면 다음 날 아침이 오고, 눈을 뜨면 하루가 시작되니까요. 그중에서도 매주 한 번씩 불암산을 뛰어 올라가야 하는 산악훈련은 그야말로 공포였어요. 기록을 매번 단축해야 했거든요. 훈련이 끝나면 울면서 태릉 귀신한테 기도했어요. 우리 감독님 제발 좀 데려가라고.(웃음)”

매일 혹독한 훈련이 이어졌지만 동료들과 서로 격려하고 의지하며 견뎌냈다. 해를 거듭할수록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그도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의 메달 가능성을 보게 됐다고 고백했다.

“처음엔 한국이 메달을 딸 거라고 예상하는 분위기도 아니었어요. 올림픽 직전 독일에서 열린 5개국 초청대회에서도 꼴찌를 했으니까요. 저희끼리도 동메달을 목표로 할 정도였죠. 지금 돌이켜보면 노력에 대한 결과이기도 했지만 운도 잘 따라줬던 것 같아요.”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한국이 한 번도 이겨본 적 없는 러시아 팀이 다른 조로 배정되면서 우리 선수들은 순조롭게 준결승까지 갈 수 있었다.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독일과의 경기에선 아슬아슬하게 한 점 차로 이기면서 결승에 올랐다. 그때 한국 팀에게 또 하나의 희소식이 전해졌다. 노르웨이가 러시아를 한 점 차이로 제압하고 결승에 올랐다는 내용이었다.

“러시아가 떨어지고 노르웨이가 결승에 올라갔다는 소식에 저희 선수들 다 뒤로 자빠졌습니다. 예선전에서 노르웨이랑 맞붙었을 때 저희가 큰 점수 차로 이겼거든요. 결승에서도 이길 자신이 있었죠. 그때 ‘아, 3년 동안 지옥 훈련을 견뎌낸 선수들을 위해 하늘이 기회를 주시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예감은 틀리지 않았다. 한국은 결승에서 다시 만난 노르웨이를 28대 21로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3년간의 노력 끝에 일궈낸 쾌거였다.

“선수들이 시상 단상에 올라가면 눈물을 흘리잖아요. 그 눈물엔 기쁨의 의미도 있지만, 그동안 힘들었던 순간이 생각나서 흘리는 눈물도 있어요. 그때 저는 깨달았어요. ‘피나는 훈련이 있었기에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구나. 그렇게 힘들었던 시간들은 결국 나를 행복한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과정이었구나’ 하고요.”

▲일본에서 활동하던 시절의 임오경(임오경 제공)
▲일본에서 활동하던 시절의 임오경(임오경 제공)

일본에서의 새로운 도전

올림픽이 끝나자 그를 스카우트하겠다는 구단의 러브콜이 이어졌다. 그는 일본의 2부 리그 신생 팀인 ‘히로시마 이즈미’를 선택했다. 올림픽에서 메달만 따면 은퇴하겠다고 마음먹었던 그가 핸드볼 강국 유럽 팀의 제안도 뿌리친 채 일본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이유는 뭘까.

“일본에서 너무 적극적으로 제안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3년 안에 팀을 정상에 올려놓고 유럽에 가자 했는데, 일본에서 14년을 있을 거라곤 상상도 못했죠.(웃음) 당시 제가 선수들을 직접 스카우트했는데, ‘내가 스카우트했으니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떠나질 못했습니다.”

그는 히로시마 이즈미에서 감독 겸 선수로 14년간 활동하면서 리그 8연패를 포함해 총 27회의 우승을 달성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일본 기자단이 선정하는 인기투표에서 8년 연속 인기상을 받을 정도로 일본의 핸드볼 스타플레이어로도 인정받았다.

“한국에서는 짱구? 이마가 많이 튀어나왔다고 그런 별명이 있었는데 일본에서는 카미사마(かみさま, 신)로 불렸어요. ‘내가 왜 신이야?’라고 물어봤더니 핸드볼을 너무 잘한다고….(웃음) 팬도 엄청 많았어요. 재일교포가 대시도 하고요. 어느 날은 아들이 상사병 걸렸다고 한 번만 만나 달라고 찾아오신 분도 있었어요. 별일 다 겪었죠.”

▲임오경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임오경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주민욱 프리랜서 minwook19@hanmail.net)

아쉬움 남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

임오경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을 배경으로 한 ‘우생순’의 실제 주인공이기 때문. 2004년 아테네올림픽은 그에게 유독 아쉬움이 많이 남는 대회다. 한국은 결승에서 만난 덴마크와 연장전에서도 승부를 가르지 못해 결국 페널티 스로로 승부를 결정지었다. 임오경은 두 번째 주자로 나섰다.

“대회를 일주일 정도 남기고 발바닥 부상을 당했어요. 항상 베스트 멤버로 뛰다가 벤치에 앉아 있으니 자존심도 많이 상하고 스스로에게 화가 굉장히 났죠. 페널티 스로를 앞둔 상황에선 부상 때문에 몸도 유연하지 못했고 자신감도 떨어진 상태였어요. 던지고 싶지 않다고 말했는데 제가 무조건 던져야 한다고 하니 어쩔 수가 없었죠.”

그가 던진 슛은 덴마크 골키퍼의 오른쪽 다리에 걸리면서 실패하고 말았다. 여기에 그다음 주자였던 문필희 선수의 슛도 막히면서 최종 스코어 2대 4로 은메달에 머물고 말았다.

“그동안 잘해왔는데 마지막 순간, 그 한 번의 실수로 인해 제 핸드볼 인생에 큰 오점을 남겼다는 생각에 많이 아팠어요. 무엇보다 운동선수는 부상이 없어야 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죠. 그리고 경기장에서 뛸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큰 행복인지, 벤치에 앉아 있는 선수들의 마음을 좀 더 헤아리게 됐죠.”

그는 2008년 한국으로 돌아와 현재까지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을 맡고 있다. 한국 최초 여성 핸드볼팀 지도자라는 점에서 어려움은 없었을까.

“첫해에는 눈물도 많이 흘렸어요. 저희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여자 감독이 이끄는 팀이라는 이유로 심판 판정도 이상하게 해서 불리하게 만들고. 심판실에 따라 들어간 적도 많아요. ‘나 오늘부터 서서 볼일 볼 테니 나를 남자라고 생각해 달라’고 말한 적도 있어요. 몇몇 고비를 넘기면서도 조금씩 다가가니 결국은 손을 내밀어주더군요. 근데 처음엔 정말 힘들었어요.”

핸드볼과 함께한 지 30여 년이 넘는 세월, 그는 이제 또 다른 도전을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핸드볼을 시작하면서 선수가 됐고, 선수를 하면서 지도자가 됐고, 대한민국의 애 엄마도 돼봤어요. 여러 가지 도전을 하면서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지더라고요. 그래서 최근엔 또 다른 도전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왕이면 제가 지도자와 선수생활을 모두 해본 사람으로서, 서로를 존중할 수 있는 스포츠 문화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싶어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83세 화가 데뷔한 할머니
    [카드뉴스] 83세 화가 데뷔한 할머니
  • “판교 개발 이끈 추진력, 한국문화원연합회 발전 동력 삼을 것”
    “판교 개발 이끈 추진력, 한국문화원연합회 발전 동력 삼을 것”
  • 커피에 미(美)쳐 조연을 자처한, 명장 박이추
    커피에 미(美)쳐 조연을 자처한, 명장 박이추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 “연령통합 사회, 청년도 노인도 하나의 어른”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 “연령통합 사회, 청년도 노인도 하나의 어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