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를 가려내 증오하라

기사입력 2020-07-08 09:11 기사수정 2020-07-08 09:46

[임철순의 즐거운 세상]

임철순 언론인ㆍ전 이투데이 주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서울 인사동 화봉갤러리에서는 올해 6회 화봉학술문화상 수상자인 김영복 케이옥션 고문의 ‘서여기인’(書如其人)전이 열렸다. 수상자의 소장 고서 100점을 전시하게 돼 있는 제도에 따라 그가 선보인 것은 추사 글씨와 각종 희귀본 족보 등이다. 당파별로 혼맥(婚脈) 관리를 위해 작성한 ‘잠영보’(簪纓譜)와 혼맥을 정리한 ‘인척보’(姻戚譜), 원수 집안의 목록을 묶은 ‘수혐보’(讐嫌譜) 등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

▲수혐록
▲수혐록

나는 가서 보지 못했지만 뒤늦게 수혐보에 관심을 갖게 돼 좀 알아보았다. 수혐은 원수처럼 미워한다는 말이다. 표지에 ‘수혐록’(讐嫌錄)(필사본 1책)이라고 씌어 있는 이 고서는 1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원수 집안의 계보를 수록한 책이다. 당쟁과 사화로 피해를 본 가문이 사건의 전말과 배후 인물을 정리해 그 집안과 혼인을 금하는 것은 물론 후손들이 잊지 않게 하려고 제작했다. 노론계 집안에서 만든 듯 남인과 소론계 집안이 거의 수록돼 있다.

오랜 세월 척진 집안을 혐가(嫌家)·수가(讐家)라고 부르면서 대를 이어 혼인은 물론 교류도 하지 못하게 해온 세혐(世嫌)의 원인은 당쟁이나 사화만이 아니었다. 조상을 모욕했다는 시비와 묫자리를 둘러싼 산송(山訟), 학문상의 견해차가 감정싸움으로 비화한 경우 등 다양하다. 기록으로는 남기지 않았지만 구전돼온 ‘블랙리스트’도 있다.

▲묫자리 소송에 휘말렸던 윤관 장군 묘역.
▲묫자리 소송에 휘말렸던 윤관 장군 묘역.

파평 윤씨와 청송 심씨 가문의 산송은 1614년에 시작돼 400년 가까이 지난 2006년에야 해결됐다. 여진 정벌에 공을 세운 윤관(尹瓘, ?~1111) 장군의 파주 묘역 바로 뒤에 청송 심씨가 묘를 쓰면서 빚어진 분규는 영조까지 친히 나서 중재하고 귀양 보내고 했으나 해결되지 않았다. 통혼은 물론 교류도 하지 않던 두 문중은 2005년 8월 청송 심씨 종중 묘 19기와 신도비 등을 파평 윤씨 문중이 제공하는 땅으로 이장키로 합의하고, 이듬해 4월 합의 사실을 공개했다. 이들은 합의서에서 “조상을 바로 섬기려는 신념에 의한 것이었으나 세상에는 자칫 곡해될 우려가 있어 대승적인 결정으로 400년간의 갈등을 해소하기로 한다”고 밝혔다.

▲우암 송시열(왼쪽)과 명재 윤증.
▲우암 송시열(왼쪽)과 명재 윤증.

은진 송씨와 파평 윤씨의 대립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과 명재(明齋) 윤증(尹拯, 1629~1714)의 회니시비(懷尼是非)에서 비롯됐다. 회니시비는 우암의 집이 회덕(지금의 대전 읍내동)이고 명재의 집이 니성(지금의 논산시 노성면)이어서 생긴 말이다. 당초 사제관계였던 두 사람은 명재가 부탁한 아버지의 묘갈명을 우암이 성의 없이 쓴 데다 고인을 비난하기까지 해 완전히 사이가 틀어졌다. 둘의 대립은 급기야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서는 상황으로까지 번졌다. 지금도 두 가문은 불편한 관계인 것 같다.

우암을 송자(宋子)라고 부르면서 거의 성인으로 떠받드는 사람들이 있지만, 노론에 의해 권력을 잃은 남인의 근거지인 경상도에서는 성인은커녕 사람대접도 하지 않았다. 개에게 노론의 영수 우암의 이름을 붙여 ‘시열’이라고 부르며 발로 차고 괴롭히기도 했다.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과 창애(蒼厓)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은 원래 친한 사이였지만, 연암이 창애의 문장을 인정하지 않고 비웃은 데다 1802년에 일어난 포천의 묫자리 분규로 인해 두 집안이 원수가 되고 말았다.

연암의 차남 박종채(朴宗采, 1780~1835)는 아버지의 행장을 기록한 ‘과정록’(過庭錄)에서 두 집안의 시비는 전적으로 젊었을 때 연암이 창애의 문장을 인정하지 않은 데 앙심을 품은 탓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자는 우리 집안 백대의 원수다[此吾家百世之讐]”라고 써놓았다. 반남 박씨 집안과 기계 유씨 집안은 1871년에야 극적 화해를 했다. 홍문관 대제학이었던 연암의 손자 박규수(朴珪壽, 1807~1877)가 창애의 5대손인 유길준(兪吉濬, 1856~1914, ‘서유견문’의 저자)을 집으로 불러 화목하게 지내기로 한 것이다. 유길준은 당시 향시(鄕試, 지방 과거시험)에서 장원한 15세 소년이었다.

다른 가문에 대한 수혐은 자기 가문의 정체성과 자존감, 단결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국가·사회적으로는 큰 적폐이며 손실, 낭비가 아닐 수 없다. 붕당정치의 폐해가 얼마나 컸던가. 지금도 증오와 배제의 정치는 여전하지만, 이런 개인들의 사사로운 원한 말고 옳은 것을 위한 의분과 공적 증오가 필요하고 중요하다.

박근혜 대통령 시절에 어린 딸이 “국가 원수가 뭐야? 박근혜 대통령이 국가 원수야?”라고 묻자 아빠가 “아니, 국가 원수가 아니라 국가의 원수야”라고 대답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었다. 옳지 않은 일을 거듭 행하고 수치를 모르면서 자리나 탐내며 자기들끼리 공정하지 못한 짓을 자행하는 자들은 사실 다 국가의 원수다. 요즘 우리나라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의 행태를 보면 ‘잡것들의 세상’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런 자들과 그런 자들의 행위를 원수처럼 공명정대하게 증오하는 게 필요하다. 청마(靑馬) 유치환(柳致環, 1908~1967)의 시 ‘일월’을 옮겨 읽으며 그의 메시지를 다시 새긴다.

 

나의 가는 곳

어디나 백일(白日)이 없을쏘냐.

머언 미개(未開)적 유풍(遺風)을 그대로

성신(星辰)과 더불어 잠자고

비와 바람을 더불어 근심하고

나의 생명과

생명에 속한 것을 열애하되

삼가 애련(愛憐)에 빠지지 않음은

그는 치욕임일레라.

나의 원수와

원수에게 아첨하는 자에겐

가장 옳은 증오를 예비하였나니.

마지막 우러른 태양이

두 동공에 해바라기처럼 박힌 채로

내 어느 불의(不意)에 짐승처럼 무찔리기로

오오, 나의 세상의 거룩한 일월(日月)에

또한 무슨 회한인들 남길쏘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포토 에세이] 축제의 봄
  •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시니어모델과 융합 패션쇼 개최
  •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축구 역사 담은 ‘월드컵 축구 100년 - 100번의 영광과 좌절의 순간들’
  •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글쓰기가 어렵다는 그대에게” 중년을 위한 조언
  •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포토 에세이] 봄의 파문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