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설명회, 8월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풍부한 경험과 봉사정신이 투철한 민간ㆍ공공기관 출신의 전문가를 모집한다. 오는 9월 6일 15시까지 접수 마감한다.
지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월드프렌즈 NIPA 자문단 공식 홈페이지(senior.nipa.kr)에서 온라인 신청을 통해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지원서 마감에 앞서 8월 19일 오후 3시에는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00호)에서 모집 설명회를 개최한다. NIPA자문단 사업소개 및 Q&A와 자문단원 활동경험 특강도 함께 진행한다.
만 50세 이상의 퇴직(예정)자로 정보통신, 산업기술, 에너지자원, 무역투자, 지역발전 등 5개 파견 분야에서 10년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경력이 있다면 지원이 가능하다. 서류 및 면접심사를 거쳐 선발하며, 개도국 정부나 공공기관에 파견돼 1년간 자문단원 활동을 하게 된다. 평가에 따라 최대 3년까지 활동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관련 뉴스
-
- “같은 60대라도 희망 일자리 다르다”…60~64세 ‘돌봄’ 65~69세 ‘매장 판매’
- 28일 한국노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 신서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 ‘희망일자리·직무교육 연계 방안’ 발표 “초고령사회 대응, 소극적 복지 패러다임→활동적 노화 전환 필요” “노년기 교육, 직종·지역별 맞춤 교육해야…‘노인 인적자원개발 전문교육기관’ 필요” 같은 60대라 해도 원하는 일자리는 전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이목이 끌고 있다. 노년 인력의 활용은 더는 선택이 아닌 필수적 과제인 만큼 고령층의 실제 일자리 수요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직무·지역별 맞춤형 교육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신서우 한국노인
-
- 노인일자리, 10개월간 761만 원 벌 수 있는 활동은?
- 28일부터 다음 달 26일까지 신청…공익활동·노인역량활용 등 4개 분야 모집 노인공익활동사업, 활동기간 11개월·보수 월 29만 원 노인역량활동사업, 활동기간 10개월·보수 월 76만1000원 정부가 내년에 115만2000개의 노인 일자리를 제공한다고 밝힌 가운데 일자리별 활동 기간과 보수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2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노인일자리 및 지원사업은 △노인공익활동사업 △노인역량활용사업 △선도모델 △공동체 사업단 △취업 알선 △시니어 인턴십 △고령자 친화기업이다. 이 가운데 이번에 참여자를 모집(신청 기간 28일~
-
- 복지부, 내년 노인일자리 115만 개 모집… 역대 최대 규모
- 28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신청… 공익활동·노인역량활용 등 4개 분야 모집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60세 이상 노인 대상… 내년 1월 초 최종 선발 통보 보건복지부가 내년에 역대 최대 규모의 노인일자리 및 지원사업을 시행하다. 복지부는 28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115만2000개의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참여자를 모집하는 부문은 노인공익활동사업, 노인역량활용사업, 공동체사업단, 취업 지원 사업 총 4가지다. 이외에 선도모델, 시니어 인턴십, 고령자 친화기업 부문은
-
- 세종시, 내년도 노인 일자리 참여자 4334명 모집
- 세종특별자치시는 다음 달 1일부터 12일까지 2026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모집에서는 4334명의 노인 일자리 참여자를 선정한다. 유형별로는 △노인공익활동 2710명 △노인역량활용 1068명 △공동체사업단 228명 △취업알선 328명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어르신은 신분증과 3개월 이내 발급한 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관련 자격증, 장애등급 확인서류 등을 준비해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을 방문 신청하면 된다.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은 세종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세종시지회, 세종YWCA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서울시, 약자 돕는 동행일자리 확대 시행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서울시, 약자 돕는 '동행 일자리' 참여 문턱 낮췄다 서울시가 취업 취약계층이 또 다른 사회적 약자를 돕는 과정에서 일경험을 쌓고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을 내년에도 확대한다. ‘약자와의 동행’을 핵심 가치로 삼아온 서울시는 공공 서비스 보완이 필요한 분야에서 일자리를 적극 발굴하며, 실업자 등 취업 취약계층이 돌봄·안전·환경 등 다양한 현장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