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청산에 들면 다시는 나오지 않으리”

기사입력 2020-09-28 08:56 기사수정 2020-09-28 08:56

[명사·명작 톺아보기] 골품제에 갇혀버린 최치원의 꿈

얼마 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랐던 글 ‘시무 7조 상소문’이 장안의 화제였다. ‘영남만인소’ 형식을 차용해 정부를 에둘러 비판한 글이 또 올라오자 왕조시대의 상소문을 흉내 낸 정치 풍자가 이어지고 있다. 정치인들의 막말에 지쳐 있던 사람들은 “이것이 바로 품격의 말”이라며 환호했다.

시무(時務)의 사전적 의미는 시급한 일, 중요하게 다뤄야 할 일이다. 왕조시대에는 임금에게 정책을 건의하는 글을 시무책이라 했다. ‘시무 7조 상소문’의 내용이 어떠하든 그 누군가에게는 지금이 시급해 보이는 상황임은 분명한 것 같다. 지금으로부터 1100여 년 전에도 그랬다. 왕에게 시무책을 올린 이가 있었다. 비록 그 개혁은 실패했지만 역사학자들은 최승로의 ‘시무 28조’, 이율곡의 ‘시무 6조’가 그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당나라 유학파 출신. 골품제에 갇혀 6두품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비운의 천재. 기울어가는 나라를 일으켜 세워보려 진성 여왕에게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 시무 10조)를 올린 개혁자. 타락한 귀족들의 사리사욕에 누더기가 된 꿈을 내려놓고 은둔의 길을 택한 남자. 가야산에 들어 신발만 남기고 사라졌다는 그의 몰연대에는 물음표만 남아 있다. 고독했던 구름,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년~?)의 이야기다.


열두 살어린 나이에 떠난 유학

최치원은 857년(통일신라 문성왕 19년)에 태어났다. 네 살 때 글을 배워 열 살 때 사서삼경을 읽었다는 기록이 전해질 만큼 영특했다. 이런 영민함을 눈여겨본 아버지 최견일은 아들의 유학을 결심한다. 당시 최 씨 집안은 6두품 집안에서도 명망 높은 가문이었지만 그 신분으로는 출세의 한계가 있었다. 아무리 능력이 출중해도 아찬(17관등 중 6관등에 해당) 이상의 벼슬에 오를 수 없었다. 아버지는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이름난 빈공진사시에 급제만 한다면 신라로 돌아와 높은 관직에 오를 수 있을 거라고 믿었다.

868년, 고작 열두 살밖에 안 된 최치원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던 날, 최견일은 경주의 한 포구에서 어린 아들과 이별하면서 매몰차게 말한다. “10년 안에 과거급제 못하면 너는 내 아들이 아니다. 그러니 학문을 게을리 하지 마라.”

당시 당나라에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치르던 빈공과라는 과거시험은 유학 열풍을 몰고 왔다. 이 시험에 합격하면 당나라에서도 벼슬을 할 수 있고 귀국해서도 출세의 길이 보장되었기 때문이다. 837년 한 해, 당나라에서 공부하는 신라의 유학생 수가 216명이었다 하니 얼마나 대단한 과거(科擧)였는지 짐작이 간다.

어린 최치원은 장안에 도착해 아버지의 당부대로 인백기천(人百己千)의 자세로 학문에 열중한다. 그리고 874년, 마침내 빈공과에 수석으로 합격하며 이름을 내건다. 당나라로 떠난 지 6년 만이었다. 그렇게 신라의 6두품 출신 최치원은 새로운 세상을 맞이했고, 탄탄대로의 삶을 예상했다.


▲최치원 초상, 채용신 그림, 1924.
▲최치원 초상, 채용신 그림, 1924.


뉴신라를 꿈꿨던 비운의 개혁가

그러나 관직으로 나아가는 길은 쉽지 않았다. 빈공과 급제 후 2년 만에 율수현위가 된다. 이후 회남절도사 종사관(비서격)으로 있을 때 최치원의 운명을 바꾼 사건이 일어난다. 소금장수인 황소가 농민반란을 일으켜 항복을 권유하는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썼는데, 이 글로 그의 이름이 빛을 발한다. 당시 중국인들 사이에서 “황소를 물리친 것은 칼이 아니라 최치원의 글이다”라는 소문이 떠돌 정도였다지만 이는 부풀려진 이야기라는 설도 있다.

어쨌든 그 공으로 황제에게 어대(魚袋)까지 하사받고 진급도 한 최치원은 당대 최고 문사들과 함께 글을 짓고 우정도 나누며 넉넉한 나날들을 보낸다. 하지만 고국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은 해소할 길이 없었다. 결국 향수에 못 이겨 스물아홉의 나이에 고국으로 돌아온다. 당나라로 떠난 지 17년 만이었다.

신라로 돌아온 최치원은 당나라에서 쌓은 업적과 경험을 바탕으로 왕실 최측근 자리에 기용된다. 밭 갈고 김매듯 마음을 파헤쳐 쓴 글을 묶은 ‘계원필경’도 이때 왕에게 바친다. 하지만 진골 귀족들이 그를 가만히 놔둘 리 없었다. 의심과 질투와 견제에 지쳐버린 최치원은 자청해 지방관으로(태산군 태수) 자리를 옮긴다.

타고난 신분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골품제와 신라 사회의 폐쇄성에 실망한 최치원은 지방직을 떠돌며 민심을 살폈다. 그 무렵 신라는 이미 망국의 길로 들어서고 있었다. 국정(國政)을 비방하는 벽서들이 여기저기 나붙었고, 관료들은 권력 다툼을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국가는 세금을 제대로 거둬들이지 못해 재정난에 허덕였다.

점차 붕괴되어 가는 나라를 보며 최치원의 개혁 의지는 다시 꿈틀거렸다. 894년, 그는 ‘시무십여조’를 진성 여왕에게 올린다. 내용은 전해지지 않지만 역사학자들은 왕권 강화와 골품제 완화, 그리고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을 주창했을 것으로 짐작한다.

진성 여왕이 시무책을 받아들이면서 최치원은 6두품 신분으로서는 최고 관직인 아찬에 오른다. 그러나 이번에도 중앙 귀족들이 들고 일어났고, 결국 눈엣가시였던 그의 개혁안은 허무하게 좌초되고 만다.

골품제라는 유리천장을 뚫지 못한 최치원은 이후 방랑과 은거의 길을 택한다.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좌절한 이 불혹의 천재는 모든 관직을 버리고 경주, 영주, 합천, 지리산, 부산 등을 떠돌며 세상의 시름을 잊는다. 53세까지 생존해 있었다는 건 그의 마지막 글을 통해 확인되지만 그 뒤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는다. 방랑하다가 죽었다고도 하고 신선이 되었다는 정말 신화 같은 이야기도 전해온다.

그가 지은 ‘입산’이라는 시를 읽어본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라 세상 같은 건 더러워서 버리는 것이다”라고 말한 어느 시인의 글과 자꾸 오버랩된다.


스님, 청산이 좋다 말 마소

산 좋다며 어쩐 일로 다시 산을 나서시는가

다음 날 내 자취나 두고 보시구려

한 번 청산에 들거든 다시 나오지 않으리니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