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 필요한 부부 최소 생활비는 137만원"

기사입력 2014-04-01 08:34 기사수정 2014-04-01 08:34

50대 이상의 중·노년층들은 노후에 최저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부부 기준 월 136만9000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펴낸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성공적 노후와 노인 관련 제도에 대한 인지 및 이용실태' 보고서에서 전국 50세 이상 5249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4차 국민노후보장패널 부가조사(2012년도) 결과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노년을 맞을 경우 최저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금액으로 부부 기준 136만9천원, 개인 기준 83만4천원을 꼽았다.

표준적인 생활을 위한 '적정 생활비'는 부부 192만9000원, 개인 119만3000원이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대별로는 60대가, 그리고 고학력자 일수록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활비 수준이 더 높았다.

그러나 실제로 노후 준비 상황은 기대치에 훨씬 못 미쳤다.

50대 응답자 가운데 국민연금, 공무원 연금 등 공적연금에 가입된 사람은 세 명 중 한 명인 33.6%에 그쳤고, 공적연금 가입자들의 평균 예상 수급액은 현재가치 기준으로 월 54만원에 불과했다.

공적연금이 향후 노후 생활비를 얼마나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높았다.

또 60대 이상 응답자 중 공적연금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8.7%였으며 월평균 수급액은 52만2000원이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공적연금의 가입자와 수급자 모두 수급액이 노후 생활비에 부족하다고 인식했다"며 "공적연금 수급액 수준을 올리기 위해서는 가급적 이른 시기에 공적연금에 가입해 가입기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일본인의 인생 마지막 준비, 종활과 엔딩버스
    일본인의 인생 마지막 준비, 종활과 엔딩버스
  • 서울시 ''디지털 안내사'', 어르신 키오스크 공포 해소 역할 톡톡
    서울시 ''디지털 안내사'', 어르신 키오스크 공포 해소 역할 톡톡
  • [카드뉴스] 어른답게 말하는 법
    [카드뉴스] 어른답게 말하는 법
  • 보건복지부, 노인연령 조정 첫 간담회
    보건복지부, 노인연령 조정 첫 간담회
  • 젊어진 서울시 중장년, 디지털 주도층으로 떠올라
    젊어진 서울시 중장년, 디지털 주도층으로 떠올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