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 겨울이 즐거웠던 이유는 시퍼렇게 선 칼날 위에 올라갈 수 있었기 때문이었지!
시골에선 보통 논에 물을 대 얼린 뒤 썰매를 탔다. 두발썰매, 외발 썰매 등. 꼬챙이질을 한 번 잘못하면 엄지손가락을 바닥에 부딪치기도 했지만, 아픈 줄 모르고 재미있게 탔던 그 시절이다. 앉은뱅이 눈썰매도 두 가지 종류가 있었다. 썰매에 칼날을 붙인 것과 철사줄로 된 것. 칼날로 된 것은 옆으로 잘 미끄러지지 않았고, 뒤쪽을 눌러 제동을 걸기도 했다. 반면 철사줄 썰매는 옆으로도 잘 미끄러졌고, 제동을 할 때도 썰매 앞쪽에 두 개의 꼬챙이를 바닥에 꽂아야만 했었다. 그땐 그랬다.
▲1970년대 얼어있는 한강 위에서 스케이트를 탔다.
동장군이 수도권을 휩쓸고 지나가면 한강과 경회루도 꽁꽁 얼어붙었다. 변변한 놀 거리가 없던 그 시절, 장정 몇 명이 올라가도 꿈쩍없이 꽁꽁 언 경회루와 한강은 어린 동심에게는 최고의 놀이터였다. 스케이트와 썰매 하나만 있으면 한겨울 매서운 추위도 잊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사진 : 국가기록원, 문화체육관광부>
관련 뉴스
-
- “기초연금 수급자 1만여 건 ‘부적합’…10건 중 7건은 사실혼·사실이혼”
- 최근 5년간 국민연금 기초연금 수령자 가운데 1만1500여 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수행된 정기·수시 확인조사는 총 16만3042건이며, 이 가운데 1만1594건(7.1%)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21년 1809건(5.1%) △2022년 1994건(5.5%) △2023년 2892건(8.6%) △2024년 3289건(8.9%) △2025년 상반기 1610건(7.8%)
-
- ‘말 한마디에 집이 움직였다’… ‘KES 2025’에서 본 AI 스마트홈
- 올해 ‘한국전자전(KES 2025)’ 현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홈의 답을 ‘생활형 AI’에서 찾았다. 번거로운 버튼 조작을 줄이고 에너지는 아끼는 일상의 자동화가 핵심이다. 삼성전자는 집 안을 거실·주방·침실로 나눠 실제 생활 장면을 구현했고, LG전자는 AI 홈 허브를 중심으로 생활공간의 주요 가전을 연결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두 전시 모두 시니어에게 직접적인 편의를 주는 기능을 전면에 배치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 스마트싱스로 구현한 돌봄형 AI 하우스 삼성전자 부스에서 관람객은 ‘스마트싱스 자동화 루틴’을 통해
-
- [AI 브리핑] 지역 중소제조업 10곳 중 6곳 ‘인력난’ 外
- 바쁜 일상 속 알짜 뉴스만 골랐습니다. 정책·복지·건강·기술까지, 꼭 필요한 시니어 관련 정보를 AI가 정리하고 편집국 기자가 검수해 전해드립니다. ◆지역 중소제조업 10곳 중 6곳 ‘인력난’…한경협 ‘은퇴자 활용’ 제안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 따르면 지역 중소제조업의 60.8%가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주로 기술·생산직에서 부족 현상이 두드러진다. 한경협은 은퇴한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지역 중소기업 취업을 연계하는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업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인력난 해소와 함께 중장년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
-
- AI 복지·돌봄혁신 마주한 기업 목소리는…복지부, 기업 간담회 개최
- AI 복지·돌봄에 대한 기업인들의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서울 중구에 있는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AI(인공지능) 복지·돌봄 혁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스란 제1차관이 주재했다. 네이버 클라우드·다음세대재단·로아이젠·롯데 이노베이트·스마트프로·와플랫·큐라코·피지오·헬스맥스 등 복지·돌봄 분야에서 AI·데이터·로봇 기술을 접목한 10개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카이스트 융복합연구센터 이우근 선임연구위원,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배민철 사무국장, 경희사
-
- 남산 ‘하늘숲길’, 도심 속 힐링 산책로 25일 개장
- 도심의 빌딩숲 사이로 부는 가을바람이 차가워질 즈음, 서울 남산에 ‘하늘숲길’이 25일 새롭게 열린다. 하늘과 숲이 맞닿는 그 길에서, 중·장년의 발걸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남산 체력단련장(용산구 후암동)에서 남산도서관까지 이어지는 1.45km 데크길은 남녀노소 누구나 걸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경사가 완만해 관절에 부담이 없고, 휠체어나 유모차도 진입 가능한 무장애 산책로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나무 사이로 한강과 관악산, 남산타워가 번갈아 눈에 들어온다. 중간중간 ‘소나무쉼터’, ‘건강정원’ 같은 휴식 공간이 있어, 굳이 빠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