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 겨울이 즐거웠던 이유는 시퍼렇게 선 칼날 위에 올라갈 수 있었기 때문이었지!
시골에선 보통 논에 물을 대 얼린 뒤 썰매를 탔다. 두발썰매, 외발 썰매 등. 꼬챙이질을 한 번 잘못하면 엄지손가락을 바닥에 부딪치기도 했지만, 아픈 줄 모르고 재미있게 탔던 그 시절이다. 앉은뱅이 눈썰매도 두 가지 종류가 있었다. 썰매에 칼날을 붙인 것과 철사줄로 된 것. 칼날로 된 것은 옆으로 잘 미끄러지지 않았고, 뒤쪽을 눌러 제동을 걸기도 했다. 반면 철사줄 썰매는 옆으로도 잘 미끄러졌고, 제동을 할 때도 썰매 앞쪽에 두 개의 꼬챙이를 바닥에 꽂아야만 했었다. 그땐 그랬다.
▲1970년대 얼어있는 한강 위에서 스케이트를 탔다.
동장군이 수도권을 휩쓸고 지나가면 한강과 경회루도 꽁꽁 얼어붙었다. 변변한 놀 거리가 없던 그 시절, 장정 몇 명이 올라가도 꿈쩍없이 꽁꽁 언 경회루와 한강은 어린 동심에게는 최고의 놀이터였다. 스케이트와 썰매 하나만 있으면 한겨울 매서운 추위도 잊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사진 : 국가기록원, 문화체육관광부>
관련 뉴스
-
- 주형환 “비수도권 지역, 고령친화마을 조성 가능…정부 법적·재정 지원 필요”
-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비수도권 지역의 고령친화마을 조성이 충분히 가능하고,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부위원장은 14일 충남 공주시에 있는 노인복지주택 ‘공주 원로원’을 방문해 ”비수도권 지역은 노인 인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커뮤니티 센터, 보행로, 주거시설, 공동텃밭 등 고령친화적 인프라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어 주거와 돌봄·여가시설 간에 연계가 잘 되면 ‘고령친화마을’을 조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수도권 지역은 주거복지·돌봄·의료·여가가 유기
-
- [만화로 보는 시니어 뉴스] 생활 속 당뇨병 예방관리수칙
- 당뇨병은 특히 고령층에는 합병증 위험을 높이고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어 더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질병관리청은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6대 당뇨병 예방관리수칙 및 수칙별 실천지침을 발표했습니다. 그 중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4가지 예방 수칙을 살펴볼까요. 먼저 적절한 체중으로 유지 관리합니다. 과체중(체질량지수 23~25kg/m2) 이거나 비만(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인 경우 체중의 5% 이상을 감량하여 유지합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도 중요합니다. 유산소운동은 중강도 이상의 운동을 일주일에 총
-
- “장기요양기관 전문인배상책임보험 기준 혼란…재검토 필요”
- 장기요양기관이 가입해야 하는 전문인배상책임보험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준래 변호사는 14일 “장기요양기관이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가입해야 하는 전문인배상책임보험의 가입기준의 해석이 큰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며 “이는 현장의 전체적인 상황과 행정의 형평성 등을 전제로 재검토 및 정립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사회복지공제회와 김윤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실이 공동 주최한 ‘복지시설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전문인배상책임보험 발전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면서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35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50+ 입맛과 취향 사로잡는 '우리술 대축제’ 外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전국 우리술이 한자리에! 2025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 개막 전국의 우리술이 한자리에 모이는 ‘2025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이하 우리술 대축제)’가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양제동 aT센터에서 열린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이번 축제는 매년 2만여 명이 찾는 대표적인 우리술 행사로, 우리술에 관심이 많은 세대들에게 취향과 문화적 감성을 채워줄 볼거리가 풍성하다. 올해는 전국 122개 제조업체가
-
- [카드뉴스] 은퇴자·자영업자 위한 '11월 건강보험료 조정' 팁
- 11월은 은퇴자와 자영업자에게 중요한 분기점이다. 이 시기에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가 지난해 소득과 올해 재산 변동을 기준으로 다시 산정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확정된 금액은 앞으로 12개월 동안 그대로 적용돼 소득 변화나 재산세 상승이 있었다면 보험료 증감 폭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올해는 특히 보험료 조정 제도가 확대되면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금융 소득을 포함한 다양한 소득 감소가 인하 신청 사유로 인정되면서 은퇴자에게 유리한 환경이 마련됐고, 여기에 소득이 늘어난 경우에도 증가분을 미리 반영해 보험료를 조금 더 내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