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ur] 아름다운 풍광 속에 맺힌 눈물 - 강원도 영월

기사입력 2015-01-26 16:16 기사수정 2015-01-26 16:16

※영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단종이다. 비운이라는 단어가 늘 따라붙는 어린 임금. 그의 마지막 발자취를 따라 영월을 찾았다. 열일곱 살 소년의 곡절이 녹아든 그곳에서 그의 애달픈 마음을 헤아려 보고자 한다.

글ㆍ사진 김대성 여행 작가

◇숙부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 청령포

차마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다. 막상 청령포를 마주하고 서니 어쩐지 강을 건너기가 망설여진다. 서강 물줄기가 휘감아 돌아 삼면을 둘러싸고 서쪽으로는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어 마치 섬과도 같은 곳, 청령포. 단종은 이 적막한 곳에서 외부와 단절된 채 유배생활을 했다. 558년 전 이 강을 건너야 했던 어린 임금의 심정은 어땠을까. 어쩌면 그 역시 배에 오르기 전 이 자리에 한참을 서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제 영영 영월 땅을 벗어나지 못하리라 체념하면서 말이다. 한 나라의 왕이 어찌 이리 참담한 생애를 살아야 했나 하는 안타까움이 밀려든다.

배에 오르니 채 2분도 안 돼서 청령포에 닿는다. 자갈밭을 지나 울창한 송림 사이로 들어서면 단종어소가 모습을 드러낸다. 승정원일기의 기록에 따라 복원한 어소에는 밀랍인형으로 단종의 모습을 재현해 놓았고, 마당에는 ‘단묘재본부시유지’라는 영조의 친필 비석이 세워져 그의 한을 위로하고 있다. 담장 밖 소나무 한 그루는 마치 왕을 향해 머리를 조아린 신하처럼 단종의 거처를 향해 굽어 있어 눈길을 끈다.

나이 어린 임금의 유배생활은 하루하루가 원망이자 그리움이요, 두려움이자 눈물이었다. 아마도 할아버지 세종의 인자한 얼굴이 떠올랐을 테고, 왕위에 오른 지 2년 4개월 만에 돌아가신 아버지 문종에 대한 원망도 있었을 것이다. 자신을 낳고 하루 만에 세상을 떠난 어머니에 대한 애틋함. 그리고 무엇보다도 생이별한 아내 정순왕후를 향한 그리움이 마음에 사무쳤을 것이다. 당장에라도 한양으로 돌아가고 싶었겠지만, 숙부인 세조의 서슬 퍼런 기운을 어린 그가 어찌 감당할 수 있었겠는가. 그저 조용히 숨죽여 눈물로 달래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곳 숲에는 특별한 소나무 한 그루가 있다. 바로 ‘관음송’이다. 수령 600년의 이 노송은 단종의 애달픈 유배생활을 보고, 그 절규와 울음소리를 들었다 하여 관음송이라 불리어 왔다. 두 갈래로 갈라진 이 나무에 소년 왕이 걸터앉아 시름을 달랬다는 이야기도 전해온다.

관음송을 지나면 산책로는 자연스레 절벽 위 능선 길로 이어진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야 하는 수고가 따르지만 그리 높지는 않다. 숨이 턱까지 차오를 때쯤 절경을 만나게 된다. 그곳에 소박한 망향탑이 있다. 한양에 두고 온 정순왕후를 생각하며 하나 둘 돌을 주워 쌓아올렸다는 돌무더기가 왠지 애처로워 보인다. 다시 산책로를 따라가면 해질 무렵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던 노산대다. 노산대에 올라서니 절벽 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강물이 한없이 평화롭기만 하다. 이렇듯 아름답고 평화로운 풍경을 앞에 두고 눈물을 흘렸을 단종 생각에 돌아서는 발걸음이 괜스레 무겁게 느껴진다.

▲왼쪽부터 청령포 절벽 위 망향탑, 영월장릉 정자각, 청령포 관음송

◇청령포를 떠나 동을지산에 묻히다

하늘도 단종의 슬픔을 알았을까. 그해 여름 참 많은 비가 내렸다. 홍수로 강물이 범람하여 청령포가 물에 잠길 지경에 이르자 단종의 거처를 동헌의 객사 관풍헌으로 옮겼다고 한다. 청령포에 유배 온 지 두 달여 만의 일이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단종의 운명을 결정짓는 사건이 터지고 만다. 세조의 동생 금성대군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발각된 것. 이 일로 단종은 노산군에서 다시 서인으로 강봉되고, 결국 사사되었다.

12세의 어린 나이로 조선 제6대 왕에 오른 단종. 돌봐 줄 사람 하나 없는 어린 임금이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결국, 3년 만에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1457년 10월 24일 그렇게 떠나갔다. 그해 그의 나이 17세였다.

하지만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세조는 “단종을 죽여 강물에 버리고 그 시신을 거두는 자는 삼족을 멸하라”고 했다. 단종의 주검이 청령포 앞 강물에 버려졌지만, 누구 하나 선뜻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이때 영월 호장 엄흥도가 나섰다. 그는 “옳은 일을 하다가 화를 입는 것을 달게 받겠다”면서 아들과 함께 시신을 수습해 영월 ‘동을지산’에 묻었는데, 그곳이 지금의 장릉이다. 단종은 승하한 뒤에야 비로소 편안한 자리를 찾은 듯하다. 영월 장릉이 조선왕릉 가운데 3대 명당으로 꼽히고 있으니 말이다.

▲왼쪽 위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남양주 사릉(정순왕후), 영월장릉 단종릉, 청령포 단종어소

◇241년 만에 복위되다

어린 임금의 자취를 따라가는 길, 장릉을 빼놓아서는 안 될 일이다. 장릉은 청령포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다. 단종은 사후 241년 만에 왕으로 복위되었고, 노산묘도 장릉이라는 능호를 받아 왕릉으로서의 모양새를 갖췄다. 특히 장릉에는 엄흥도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각과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위패를 모셔 놓은 장판옥이 함께 자리한다. 또한, 그들의 영령을 추모하는 제단인 배식단사를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단종역사관에는 단종의 생애와 유배생활 그리고 죽음과 복위되기까지의 일대기가 전시되어 있다.

역사관 뒤 능선을 따라 5분 정도 오르면 능침이 나타난다. 여타 왕릉에 비해 단출한 느낌이다. 담장을 둘렀으나 병풍석과 난간석은 세우지 않았다. 아쉬운 마음에 주변을 둘러보니 가냘픈 소나무 한 그루가 시선을 빼앗는다. 단종이 그토록 그리워하던 부인 정순왕후의 능인 남양주 사릉에서 옮겨 심은 정령송(精靈松)이다.

이쯤에서 정순왕후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봉되었을 때, 정순왕후도 서인으로 강등되어 궁 밖으로 쫓겨났다. 남편과 청계천 영도교에서 생이별한 그녀는 동대문 밖에 초막을 짓고 평생 영월 땅을 바라보며 그 한을 달랬다고 한다. 그렇게 64년을 홀로 지내다 8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단종과 함께 복위되었고, 남편만 생각하며 일생을 보냈다 하여 사릉(思陵)이라는 능호가 붙여졌다.

조선 왕릉의 왕과 왕비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단종과 정순왕후. 이렇듯 그들은 조선왕조에서 가장 슬픈 역사로 남았다. 단종을 만나고 돌아오는 길, 어린 임금의 그리움이 마치 내 것인 양 가슴에 맺힌다. 내일 날이 밝으면 사릉에 다녀와야 할 것 같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심심하고 슴슴함의 차원이 다른 예술… 볼거리 많은 청주 
    심심하고 슴슴함의 차원이 다른 예술… 볼거리 많은 청주 
  • 남한강변 여주의 늦가을 산책… “왕의 숲길에서 책을 만나다”
    남한강변 여주의 늦가을 산책… “왕의 숲길에서 책을 만나다”
  • 가을길을 걷고 또 걷다 보니… 한없이 편안한 예천
    가을길을 걷고 또 걷다 보니… 한없이 편안한 예천
  • 전통과 예술의 고요한 어울림, 풍류 흐르는 안동의 여행지들
    전통과 예술의 고요한 어울림, 풍류 흐르는 안동의 여행지들
  • 활짝 핀 수국 가득한, 태평하고 안락한 태안의 여름
    활짝 핀 수국 가득한, 태평하고 안락한 태안의 여름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