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서 또다시 마음으로 가리라”

기사입력 2020-11-30 10:12 기사수정 2020-11-30 10:12

[명사·명작 톺아보기] 청력 잃고 내면의 소리 얻은 베토벤

시대를 앞서간 명사들의 삶과 명작 속에는 주저하지 않고 멈추지 않았던 사유와 실천이 있다. 우리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자유와 사랑과 우정 이야기가 있다. 그 속에서 인생의 방향을 생각해본다. 이번 호에는 독일의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소개한다.



고전음악만 틀어주는 다방에서 죽치며 지낸 시절이 있었다. 물론 그때나 지금이나 클래식 음악에 대해서는 일자무식 쥐뿔도 모른다. 오래되어 삐거덕거리는 좁은 나무 계단을 거의 매일같이 올랐다. 차 한 잔 값 내고 몇 시간씩 앉아 있어도 회전율 생각하는 주인 눈치 같은 건 없었다. 마음 둘 데 없는 청춘들의 헛헛한 눈빛들이 앉아 귀 열어두기 좋았던 곳. 이제는 그야말로 클래식이 되어버린 그 다방에서 어느 날 난데없이 귀에 꽂힌 음악이 있었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9번’, 일명 ‘크로이처 소나타’였다. 톨스토이가 이 곡을 듣고 흥분을 감추지 못해 똑같은 제목의 소설을 썼다니 그 떨림을 조금은 알 것도 같다.

어쨌든 베토벤은 젊은 나이에 청력을 잃어 유서까지 쓰고 꽤나 괴팍한 인간이었던 모양이다. ‘바이올린 소나타 9번’에 ‘크로이처 소나타’라는 별칭이 붙은 것도 그의 성깔 때문이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1803년 그는 ‘브리지타워’라는 바이올리니스트에게 이 곡을 헌정할 생각으로 함께 초연까지 했다. 사달이 난 건 훈훈했던 연주회가 끝난 뒤였다. 두 사람은 술을 마시다가 말싸움이 벌어졌는데 베토벤이 격분하며 헌정 약속을 철회했고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였던 루돌프 크로이처에게 이 곡을 줘버렸다. ‘크로이처 소나타’라는 별칭이 붙은 이유다.

베토벤은 불같은 성격 때문에 망가진 관계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훗날 정신의학자들은 그의 상태를 분노조절장애, 우울증 등의 증세로 진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베토벤의 어린 시절을 들여다보면 그가 왜 불같은 성미에 고집불통으로 살았는지 짐작이 되는 부분도 있다.



빈으로 가다

1770년 독일 본에서 태어난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1770~1827)은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궁정의 악장, 가수로 활동했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피아노를 배웠다. 이 시기 아버지와의 관계는 썩 좋지 않았다. 어린 베토벤이 연주회 등에서 돈을 벌어오면 술값으로 탕진했던 아버지는 당시 신동으로 알려졌던 모차르트처럼 아들을 키워보고 싶은 욕심에 혹독하게 피아노 연습을 시켰다고 한다. 베토벤의 까탈스러운 성정은 이때 형성되었을 거라고 보는 이가 많다.

그는 모차르트 정도의 실력은 아니었지만 재능을 인정받을 만큼은 되어 11세 때 궁정음악가 크리스티안 고틀로프 네페에게 사사, 음악의 기초를 제대로 배운다. 청년 시절에는 음악의 도시 오스트리아 빈으로 가고 싶었지만 언감생심이었다. 알코올 중독 증세가 더 심해진 아버지 대신 가장의 역할까지 떠맡아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드리면 열린다고 했던가. 1792년 그를 후원하던 귀족들의 도움으로 마침내 빈으로 떠날 수 있게 된다. 그의 나이 22세 때였다. 그곳에서 저명한 음악가 하이든도 만나고 귀족들에게 연주를 해주면서 뛰어난 즉흥 연주 실력을 인정받는다. 특히 당시 열렬한 음악 애호가였던 카를 리히노프스키 공작은 베토벤에게 매료돼 자신의 저택에서 지내게 하면서 얼마간의 후원도 해주고 사교 클럽에도 소개한다. 20대의 베토벤은 어느새 명성이 자자한 인물이 되었다. 하지만 그는 귀족들 언저리에서 연주나 하는 자신을 점점 못마땅해했다.

하루는 리히노프스키 공작이 지인들을 위해 부탁한 즉흥 연주를 일언지하에 거절한다. 기분이 상한 공작이 충고를 하자 그는 의자를 집어 들고 바닥으로 내리치는 등 격분을 이기지 못했다. 이 일로 “나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최고의 후원자”라고 표현할 정도로 가깝게 지냈던 공작과의 관계는 영영 끝나버린다.

유럽에서 이름을 날리던 작가 괴테와의 불화도 자주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다. 황족 앞에서 모자를 쓴 채 고개를 뻣뻣이 들고 지나가는 자신을 괴테가 보고 나무라자 실망스런 표정으로 “당신과 나는 맞지 않나봅니다” 하고는 다시는 그를 만나지 않았다고 한다.

베토벤은 거들먹거리는 귀족들을 보면 코웃음치곤 했지만 이중적인 면도 보였다. 그 일례로 사람들이 자신을 루트비히 판(van) 베토벤이 아닌, 폰(von) 베토벤으로 잘못 불렀는데 귀족을 상징하는 이 호칭을 그는 굳이 바꾸려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청력을 잃어버린 ‘樂聖’

한창 기량을 발휘해야 할 젊은 시절, 베토벤은 귓병을 앓는다. 귀울림으로부터 시작된 병이었다. 그는 30대 초반의 나이에 유서를 쓸 만큼 고통스러워했지만 결국 살아보기로 마음을 돌렸고 이때부터 걸작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베토벤이 ‘교향곡 제1번’을 완성했을 때만 해도 평론가들은 “자신을 천재로 착각하는 촌뜨기”라며 혹평했다. 베토벤은 전혀 귀담아 듣지 않았다. 그리고 마침내 1824년 그 유명한 교향곡 9번 ‘합창’ 초연이 빈에서 이루어진다. 그의 청력이 완전히 상실된 뒤였다. 마지막 4악장을 끝낸 후 베토벤은 자신을 향해 쏟아지는 우레와 같은 박수 소리를 전혀 듣지 못했다. 무대에서 우두커니 서 있던 그를 청중석을 향해 잡아끈 이는 공연에 참여했던 가수였다. 베토벤은 그제야 돌아서 청중들을 보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마음에서 또다시 마음으로 가리라”, “불행은 이상하다. 그것을 말하면 점점 더 커진다” 등 그가 작품을 만들며 쓴 짧은 메모들은 다른 작가들의 영혼을 뒤흔들어놓곤 했다. 베토벤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현악 4중주 제16번(op.135) 4악장 악보에는 ‘힘들게 내린 결심’이라는 부제가 적혀 있었다. 그리고 악보 첫머리에 “그래야만 할까?(Muss es sein?)”, “그래야만 한다!(Es muss sein!)”라는, 갈피를 잡을 수 없는 화두 같은 자문자답도 함께 남겼다.

그의 나이 57세, 오스트리아 빈에서 진행된 장례식에는 무려 2만 명이나 되는 시민들이 참석했다. 자발적으로 ‘그래야만 했던’ 사람들이었다. 싫은 소리를 퍼붓던 하숙집 주인, 집안일을 도와줬던 여인네들도 나와 베토벤이 가는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섬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싶다면… 큰 언덕 매력적인 대부도 
  •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포토 에세이] 나목의 추상
  •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12월 5일, 임영웅 2025 시즌그리팅 예약판매 시작 “Hero's Day Off”
  •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한국골프관광협회, 한국마스터즈프로골프협회와 협약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