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옛날부터 많은 현인들이 ‘성격’의 정의를 그렇게 내려왔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성격이 운명이라고 했다. 셰익스피어도 성격이 운명을 좌우한다고 말한다. 대표작 ‘햄릿’은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파국을 맞는 인간형을 보여준다. 100년을 살아온 김형석 교수도 칼럼에서 성격은 깔린 철로와 같아서 인간은 그 궤도를 벗어날 수 없다고 말한다. 과연 온전히 맞는 말들일까? 그렇다면 잘 못된 성격을 타고난 사람들의 운명은 너무 억울한 것 아닌가?
사실 운명이라는 말처럼 애매모호하고 무책임한 말도 없다. 이슬람 문화권을 여행하면서 느꼈던 것인데 어렵고 까다로운 일은 물론 대수롭지 않은 버스 오는 시각까지 “인샬라” 한마디로 눙치며 신에게 미루는 모습에서 신심이 두텁다고 느끼기보다는 책임지기 싫은 인간의 얄팍함에 실소했던 적이 있다. 어쩌면 모든 것을 운명으로 돌리는 태도는 그 운명과 맞닥뜨리는 자세라기보다 눈앞의 운명으로부터 도피하려는 행위로 보인다.
TV 드라마에선 젊은 부부들이 양말을 함부로 벗어놓는다든지 치약을 중간부터 눌러 짜는 버릇에 대해 진저리를 치며 성격 차이라고 말한다. 그런 사소한 습관이 성격이라면 대부분의 부부가 헤어져야 마땅할 것이다. 그러니 그 경우 성격이라기 보다는 잘 못 형성된 습관 정도로 보는 게 옳겠다.
고대로부터 이어져온 말처럼 성격이 운명이라서 평생 바꿀 수 없다면 우리의 삶은 얼마나 암담한가. 어떤 심리학자는 생각을 바꾸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변하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는 희망을 준다. 사과나무가 포도나무가 될 수는 없지만 더 좋은 사과를 맺을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니 성격이 운명이라기 보다는 타고 난 성격을 갈고 닦아온 ‘인격’이 운명이라는 말이 조금은 더 위안이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