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제대로 알기]
-
- “추정 치매환자 91만명인데…배회감지기 보급 누적 건수 1만여건 불과”
- 서미화 의원, 복지부 자료 제출받아…“추정 치매환자 5년 만에 22% 증가” “치매안심센터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1만여건에 그쳐” 추정 치매환자가 90만 명을 넘은 가운데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건수가 1만여 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 수는 2020년 74만6000명에서 작년 91만 명으로 20만 명 가까이 증가했다. 65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면서 추정 치매환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작년 65세 이상 인구는
- 2025-10-24 10:32
-
- “‘치매머니’ 154조 원, 신탁·보험 제도 개선 필요해”
- 치매 환자가 보유한 자산, 이른바 ‘치매머니’ 규모가 150조 원을 웃돈 만큼 제도 개선을 통해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2일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정승희 연구위원은 최근 ‘치매 인구의 확대와 금융의 역할’ 보고서를 통해 “치매 시대 도래에 대응하여 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책당국의 신탁, 보험 부문의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과 더불어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치매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 2025-10-22 02:39
-
- 서울시민 '치매' 이해도 높아졌다
- 서울시민의 치매에 대한 이해도가 10년 전보다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19세 이상 시민 1071명을 대상으로 ‘2025 서울시민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인식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6.6%가 ‘치매에 관심이 많다’고 답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15년 대비 29.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또한 ‘치매 관련 정보를 얻고 싶다’는 응답도 84.6%로 높게 나타나 시민들의 정보 요구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이 가장 알고 싶어 하는 내용은 치매 예방(83.2%)이었으며, 이어 의학적 이해(64
- 2025-10-20 10:43
-
- ‘154조 치매머니’ 국정감사 화두…내년 예정 ‘치매공공신탁 시범사업’ 우려 나와
- ‘154조 치매머니(고령 치매환자 자산)’가 국정감사 화두로 떠오르면서 내년에 정부가 시행할 예정인 ‘치매 공공신탁 시범 사업’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제기됐다.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보건복지부 치매안심센터에서 발굴을 담당하고 있는 치매공공후견사업의 후견 청구는 총 307건으로 이 중에 92건이 재청구, 2건이 재재청구로 신규 발굴 건수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치매 공공후견사업은 시·군·구 치매 안심센터를 통해 시행되고 있으며 보통 3년간 특정 후견을 제공해 재산 관리와 의료 행위 동의 등 신
- 2025-10-15 23:57
-
뉴스 더보기
[즐거운 노후생활 국민연금의 모든 것]
-
- ⑫내년부터 보험료율·소득대체율 동시 인상
-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 사회보험 제도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에 대해 ‘국가가 최종 지급을 보장하는 제도로 국가가 존속하는 한 반드시 연금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노후 자금의 기본이자 토대인만큼 는 ‘국민연금 백문백답’을 통해 국민연금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가장 효율적인 연금 활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내년부터 국민연금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동시에 조정될 예정이지만, 이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특히 ‘더 많이 내고 덜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는 좀처럼 가라앉지
- 2025-08-04 10:19
-
- ⑪출산크레딧 내년부터 첫째도 인정…군복무도 인정
-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 사회보험 제도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에 대해 ‘국가가 최종 지급을 보장하는 제도로 국가가 존속하는 한 반드시 연금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노후 자금의 기본이자 토대인만큼 는 ‘국민연금 백문백답’을 통해 국민연금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가장 효율적인 연금 활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명이다. 성인 여성이 한 명의 자녀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주거비 부담, 소득 양극화, 결혼·가족관 변화 등 사회·경제·문화 등의 복합적인 고민을 반영
- 2025-08-04 10:18
-
- ⑩이민자 위한 ‘반환일시금 제도’
-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 사회보험 제도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에 대해 ‘국가가 최종 지급을 보장하는 제도로 국가가 존속하는 한 반드시 연금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노후 자금의 기본이자 토대인만큼 는 ‘국민연금 백문백답’을 통해 국민연금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가장 효율적인 연금 활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년 이후의 삶을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보내고자 하는 관심이 여전하다. 이때 궁금한 것 중 하나가 국민연금 수령 여부다. 해외에 거주해도 국민연금을 받을 수
- 2025-08-04 10:14
-
- ⑨국민연금 가입자 사망 시 유족연금 수령 가능
-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 사회보험 제도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에 대해 ‘국가가 최종 지급을 보장하는 제도로 국가가 존속하는 한 반드시 연금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노후 자금의 기본이자 토대인만큼 는 ‘국민연금 백문백답’을 통해 국민연금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가장 효율적인 연금 활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후소득을 보장하는 국민연금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배우자 사망 시에 연금 승계가 가능한 지도 관심사다. 올해 3월 기준 국민연금 가입자는
- 2025-08-04 10:15
-
뉴스 더보기
[공모전 수상작 [나의 '브라보!' 순간]]
-
- 오뚝이 찐빵의 꿈
- 눈꽃이 소복이 내려앉은 작년 12월이었다. 순백의 드레스를 입은 한신대학교 정문은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차가운 공기가 뺨을 스칠 때마다 마음마저 하얗게 물들었다. 교정으로 들어서니 눈밭에는 청춘의 발자국들이 여기저기 꿈을 좇았다.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캠퍼스는 내일을 향한 설렘으로 가득했다. 회계동아리 학생들과 종강 후 학교 앞 카페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구석에 앉아 있던 한 남학생이 진지한 표정으로 물었다. “교수님, 이제 사회생활을 곧 시작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나는 메모지에 ‘Aim High!(목표를 높게
- 2025-09-24 10:35
-
- 내 사랑 내 곁에
- 준비 없는 퇴직이었다. 늘 노후를 준비해야 한다고 남들에겐 입버릇처럼 말해놓고 정작 나를 위한 노후 준비는 없었다. 내 일은 평생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내가 끝내야 끝날 일이라고 자만했다. 그러나 그 시간은 예고 없이 찾아왔다. 나는 35년 동안 영업 조직에서 일했다. 조직 확장과 조직의 성장이 곧 나의 성장이라고 믿고 숨 가쁘게 달려왔다. 그러다 어느 날 고개를 들어보니 세상은 온통 바뀌어 있었고, 온라인으로 물건을 사고파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선택사항이 아니었다. 기존의 영업 방식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회복할 수
- 2025-09-24 10:35
-
- “인생의 사표(師表)를 찾아서”
- #1. 나는 지금도 이순신 장군을 만나러 갈 때면 소년 시절 소풍 전날처럼 마음이 설렌다. 오랜 도시 생활에서 사람들과 부딪히면서 쌓인 스트레스가 다 날아가는 것 같은 홀가분함을 미리 만끽한다. 특히 통영에서 배를 타고 20여 분 달려가서 한산도 동백꽃을 구경할 생각을 하면 안달이 날 정도다. 이순신 장군의 영당인 충무사가 바라보이는 홍살문을 지날 때부터 어떤 웅혼한 기상을 느낄 수 있다. 고즈넉한 곳, 영정 앞에 향불을 피우고 소망을 기도하고 사당을 한 바퀴 돌면 몸과 마음이 정화되는 느낌을 받는다. 도심의 찌든 삶의 때를 푸른
- 2025-07-25 15:59
-
- 인생 2막의 변주곡
- 인생은 버라이어티 쇼다. 다만 그것이 매번 재미와 감동을 전해주는 쇼는 아니라는 거다. 내겐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다. 그것은 진학과 직장, 결혼과 입양, 이혼과 퇴직 등 인생의 중요한 결정적 순간마다 깊이 영향을 주었다. 어린 나이에 겪은 부모의 상실은 나보다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을 돌보고 좋은 사람으로 살아야 한다는 부담을 갖게 했다. 스스로에게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살 것을 종용했다. 그로 인해 힘든 인생을 자처했고 오히려 외로운 삶을 살았다. 대학 생활 내내 과외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업과
- 2025-07-25 16:00
-
뉴스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