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한 블랙코미디 ‘완벽한 타인’

기사입력 2018-11-27 10:20 기사수정 2018-11-27 10:20

타인의 비밀을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비밀은 밝혀지는 것이 맞는가? 아니면 비밀은 비밀의 영역에 감추어두는 것이 바람직한가? 등장인물들의 비밀을 끊임없이 까발리면서 파괴되어가는 인간성을 소재로 한 영화 <완벽한 타인>. 아마도 막장드라마의 종합선물세트가 아닌가 싶다.

극 중 예진(김지수)의 대사에 나오듯이 어느덧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블랙박스’가 되었다. 영화는 이 위험한 장난감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과거에는 모든 비밀이 인간의 기억 속에만 숨어 있어 본인이 털어놓지 않으면 알 길이 없었지만, 과학기술의 발달과 게을러진 인간의 합작으로 탄생한 ‘확장된 기억’의 수단인 스마트폰으로 인해 전혀 다른 세계가 전개되었다. 그것은 뇌 속에 숨어있던 비밀이 언제나 노출될 수 있고 훔칠 수 있는 물질적 세계로 바뀐 것이다.

(영화 '완벽한 타인'의 한장면)
(영화 '완벽한 타인'의 한장면)

40년 지기 초등학교 동창 네 명이 부부 동반으로 석호(조진웅)의 집들이에 초대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겉으로 보기에 부부들은 화기애애하고 오랜 친구들은 서로를 속속들이 안다고 자부한다. 이런 자신감 때문이었을까. 예기치 않게 예진이 제안한 스마트폰 공개하기 게임을 시작하면서 이들은 공포의 소용돌이에 빠져든다. 그들이 모임을 갖는 동안에 오는 전화와 문자를 모두 공유하는 것이 이토록 무서운지 몰랐던 것이다. 영화가 진행되는 100분 동안 모든 각자의 비밀이 드러나는 설정이 과하기는 하나 노련한 배우들이 만들어내는 긴장은 잠시도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물론 이 영화는 긴장과 공포로만 일관하지는 않는다. 본래 장르인 블랙코미디답게 곳곳에 폭소를 배치했다. 이 영화에서 벌어지는 막장극의 내용은 아침드라마에서 늘 보았듯 특별하지는 않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영화가 긴 여운을 남기는 것은 마지막 반전 덕분이다. ‘낯설게 하기’라는 문학 기법을 연상케 하면서 인간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아이러니를 선사하기 때문이다. 관객들이 마지막에 전개되는 장면들에 어리둥절하면서도 문득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는 계기를 부여한다. 최근 신문에서 읽은 ‘생각의 속임수’란 책을 낸 권택영 전 경희대 교수의 인터뷰가 생각난다. “베일에 싸인 ‘금지’의 영역이 늘 우리를 유혹하지만, 그 욕망이 인간의 본질이며 어쩌면 삶의 원동력일 수 있다.” 어쩌면 건강한 비밀은 간직하는 것이 나을 듯도 하다.

(영화 '완벽한 타인')
(영화 '완벽한 타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장혁부터 한석규까지… 용띠 스타, 청룡의 해 열일 행보
    장혁부터 한석규까지… 용띠 스타, 청룡의 해 열일 행보
  • [카드뉴스] 손주와 함께 보는 OTT 애니메이션
    [카드뉴스] 손주와 함께 보는 OTT 애니메이션
  • 배우 변희봉, 췌장암 투병 끝 별세…향년 81세
    배우 변희봉, 췌장암 투병 끝 별세…향년 81세
  • 임영웅, 오늘(14일) 서울 콘서트 티켓 오픈 ‘피켓팅 예고’
    임영웅, 오늘(14일) 서울 콘서트 티켓 오픈 ‘피켓팅 예고’
  • 이필모, FA 시장 나왔다… 새로운 소속사 찾아
    이필모, FA 시장 나왔다… 새로운 소속사 찾아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