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 만능 시대에 10원의 가치도 알릴 겸해서 시작한 일인데…."강원도 최전방 산골마을인 화천에서 연탄배달을 통해 모은 돈을 4년째 지역인재를 써달라며 기탁한 노인이 있어 지역사회를 훈훈하게 하고 있다.주인공은 화천에서 40여년간 연탄가게(육림연탄)를 운영하는 강석숭 할아버지(72)다.강 할아버지는 올해도 어김없이 연탄 1장을 팔 때마다 10원씩을 적립해 모은 275만원을 향토인재양성에 써달라며 화천군에 기탁했다.강 할아버지의 이웃사랑 실천은 지난 2011년부터 시작됐다.어린 시절 가난 때문에 초등학교도 나오지 못한 강 할아버지는 돈이 없어 제대로 학교생활을 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계기가 됐다.이에 지난 2011년 282만원을 시작으로 2012년 272만원, 2013년 242만원 등 올해까지 1천만원이 넘는 돈을 인재양성을 위해 힘을 보탰다.강 할아버지는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한장 한장 땀 흘려 모은 10원이 모이면 큰돈이 된다는 걸 알리고 싶었다"라며 "이웃을 위해 봉사하자는 신앙이 저에게 큰 힘이 되었으며 적은 돈이지만 어려운 이웃에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관련 뉴스
-
- 강동시니어문화센터, 25일부터 시범운영…띠요가·스마트폰 등 프로그램
- 강동구는 25일부터 강동시니어문화센터가 4주간의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9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강동시니어문화센터(이하 센터)는 어르신들의 문화생활을 지원하고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 센터는 ‘강동숨;터’ 2~3층에 위치해 있으며, 강의실·강당·카페·공방 등 공간과 설비를 갖췄다. 이용 대상은 강동구 거주 60세 이상 어르신이며, 카페 및 공방 프로그램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운영은 대한노인회 강동구지회와 강동시니어클럽이 각각 맡는다. 주요 프로그램은 건강(시니어
-
- 50·60대 4명 중 1명 “골프웨어 온라인서 구매”
- 국내 골프웨어 시장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구매가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50~60대 중장년층에서도 온라인 소비가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는 최근 전국 20~6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골프웨어 구매 채널로는 백화점이나 아울렛이 49.2%로 가장 많았고, 온라인 쇼핑몰이 30.1%로 뒤를 이었다. 20대 응답자의 60%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골프웨어를 구매한다고 답해 디지털 쇼핑 선호가 두드러졌다. 반면 50대와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중장년 상생채용 '서울형 이음공제' 8월부터 시작 外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 청년·중장년 상생채용 '서울형 이음공제' 8월부터 시작 이에 서울시는 세대 간 상생 고용을 통해 실업과 미스매치를 동시에 해소하고, 중소·중견기업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경영 활성화까지 모색하는 전국 최초의 세대 연계형 일자리 공제사업 ‘서울형 이음공제’를 오는 8월부터 본격 추진한다. 서울형 이음공제는 중소·중견기업에서 2025년 내 청년-중장년 동반 채용 및 고용유지 시 서울시와 정부가 협업해 기업 부
-
- 시니어 주거부터 자산관리까지…하나銀-HDC, 업무협약 체결
- 시니어의 주거와 금융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민간 협력 모델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하나은행은 22일 서울 용산구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에서 HDC현대산업개발과 웰니스 레지던스 사업 활성화 및 입주자 맞춤형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시니어 손님의 자산관리 니즈 충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은행·증권·보험 등 금융 전반의 노하우를 갖추고 있고, HDC현대산업개발은 웰니스 레지던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두 회사는 △자산관리·세무,
-
- [챗GPT 브리핑] 고령자 공짜폰·최저가 피해 신고 급증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챗GPT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고령자 공짜폰·최저가 피해 신고 급증 22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단말기 유통법 폐지 이후 경쟁이 심화되며, 65세 이상 고령층 이동전화 계약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계약 내용과 실제 청구 금액이 다른 경우가 전체 피해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부당광고 방지와 가격 정보 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의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