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나카를 바른 미얀마 아이들( 사진= 변용도 동년기자)
출근 시간대 3호선 전철 안. 경로석은 만원이어서 나이가 꽤 들어 보이는 할머니 한 분이 일반석 앞에 서 있고 그 앞 좌석엔 20대로 보이는 아가씨 한 사람이 앉아 손거울을 보며 눈 화장을 하고 볼연지도 토닥토닥 열심히 바른다. 세 정거장이 지나서야 마무리 한다. 정성을 다해 화장한 얼굴이 곱게 느껴져야 할텐데 전혀 그렇지 않음은 왜일까? 미소라곤 찾을 수 없고 게다가 앞에 힘들게 선 할머니를 아무렇지 않게 보고 있으니 아무리 화장품을 덕지 덕지 발라도 곱게 보일 리가 없다.
좋은 화장품이나 기능성 제품으로 얼굴을 곱게 다듬는 일도 중요하긴 하다. 자존심을 높일 수 있고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아름다운 화장품은 얼굴에 자연스럽게 ‘바르는’ 미소다.
“가장 좋은 화장품, 미소를 씁시다.”
![[AI 브리핑] 중소기업 86% “정년 연장보다 선별 재고용이 현실적” 外](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42562.jpg)
![[Trend&Bravo] 재취업 중장년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근무 조건' 4](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6756.jpg)

![[중장년 필독 정보통] 서울시 중랑구, 신내노인종합복지관에 파크골프장 오픈 外](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6543.jpg)
![[카드뉴스] 알아두면 돈 되는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팁](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5574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