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 2월, 케이프라이드에는 사업 확대를 위해 증축한 신설 공장과 기존 공장 전체가 소실될 정도로 큰 화재가 발생했다. 게다가 공장 재건 중 직원 20여 명이 한 번에 이탈하며 인력 수급 문제까지 떠안게 되어 막막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케이프라이드는 강원중장년내일센터의 도움을 얻어 짧은 시간에 지금의 모습을 이룰 수 있었다. ㈜케이프라이드는 횡성의 우천제2농공단지 치악산자락이 펼쳐진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단지 내 최다 인원이 근무 중인 기업으로 2차 육가공품인 양념육, 분쇄가공육, 소시지 등을 생산해 판매
섬유산업은 가내 수공업적 전통산업에서 현대 산업 사회로의 발전을 이끄는 견인차 구실을 했다.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기에 섬유산업이 중심 역할을 했고, 대구는 이를 기반으로 성장한 ‘섬유 도시’다. 대구는 염색공장과 침구업체 침구 도소매 업체 집적지가 있으며, 전국에 유통되는 침구 제품 대부분을 생산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한빛침장은 섬유 도시의 명맥을 잇고 있는 기업 중 한 곳이지만, 장기근속 근로자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입사 지원 부족이 걱정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던 중 대구중장년내일센터의 사업주지원패키지 서비스를 활용해 현시점에서 도움이
70~80대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육 밸런스가 잘 갖춰져 있어야 한다. 나이 들어 근력을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늦어도 40~50대부터, 실은 더 일찍 20~30대부터 근력을 키워야 한다. 유병장수 시대인 지금, 노후에 연금보다 중요한 것은 근육이다. -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시니어 매거진 2024년 1월호 인터뷰 중) 에디터 조형애 취재 손효정 디자인 유영현
요즘 중소기업의 구인난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숙련 근로자는 점점 나이가 들어가고, 그들의 귀중한 경험과 기술력은 전수받을 새로운 인력을 찾지 못해 휘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물며 청년 인구가 적은 지역에 있고, 3D(Dirty·Difficult·Dangerous) 업종이라면 그 상황은 더 심각하다. 부곡스텐레스는 이러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장년층 인력으로 눈을 돌렸다. 부곡스텐레스㈜의 공장 건물 외벽에 ‘하면 된다, 할 수 있다, 해 보자’라고 큼지막하게 써붙인 문구가 대번에 눈길을 사로잡는다. 41년간 이어진 기업
춤엔 어렸을 때부터 일가견이 있었다. 중학교 3학년 때 TV에서 윈드밀이라는 비보이 댄스를 보고 혼자 따라 추기 시작했고, 그 후 온갖 경연대회 상을 휩쓸었다. 2003년 구로구 시설관리공단에 입사하며 춤과 멀어지는 듯했지만, 그 사랑이 식진 않았다. MBC ‘팔도모창’에 출연하면서 꾸준히 방송국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개인 SNS도 하고 있다. ‘57세 아저씨 비보이 공연 난입’, ‘56세 아저씨 뉴잭스윙버전 챌린지’ 영상은 각각 조회수 300만 회, 251만 회가 넘었다. 누군가 내 영상을 보고 춤출 용기를 얻었다고 말한다.
38년간 굴지의 기업에서 근무했고, 퇴직 후 별다른 계획을 세우지 않았던 하윤수 씨. 그는 퇴직을 앞두고 회사에서 진행하는 생애경력설계 강의를 듣고, 먼저 퇴직한 선배들이 ‘인생 2막 준비는 미리미리 해야 한다’는 이야기에 생각이 바뀌었다. 이후 여러 취업지원기관을 방문했지만, 원하는 것을 찾기 쉽지 않아 낙담하던 찰나 중장년내일센터를 알게 되었다. 중장년내일센터에서 진행한 개인별 맞춤형 상담을 통하여 인생 2막에 대한 자신감을 느끼게 됐다. 그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다양한 경로 등을 안내받으면서 체계적으로 퇴직 후의 삶을 준비할
브라보 마이 라이프와 노사발전재단이 함께 재취업에 도전하는 중장년을 응원하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캠페인을 펼칩니다. ‘다시 시작하는 중장년 우수사례 공모전’의 수상 대상자들을 지면을 통해 소개합니다. 약 38년간 경리·회계 담당자로 일하다가 코로나19 이후 어려워진 경영에 원치 않은 퇴사를 하게 된 차은미 씨. 한 집안의 가장이었던 그는 재취업이 누구보다 간절했다. 58세의 나이 탓이었을까. 재취업의 문턱에서 좌절하고 사회복지사로의 전직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한 계기로 서울서부중장년내일센터의
코로나19로 운동시설이 문을 닫자 새벽과 퇴근 이후 시간을 이용해 홈트를 시작했다. 그때까진 각자였다. 우리는 6주간 하면 복근을 만들 수 있다는 ‘복근사관학교’ 프로그램에서 처음 만났다. ‘가능할까’라는 의심이 들긴 했지만 도전했다. 보디프로필 찍기가 버킷리스트였으니까…! 20대부터 안 해본 운동이 없었지만 몸이 탄탄하지는 않았다. 식스팩 그리고 초콜릿 복근. 욕심이 났다. 그렇게 6주가 지나고 받아 본 결과는 대만족이었다. 비대면이라는 한계가 무색하게 미션을 완수했다. 서로 메이트가 되어주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너무 힘들어
젊은 시니어라 불리는 욜드족은 수선스럽지 않게 일상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과제를 달갑고 고맙게 받아들인다. 끊임없이 배우고, 도전하고, 자신을 사랑하며 사는 법을 실천하는 것이다. 젊은이를 능가하는 의욕과 건강을 자랑하는 우리 주변의 욜드족들을 만나봤다. 김기용(57) 씨는 춤 잘 추는 아저씨로 유명하다. 중학교 3학년 때 TV에서 ‘윈드밀’이라는 비보이 춤을 보고 혼자 따라 추기 시작했는데, 이후 온갖 경연대회를 휩쓸며 상을 탔다. 1993년 SBS ‘꾸러기 콘테스트’에서는 HOT 멤버 문희준의 캔디춤으로 유명했던 춤으로 대상을 받
“‘아휴, 이제 그만 오세요!’라고 말씀드릴 정도예요”라며 환하게 웃는 얼굴이 정겹다. 그러니까 조규석 원장의 말을 풀어보자면, 주민들이 수시로 병원에 찾아와 건강을 상담하고 언제든 전화를 걸어 궁금한 걸 묻기에 이렇게 너스레를 떤다는 것이다. ‘나를 아는 주치의가 있는 곳’이라는 부천시민의원의 슬로건처럼 조규석 원장은 부천시 원미동 주치의로서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조규석 부천시민의원 원장은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순천향대학병원에서 외과 교수로 근무했다. 2014년 협동조합을 공부하는 모임에 참여했다가 마음 맞는
서른아홉의 어느 날. 스타벅스 잠실점에서 초등학생 아이들을 기다리는데 공고 하나가 눈에 띄었다. ‘아르바이트 모집’. 바리스타를 구한다고 했다. 커피를 잘 알지도, 배워본 적도 없었지만 덜컥 지원서를 냈다. 그 후 모든 관심은 커피였다. 취미는 커피 공부. 앞치마에는 훈장처럼 이렇게 자수가 놓여있다. ‘마스터 바리스타’. 스타벅스 내 교육을 이수하고 2017년 자격을 취득한 뒤 매년 마스터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승진 기회가 있었지만 마다했다. 일과 가정 모두 잘 챙기고 싶어서다. 바리스타를 업으로 삼은 지 벌써 20년이 다 되어
젊은 시니어라 불리는 욜드족은 수선스럽지 않게 일상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과제를 달갑고 고맙게 받아들인다. 끊임없이 배우고, 도전하고, 자신을 사랑하며 사는 법을 실천하는 것이다. 젊은이를 능가하는 의욕과 건강을 자랑하는 우리 주변의 욜드족들을 만나봤다. 젊게 살기 위해서는 체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 둘은 20대부터 안 해본 운동이 없었다. 목·허리 디스크, 어깨 통증 등 잦은 관절 통증으로 병원에 갈 때마다 운동하라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살기 위해 시작한 운동이었다. 꾸준히 운동하면서 김해순(52) 씨는 오랫동안 겪어왔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진료 분야는 척추신경외과. 내시경디스크수술, 척추 협착증, 경추인공디스크 수술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곧잘 젊어 보인다는 말을 듣는데, 아마도 취미 덕인 것 같다. 바로 산악스키다. 산악스키는 등산과 스키가 결합된 운동이다. 오래전부터 유럽·북미의 대표 아웃도어 스포츠로 알려져 있다. 처음부터 산악스키에 빠진 건 아니다. 난 한때 스키 마니아였다. 영원할 줄 알았던 흥미는 40대 중후반 들어 떨어졌다. 무릎에 무리가 와 아예 스키를 놓을까도 생각했다. 그때 동료 의사가 말했다. “
경기도 용인시 한 건물의 관리소장 이의웅 씨. 하수구 청소, 고공 사다리 작업 등 직원들이 꺼려하는 궂은일을 나서서 한다. 그런 그의 얼굴에는 늘 미소가 가득하다. 대기업에서 명예퇴직한 그는 시설관리 일을 하면서 인생 2막을 보내고 있다. 문과 출신으로 30여 년 동안 사무직으로 근무한 그는 퇴직 후 오래 일하고 싶다는 생각에 전기와 소방 분야로 전직을 결심했다. 그러나 평생 쌓아온 지식과 경력이 이공계 기술과는 거리가 멀었기에 쉬운 길이 아니었다. 그때 경기중장년내일센터 컨설턴트가 가이드를 제시해줬고, 그는 마음을 굳게 먹을 수
우리나라 골목길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며 사람과 돈이 모이는 공간의 비밀을 탐구하는 모종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그가 ‘골목길 경제학자’로 불리는 것도 이런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11년째 골목길과 사랑에 빠지다 빈틈없이 빼곡하게 쌓인 책들 사이로 고개를 빼꼼 내밀어 인사하는 모종린 교수의 주전공은 경제학으로 국제관계와 한국 발전론을 연구하고 강의한다. 이런 그가 11년째 골목길과 사랑에 빠진 이유가 궁금했다. 2013년 대기업의 제주도 투자가 이어지면서, 제주 골목골목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성지가 되는 것을 보고 신기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