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인생을 뜸 들이는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

기사입력 2015-09-26 06:14 기사수정 2015-09-26 06:14

한복선식문화연구원장 겸 ㈜대복 회장 한복선

어린 시절 마리 퀴리 이야기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한복선(韓福善·66) 한복선식문화연구원장. 그녀는 허구의 소설보다는 사실적인 전기(傳記)를 더 좋아한다고 말한다. 소설보다 감동적인 실화를 통해 ‘나도 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희망을 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그녀에게 요즘 가장 강력한 희망의 기운을 주는 책은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잭 캔필드·마크 빅터 한센 저)다.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한복선식문화연구원장 겸 ㈜대복 회장 한복선(이태인 기자 teinny@)
▲한복선식문화연구원장 겸 ㈜대복 회장 한복선(이태인 기자 teinny@)

1997년 초판이 나오고 뉴욕타임스 190주 연속 베스트셀러에도 올랐던 책이지만 그녀는 최근에서야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를 접했다. 올해로 93세인 고모님이 당신의 딸(한 원장의 고종사촌 언니)에게서 2년 전 선물받은 책을 다시 한 원장에게 선물한 것이다. 책에는 ‘사랑하는 엄마에게 드립니다’라는 손 글씨와 함께 고모님의 흔적이 더해져 따뜻함이 물씬 느껴졌다.

“어느 날 고모님이 제게 줄 것이 있다며 부르셨어요. ‘나는 떠나야 하니 남기는 것 없이 가야겠다’며 이 책과 동의보감, 한씨 족보, 손수 쓰신 편지를 주셨죠. 자신의 모든 짐을 주변 사람들 각자의 성향에 맞게 도움이 되는 것들을 골라 주셨는데, 이 책이 제게 의미 있다고 생각하신 거죠. 우리 고모님은 저에게 ‘매일 아침에는 희망에 살고, 낮에는 노력에 살며, 밤에는 반성에 산다’는 붓글씨도 써주셨던 분인데, 이 책을 아주 감명 깊게 읽었다며 두고두고 읽으라고 말씀하셨어요. 아니나 다를까. 정말 두고두고 제게 희망을 주고 도움이 될 만한 책이었죠.”

사랑한다면 칭찬하기

고모님의 붓글씨처럼 책에는 희망, 노력, 반성을 이끄는 메시지가 가득했다. 그녀는 책에 담긴 모든 이야기가 인생의 연륜과 경험을 쌓은 인물들의 실화라는 점에 더욱 감탄했다. 자신과 비슷한 경험, 하고 싶었는데 하지 못한 것들, 이제부터 무언가를 해야겠다는 다짐 등을 떠올리며 책을 읽는 내내 깊은 생각에 빠졌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배움과 가르침을 위한 수프’의 한 이야기다. 미네소타 주 성모 마리아 학교의 므로슬라 수녀는 반 아이들에게 급우들의 이름을 백지에 모두 적게 한 뒤, 그 이름 옆에 자기가 생각하는 그 학생의 좋은 점과 훌륭한 점들을 적게 했다. 그리고 다른 종이에 친구들이 말한 그 아이의 장점들을 모두 기록해 다시 나누어 주었다. 훗날 베트남에서 전사한 한 아이의 지갑에서 자신의 장점이 적힌 종이가 나왔는데, 놀라운 것은 그의 장례식장에 온 다른 학생들도 저마다 그 종이를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오래된 종이 한 장을 인생의 보물처럼 여기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 이야기를 읽고 난 한 원장은 옛 추억이 떠올랐다.

“중학교 때 교생 선생님께서 우리 반 아이들의 이름을 모두 적은 뒤 각자 사귀고 싶은 친구를 화살표로 그어보라고 하셨어요. 그때 많은 친구가 제게 화살표를 줬는데 참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죠. 이것에서 한 단계 발전된 것이 책에 나온 장점 종이가 아닐까 생각해요. 저는 ‘칭찬’의 힘을 믿어요. 칭찬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을 집중적으로 사랑하고 있다는 표현이에요. 사실 저는 엄마(궁중음식의 대가 고 황혜성 교수)에게 ‘엄마는 훌륭해’, ‘예뻐’, ‘사랑해’ 이런 말들을 마음에만 간직하고 표현은 못 했어요. 후회를 안 하는 성격인데 그건 정말 후회로 남더라고요. 그래서 딸들에게 ‘너희도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나도 칭찬 좀 해줘’라고 말하곤 하죠.”



묵은지보다는 ‘젊음 겉절이’

한 원장은 2013년 첫 음식 시집 ‘밥 하는 여자’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음식 시집 ‘조반은 드셨수’를 펴냈다. 음식 시집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시의 제목과 내용은 모두 음식과 연관돼 있다. 그녀는 음식의 역사와 조리법, 개인적인 추억까지 담아 100년 후에 시집을 보았을 때 우리 음식의 역사와 사회상을 엿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깍둑깍둑’, ‘댕강댕강’, ‘호물호물’ 등 아름다운 우리말이 어우러진 그녀의 시들 중에서 ‘젊음 겉절이’라는 시가 눈에 띄었다.

“나도 노인이지만 우리 노인들은 표정이 너무 근엄해요. 무섭기도 하고. 어찌 보면 너무 어른답게 살려고 하는 것 같아요. 그런 노인을 비유하는 단어로 ‘묵은지’를 많이 쓰죠. 하지만 난 그러고 싶지 않아요. 묵은지처럼 내가 이렇게 묵었으니 너희는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식의 가르침보다는 늘 싱싱한 겉절이를 담가 젊은이들과 함께 주거니 받거니 하고 싶어요. 아이들에게도 김치나 젓갈을 넣은 겉절이처럼 전통은 전수하지만 오렌지주스를 넣은 겉절이도 괜찮으니 각자 자신만의 겉절이를 담가보라고 하죠. 저 역시 새롭고 싱싱한 나만의 겉절이를 담가서 묵은 훈계보다는 새로운 이야기들을 공유하려고 해요.”


▲한복선식문화연구원장 겸 ㈜대복 회장 한복선(이태인 기자 teinny@)
▲한복선식문화연구원장 겸 ㈜대복 회장 한복선(이태인 기자 teinny@)

뜸이 잘 든 차진 인생을 위하여

‘어둡고 무거운 더듬고 가는 안개 속 세상/ 맛있게 살려고 뜸 들여 가지만/ 다 익지도 못하고 우리 설컹히 가는구나’ 그녀의 시 ‘뜸 들이다’의 마지막 연이다. 뜸을 잘 들여야 인생이 맛있어진다는 그녀. 한 원장의 인생 뜸도 잘 들여지고 있을까?

“우리는 아직도 철들지 못하고 인생을 살아가고 있잖아요. 다들 뜸 들이고 있는 과정이죠. 뜸이 다 들고 익으면 성인(聖人)이 되겠지만, 아마 우리는 이 삶이 끝나고 뚜껑을 열었을 때 그 뜸이 잘 들었는가를 알 수 있을 거예요. 사람은 누구나 사사로운 고민과 걱정에 휩싸이게 되잖아요. 아주 작은 일로도 나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기도 하고요. 그것은 결국 나의 수양이 부족해서죠. 세상에 번잡하고 화나는 일이 얼마나 많겠어요. 하지만 그런 것을 다 내뱉는 것은 오히려 피곤해요. 다른 쪽으로 해소하는 방법이 필요하죠. 저는 그런 것들을 시로 쓰거나 그림을 그리며 뜸을 들이는 편이에요. 지금은 나이도 있으니 저도 뜸이 한 70%는 들었겠죠. 나머지 푹 익히고 싶은 30%는 시와 음식,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채워 가면 되지 않을까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문장을 따라 걷다, 박완서 13주기 추모 공연
    문장을 따라 걷다, 박완서 13주기 추모 공연
  • “치매는 곧 만성질환, 안심하고 걸릴 수 있는 사회 돼야”
    “치매는 곧 만성질환, 안심하고 걸릴 수 있는 사회 돼야”
  • 지웅스님, 서울노인복지센터 제7대 관장 취임
    지웅스님, 서울노인복지센터 제7대 관장 취임
  • “단순하게 살아갑니다”... 황보름 작가의 휴남동 서점 그 후
    “단순하게 살아갑니다”... 황보름 작가의 휴남동 서점 그 후
  • 기업지배구조 전문 미디어 '더 이코노미' 창간…
    기업지배구조 전문 미디어 '더 이코노미' 창간…"한국경제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 될 것"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