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기사입력 2020-06-09 10:41 기사수정 2020-06-09 10:41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트루디를 그리워하는 루디.(영화사 진진)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트루디를 그리워하는 루디.(영화사 진진)

누구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모든 것이 불확실한 인간의 삶에서 오직 죽음만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인간은 모두 공평하게 한 번은 죽음을 만난다. 죽음은 같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살던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죽은 자는 행위가 종식되고 운동이 정지하면서 반응이 없어진다. 존재에서 무존재가 되어 모든 계획과 삶이 끝나는 것이다.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은 영원히 되찾을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가슴을 후벼파는 슬픔으로 다가온다.

독일의 여성 감독 도리스 되리의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2008)은 사랑하는 아내가 죽은 후, 곁에 있을 때 못 느꼈던 사랑과 아내가 접어야 했던 꿈을 이해하는 과정을 잔잔하게 그린 작품이다. 죽음이 우리 삶에 주는 의미, 그리고 소통과 배려 등 살면서 챙겨야 할 소중한 가치들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트루디가 죽기 전 루디와의 다정한 모습.(영화사 진진)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트루디가 죽기 전 루디와의 다정한 모습.(영화사 진진)

독일 남부의 시골 마을 시청 청소행정과 과장 ‘루디’(엘마 베퍼 역)는 큰 위기 없이 20여 년 공무원 생활을 착실히 해온 평범한 가장이다. 그의 아내 ’트루디‘(한넬로르 엘스너 역)는 무용의 꿈을 접고 내조와 자녀 교육에만 전념해온 전업주부다. 그들에게는 베를린과 일본 도쿄에서 사는 2남 1녀의 자녀가 있다. 트루디는 일본의 ’후지산‘을 가고 싶어 한다.

어느 날 트루디는 남편 루디가 암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의사에게 듣는다. 하지만 트루디는 이 사실을 숨긴 채 베를린의 자녀들을 만나러, 둘이 함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여행을 떠난다. 그곳에서 자녀들의 무관심과 세대 차이에 충격을 받고 발트해로 둘만의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뜻밖에도 그곳에서 트루디가 먼저 죽음을 맞이한다.

상실의 슬픔과 그리움에서 헤어나지 못하던 루디는 아들 칼을 만나러 도쿄로 가지만 바쁜 아들 때문에 홀로 도시를 헤맨다. 그러던 어느 날 공원에서 부토 춤을 추는 한 소녀를 만나게 되고 소녀와 함께 아내가 가고 싶어 했던 후지산을 찾아간다. 후지산이 선명하게 보이는 새벽녘 푸른 호숫가에서 루디는 아내 트루디와 함께 부토 춤을 춘다.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공원에서 루디는 부토춤을 추는 소녀 유를 만난다.(영화사 진진)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공원에서 루디는 부토춤을 추는 소녀 유를 만난다.(영화사 진진)

영화에서는 중요한 두 개의 메타포가 등장한다. 하나는 파리다. 베를린으로 가는 기차의 창에 붙어 있던 파리의 모습은 이후 벌어질 자녀들과의 세대 차이에서 오는 갈등을 예고한다. 식탁에 앉은 파리를 손바닥으로 내려쳐 잡는 젊은 세대와, 작은 생명체 하나도 존중하는 기성세대 간의 차이를 보여주기 위한 사전 장치다. 부모 앞에서 레즈비언 행위를 서슴지 않는 딸의 모습과 부모의 반응은 ‘세대 간 차이를 갈등과 대립이 아닌 소통과 배려로 극복해야 함’을 표현하는 서브 텍스트다. 여성 감독이기에 이런 따뜻한 메시지가 더해졌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그림자다. 영화 초반 루디의 기계적 일상을 설명하는 트루디의 내레이션에서 시작돼 자주 등장하는 장치다. 이 영화의 큰 축인 부토 춤의 표현이기도 하다. 심리학에서는 그림자를 외부에 드러내기 싫은 나, 그래서 진정한 나에 가까운 것으로 말한다. 억누른 기억과 감정이 모두 담겨 있는 무의식의 거대한 산 같은 것이 그림자다. 그래서 이 영화에서는 그림자를 존재의 다른 방식으로 때론 타인에게 인식될 수 있고 또 타인과 이어주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 사회의 허무주의를 바탕으로 삶과 죽음의 해답을 갈구하는 것 같은 움직임을 묘사한 그림자 춤인 부토 춤을 이 영화에서는 이쪽 세계와 저쪽 세계가 통하는 의식으로 설정했다.

결국 루디는 그림자, 그림자 춤을 통해 상실한 마음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내면의 울림에 귀 기울인다. 자신의 상처와 끊임없이 대화하면서 마음을 챙기고 ‘그림자 치유’ 과정을 통해 트루디가 있는 세계로 가는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다. 부토 춤을 추는 공원의 소녀가 춤출 때 사용한 전화기의 수화기와 선도 중요한 메타포라 할 수 있겠다.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부토춤을 통해 가까워지는 루디와 유.(영화사 진진)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부토춤을 통해 가까워지는 루디와 유.(영화사 진진)

두 사람의 마지막 여행지인 발트해에서 트루디는 계면쩍어하는 루디의 손을 잡고 같이 춤을 춘다. 루디가 얼마 살지 못할 것을 알고 있었기에 트루디는 춤을 추면서 어떤 참혹한 상실의 시간이 오더라도 그 시간을 딛고 일어설 것이라며 스스로를 다독였을 것이다. 낮에는 해안가에서 추워하는 루디를 위해 스웨터를 함께 입는 세심한 배려를 하기도 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반전이 일어난다.

홀로 남게 된 루디의 슬픔, 아픔이 살갗을 뚫는 듯했다. 남겨진 자들의 고통은 떠난 사람을 그리워하는 것보다 잊혀간다는 사실을 자각했을 때 가장 큰 슬픔으로 다가온다. 루디는 침대 위 자신의 옆자리에 트루디의 잠옷을 펼쳐놓는다. 트루디를 느껴보고 싶어서, 트루디를 기억할 수 있는 작은 것들 하나도 잊지 않으려고…. 그리고 “여보 어디 있어…”라고 속삭인다. 이 영화의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었다. 거대한 상실의 구멍이 생긴 것처럼 슬픔이 스며들었다.

트루디가 죽기 전 발트해의 해안을 둘이 걸을 때 루디가 말했다. “그래, 우린 행운이지. 우린 서로가 있으니까. 그게 젤 큰 행복이야….” 그런데 몇 시간 뒤 루디는 홀로 남겨진다. 루디는 남겨진 자녀들에게 말한다. “이제 익숙해져야겠지.” 일본에서 만난 아들은 왜 좀 더 빨리 두 분이 함께 일본에 오지 않았냐고 묻는다. “시간이 많은 줄 알았다”고 루디는 대답한다.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발틱해에서 트루디의 스웨터를 함께 입은 루디.(영화사 진진)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스틸컷. 발틱해에서 트루디의 스웨터를 함께 입은 루디.(영화사 진진)

영화 초반부에 노이슈반스타인 성과 알프스 산맥이 있는 독일 남부의 아름다운 자연이 영상으로 나온다. 후반부에서는 일본의 봄 벚꽃과 후지산의 풍경이 잔잔하게 흐른다. 이야기 전개상 도쿄의 다양한 모습이 보인다. 이 때문에 일본 홍보 영화로 평가절하하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독일에서 흥행에 성공하고 각종 영화상도 받은 작품이다. 편견 없이 이 영화를 보면 좋겠다.

이 영화에서 인상적이었던 또 하나의 장면은 베를린의 자녀 집에서 잠자리에 누운 트루디가 루디에게 “아이들이 낯설다“고 하면서 손을 내밀어 루디의 손을 꼭 잡는 모습이다. 세상의 남편들이여 오늘은 잠들기 전 옆에 누운 아내의 손을 꼭 잡아보자. 그리고 한마디쯤 하자. “미안합니다. 고맙습니다”라고.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