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철의 야생화] 척박한 바위 겉에 오뚝 서 꽃피우는, 좀바위솔

기사입력 2016-11-21 10:45 기사수정 2016-11-21 10:45

▲좀바위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inutus (Komar.) A. Berger. (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좀바위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inutus (Komar.) A. Berger. (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어느덧 세모(歲暮)의 달 12월입니다. 2016년 한 해도 이제 역사 속으로 영영 사라져가니 아쉽기는 하지만 해가 기운다고 속상해하지는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스러짐이 마냥 슬픈 것은 아닙니다. 석양이 만드는 저녁노을은 그 얼마나 황홀합니까. 얼마 전 흘려보낸 만추의 가을은 얼마나 화려했습니까. 만산홍엽의 단풍 사이로 난 오솔길이 갈수록 그윽하고 다정다감하게 다가오듯, 나이를 먹을수록 그만큼 삶도 농익고 완숙해지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기온이 영하로 곤두박질치는 한겨울이면, 그리고 ‘고요한 밤 거룩한 밤~’ 노랫소리가 들릴 즈음이면 유난히 소개하고픈 야생화가 있습니다. 경기·강원·충북·경북 등 여기저기서 가을에 피는 좀바위솔입니다. 바위솔·정선바위솔·연화바위솔·포천바위솔·둥근바위솔·가지바위솔·울릉연화바위솔·난쟁이바위솔 등 국내에 자생하는 8~9종의 바위솔 중 하나로, 바위솔에 비해 전초도 꽃차례도 작아서 ‘좀’이란 접두어가 붙었습니다.

그런 좀바위솔이 유독 세모에 생각나는 까닭은 천지가 울긋불긋 물든 깊은 산중 커다란 바위 겉에 오뚝 꽃대를 세우고 있는 모습에서, 황혼 무렵 세상이 제아무리 요동을 쳐도 아랑곳없이 의연히 자신의 길을 가는 작은 거인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인생 2막인 ‘브라보 마이 라이프’를 그렇게 살아가고 싶은 마음 때문이겠지요. 게다가 만추의 계절 좀바위솔이 자생지인 높은 산이나 깊은 계곡에 무더기로 활짝 피어 있는 광경은 그 자체가 멋진 가을 풍경화가 되기도 합니다.

▲좀바위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inutus (Komar.) A. Berger. (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좀바위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inutus (Komar.) A. Berger. (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좀바위솔은 끝이 뾰족한 비늘 모양의 녹색 잎 수십 개가 빙 둘러 난 정중앙에 9~10월쯤 길어야 어른 손가락만 한 이삭꽃차례를 곧추세웁니다. 여러해살이풀이어서 뿌리가 다치지 않으면 해마다 연분홍색의 꽃을, 벼나 보리 등의 곡식 이삭처럼 다닥다닥 피웁니다. 그런데 수년 전부터 각종 바위솔 식물들이 암 치료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암암리에 뿌리째 남벌되는 수난을 겪고 있는 게 우려스러운 현실이기도 합니다. 실제 깎아지른 절벽과 유유히 흐르는 옥색의 강물, 불이라도 붙을 듯 붉게 물든 단풍 등 3박자와 어우러져 최고의 좀바위솔 자생지로 꼽히던 한탄강 변의 좀바위솔 자생지가 몇 해 전 괴멸되었습니다. 그러나 다행스러운 것은 자연은 스스로 대단한 치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겠다는 듯 작년부터 하나둘씩 좀바위솔이 다시 피어나고 있어, 또다시 못된 손만 타지 않으면 수년 내 집채만 한 바위를 가득 덮었던 장관이 되살아나기를 기대하게 합니다.


Where is it?

▲좀바위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inutus (Komar.) A. Berger. (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좀바위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Orostachys minutus (Komar.) A. Berger. (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경기·강원·충북·경북의 몇몇 좀바위솔 촬영지가 야생화 동호인에게 알려지면서 자생지가 그 주변 지역으로 국한된 듯 이야기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폭이 넓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에서 말했듯 강원도 철원 한탄강 변 자생지(사진)는 지금은 많이 훼손된 상태다. 철원의 상해계곡에서도 수는 많지 않지만 만날 수 있다. 경기도 연천의 지장산과 고대산, 가평의 화야산 등에는 제법 많은 개체가 자생한다.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미산계곡, 충북 단양의 송림사와 경북 봉화의 청량사 등의 주변 바위에서도 좀바위솔이 앙증맞게 핀 모습을 볼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