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보다 당신의 시선이 더 힘들어요'

기사입력 2018-12-21 09:27 기사수정 2018-12-21 09:27

▲성모자애복지관에 붙은 게시물(김종억 동년기자)
▲성모자애복지관에 붙은 게시물(김종억 동년기자)

얼마 전 장애체험을 하기 위해 강남구 율현동에 있는 성모자애복지관으로 향했다. 20여 년간 매월 한 번씩 봉사활동을 갔던 곳이기도 하다. 어느 순간부터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장애인 활동 보조인’으로 봉사활동을 하겠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그러던 중 장애체험을 흔쾌히 신청했다.

신청 예약을 하였기에 해당 사무실에 들러서 간단한 확인 절차를 마치고 장애체험에 들어갔다. ‘장애’와 ‘장애인’이라는 용어는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잘 아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다. 시대마다 사회마다 장애의 원인에 대한 생각과 대처 방식 등은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한때 일부에서 장애는 전생 또는 현생에서의 잘못에 대한 형벌이라는 근거 없는 소리를 하기도 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 탓에 장애인 또는 장애인 부모는 장애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경우가 많았다.


시각장애 체험

▲시각장애 체험 중인 김종억 동년기자(김종억 동년기자)
▲시각장애 체험 중인 김종억 동년기자(김종억 동년기자)

시각장애인들이 얼마나 불편하게 일상을 살아가는지 그동안은 관심 밖이었다. 이날의 체험은 눈을 가리고 3층 교실에서 2층 교실까지 이동하는 것이었다. 일단 눈을 가리고 보니 불안하기 시작했다. 눈이 안 보이는 대신 최대한 청각을 곤두세우며 한 걸음 한 걸음 이동했다. 촉감을 이용해 계단의 방향과 높낮이를 가늠해야 하니 걸음이 더딜 수밖에 없었다. 더듬더듬, 그렇게 한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등에서는 진땀이 났다. 불과 1분이면 내려올 한 층의 계단을 내려왔을 때는 20분 이상이 걸렸다. 2충까지 겨우 내려왔을 때에는 물소리를 따라 걸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물소리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한 걸음씩 옮기는 동안 긴장되고 신경이 곤두섰다. 시각장애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곳이 바로 지하철역이라고 한다. 자칫 잘못하면 철로 쪽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까스로 목적지에 도착해 눈가리개를 벗으니 신천지가 도래한 듯했다. 이렇게 편리한 세상인데, 그동안 시각 장애인들은 어둠 속에서 얼마나 힘들었을까? 여태 그들을 무심하게 보고 넘겼던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지체장애인의 휠체어 체험

▲휠체어 체험 중인 김종억 동년기자(김종억 동년기자)
▲휠체어 체험 중인 김종억 동년기자(김종억 동년기자)

다음에는 휠체어 체험에 도전했다. 수동 휠체어를 타고 경사진 곳을 오르내리는 체험이었다. 물론 나는 육체가 멀쩡하지만 이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은 지체가 부자유스러운 장애인이다. 주로 선천성 소아마비 환자나 뇌혈관 질환으로 편마비 또는 전신마비 등이 있는 이들이 이용한다. 평지에서의 휠체어 작동은 그나마 수월할지 모르지만 경사로를 오르거나 내릴 때는 여간 조심스럽지가 않았다.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를 만들어 놓은 건물이나 시설들이 요즘은 많이 늘었지만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잘되어있지 않았다. 무심하게 지나쳐버린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이 사회 곳곳에 있었던 기억이 난다.


어린 시절의 기억

어릴 적 고향에도 장애인이 마을마다 한두 사람씩 있었다. 그 시절에는 장애아를 둔 부모들은 자식의 장애를 숨기기에 바빴다. 학교에도 잘 보내지 않았는데, 아마 특수학교가 많지 않던 시절이라 그냥 집에서만 데리고 살았던 것 같다. 가끔 얼굴을 내미는 그 아이들을 신기하다고 따라 다니면서 놀리는 녀석들도 있었다. 왜 그랬는지 잘 모르겠지만 한 아이가 앞장서서 놀려대기 시작하면 이구동성으로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놀려댔다. 무슨 뜻이 있어서 그런 건 아니겠지만 장난삼아 하던 행동에 그 아이는 얼마나 놀라고 힘들었을까?


장애는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장애인을 향한 비장애인들의 인식이나 시선이 다소 차별적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장애인들은 상처를 받기 쉽다. 장애인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다. 우리가 장애인을 대할 때, 장애의 특성에 매몰되지 말고 우리 주변의 사람들을 대하듯 하면 된다는 것이다. 장애체험을 통해서 더욱 그들의 삶 속으로 다가간 덕분에 그나마 장애인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그들을 도울 수 있는 장애인 활동 보조인으로 봉사하는 시간을 가져볼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인생 2막에 필요한 세 가지
    [카드뉴스] 인생 2막에 필요한 세 가지
  •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