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인공관절 수술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기사입력 2019-03-27 09:42 기사수정 2019-03-27 09:42

(일러스트 윤민철 작가)
(일러스트 윤민철 작가)
연골 손상으로 인한 무릎관절 통증은 시니어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쉽게 치료되지 않아 심각하다. 손상된 연골을 되살리기 위해 유전자 치료제부터 줄기세포 기술까지 온갖 첨단 생명공학기술이 등장하고 있지만, 속 시원한 치료법은 아직 없는 상태. 결국 아직까지는 인공관절을 이용한 치료가 현실적인 답안이다. 하지만 인공관절 치료에 대해서도 여러 오해와 억측이 난무한다. 정형외과 전문의 세란병원 김준식(金俊植·63) 부장을 통해 무릎 인공관절 수술에 대해 알아봤다.


무릎관절 통증으로 인공관절을 고려하게 되는 질환은 류마티스성이나 통풍성 관절염과 외상 등 다양하지만 가장 많은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역시 퇴행성관절염. 보건복지부 통계를 살펴보면 퇴행성관절염 환자는 2016년 기준 여자 252만 명, 남자 116만 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2.2배 많고, 여자의 경우 50대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60대는 30.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노화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퇴행성관절염은 처음에는 아픈지도 모르다가 연골이 다 닳아 없어질 즈음에야 통증을 느끼게 된다. 연골에는 신경이 없기 때문이다. 악화되면 통증이 심해지고 다리도 O자 모양으로 휜다. 무거운 것을 들거나 걸을 때도 힘들고,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이 더 심하다.


수술 여부는 활동량과 나이가 좌우

무릎 통증으로 인공관절을 고려하는 환자의 가장 큰 고민은 수술 여부에 대한 결정일 것이다. 너무 성급한 선택은 아닌지 걱정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김 부장은 “수술에도 분명히 적기가 있다”고 조언한다.

“가급적 수술을 늦추려는 분들도 계시죠. 수술에 대한 두려움도 있고요. 하지만 너무 늦어버리면 수술 후 회복이 더딜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무릎관절을 잡아주는 근력이 중요한데 거동이 힘든 상황을 오래 방치하면 근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어요. 또 다리가 휘고, 힘줄이 오그라들면서 운동 범위가 줄어들면 수술 후에도 운동량 회복이 어렵습니다. 재활도 쉽지 않고요. 따라서 활동량이 눈에 띄게 줄었다든지, 걷기가 힘들어 밖에 나가기 두려울 정도라면 수술을 빨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환자가 너무 젊으면 수술 여부가 신중해진다. 인공관절의 수명과 환자의 활동량을 검토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젊은 환자의 활동량이 줄어드는 시기까지 기다렸다가 인공관절의 수명과 환자의 여명(餘命)을 고려해 수술 시기를 결정한다. 물론 고통이 심하다면 이후 재수술을 각오하더라도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수술법, 재료, 장비 발전으로 인해 재수술을 무조건 피해야 할 상황으로 평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뼈에 붙은 기존 인공관절을 제거하고, 재장착하는 과정에서의 골손실 발생은 피하기 어려워 최초 수술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인공관절의 수명은 대략 15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마치 사람의 연골이 닳듯 관절면의 폴리에틸렌 부분도 마모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부위가 모두 닳으면 금속과 금속이 마찰을 일으키고, 마모된 폴리에틸렌 가루가 뼈를 녹이는 골용해증을 일으킨다. 전문의들이 수술 후 정기적으로 검진을 권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공관절 한쪽씩? 양쪽 다?

퇴행성관절염으로 고생하는 환자는 대부분 양쪽 무릎이 모두 말썽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수술을 한쪽씩 차례대로 할 것인지, 한꺼번에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는 어느 정도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반면, 한꺼번에 수술하면 일정 기간 거동이 어려워지죠. 하지만 한쪽씩 하게 되면 재활 과정에서 수술 안 한 다리의 통증을 피하기 위해 수술한 다리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아요. 그로 인한 부작용도 생기고요. 대부분 고령 환자들이기 때문에 짧은 간격으로 수술하기도 어렵습니다. 마취를 견디기 힘들어해서요. 환자 입장에선 두렵겠지만 건강상태가 받아들일 수 있으면 하루에 양쪽을 모두 수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부위에 따라 전치환술과 부분치환술로 구분한다. 부분치환술은 관절 안쪽만 닳았을 경우 문제가 된 부위에만 인공관절을 시술하는 것이다. 김 부장은 “부분치환술로 치료할 수 있는 환자가 흔치 않아 대부분 전치환술을 선택한다”고 설명했다.


▲김준식 부장은 “환자들 중 유독 식당일을 하는 분이 많다”며 “특히 좌식의 재래식 주방에서 일하면 앉았다 일어나는 횟수가 많고 무릎에 하중을 주는 무거운 것을 자주 들기 때문에 무릎 질환을 앓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준식 부장은 “환자들 중 유독 식당일을 하는 분이 많다”며 “특히 좌식의 재래식 주방에서 일하면 앉았다 일어나는 횟수가 많고 무릎에 하중을 주는 무거운 것을 자주 들기 때문에 무릎 질환을 앓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수술 후 염증·감염 조심해야

인공관절의 수명을 늘리고 실패율을 줄이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있다. 바로 ‘정확한 수술’이다. 다리가 굽혀지는 각도와 인공관절의 위치가 완벽하게 맞는 수술을 하게 되면 인공연골에 부하를 줄여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 정확한 수술을 돕는 장비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내비게이션을 활용한 인공관절 수술이 대표적이다.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면 환자의 뼈 각도와 두께, 간격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면서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로봇의 도움을 받아 수술하는 마코 로봇 보조 기술(Mako Robotic-Arm Assisted Technology)도 등장했다. 진료 목적으로 도입한 곳은 세란병원이 처음이다.

“환자의 무릎 형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인공관절을 부착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입니다. 마코는 손실 없이 정확히 수술될 수 있도록 도와줘, 수술하는 입장에서 안심이 되죠. 하지만 로봇이 제안하는 데이터가 정확한지 판단하는 것은 역시 수술하는 의사이기 때문에 다양한 경험과 공부가 필요합니다. 방심할 수 없는 이유죠.”

수술 후 6주까지는 보행기나 목발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후 3개월가량 지나면 서서히 통증이 줄고, 일상생활도 가능하다. 1년 정도 후에는 ‘내 다리 같다’는 느낌이 든다.

“여성 환자들은 수술 후의 고통을 애 낳는 것에 비유하기도 해요. 아물지 않은 상태에서 물리치료를 시작하니까요. 그래도 움직이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선 물리치료를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또 수술 후에는 염증을 조심해야 합니다. 치과에서 발치 후 혹은 편도선염이나 심한 감기로 인해 인공관절에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 침이나 주사도 안 됩니다. 일종의 이물질인 셈이라 체내 면역체계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중장년 봄 나들이 막는 '족저근막염'… 통증 막으려면
    중장년 봄 나들이 막는 '족저근막염'… 통증 막으려면
  • 위암과 같은 유발인자, 40대 이후 발병 많은 위궤양
    위암과 같은 유발인자, 40대 이후 발병 많은 위궤양
  • 몸짱 되고 싶어도… ‘피지컬:100’ 무작정 따라 하면 큰일
    몸짱 되고 싶어도… ‘피지컬:100’ 무작정 따라 하면 큰일
  • [카드뉴스] 맨발걷기 안 해야 하는 사람
    [카드뉴스] 맨발걷기 안 해야 하는 사람
  • [카드뉴스] 이 나이에(?) 치아교정해도 될까
    [카드뉴스] 이 나이에(?) 치아교정해도 될까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