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이 그랬다. 이미 김지운 감독의 특징부터 의열단과 실재 인물인 황옥 경부의 실화라든가, 송강호의 연기에 주목하라는 등 사전 지식으로 무장한 채 영화를 보니 그런 느낌이 드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영화의 전개도 초장의 충격적인 시퀀스라든가 열차 속의 액션 신 등 흥행 영화의 익숙한 공식을 잘 따르고 있다.
줄거리는 의열단원인 김우진(공유)이 조선총독부와 일본군 관계자들을 폭살할 목적으로 폭탄을 들여오기 위해 경성 경시청 경부 이정출(송강호)과 접촉한다. 그는 과거 초창기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다 배신하고 의열단에 관한 정보를 총독부에 제공하고 일본 경찰의 간부로 출세한 인물이다.
한편 일본 경찰은 의열단의 정체를 파악하고 일망타진하기 위해 이정출에게 의열단과의 접촉을 지시한다. 의열단은 그런 사실을 알면서도 그를 거꾸로 이용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그를 의열단 본거지인 상해로 부른 것이다. 이른바 반간계다. 이정출은 엉거주춤한 상태로 임하지만, 어느새 상황에 휘말린다.
영화는 기차가 달리면서 격랑에 빠져든다. 폭탄을 실은 열차 속에서 이정출은 마치 의열단원이라도 된 듯 자신을 감시하는 하시모토와 그의 부하들을 죽이고 열차를 탈출한다. 열차가 경성역에 도착하면서 운송 정보를 알고 기다리던 일본 경찰들에게 의열단원들은 무자비하게 죽거나 체포된다.
그 사이사이 무기 운송의 정보가 일본 경찰에 노출된다거나 함께 움직이는 의열단원이 배신자임이 밝혀지는 등 상황은 긴박하게 흐른다. 결국, 무사히 은닉된 폭탄을 이정출이 경시청 고위 간부들의 연회장에서 터트리면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그렇다면 이정출은 다시 개과천선한 것인가?
그러나 그게 애매모호하다. 마지막의 법정신은 영화 <암살>에서 이정재가 열연한 법정신에 버금갈 정도로 드라마틱하다. 이정출은 법정에서 자신은 의열단이 아니며 그동안 일본을 위해 충성을 다했다는 최후진술을 하고 풀려난다. 영화 속에는 그가 의열단을 진심으로 돕는 증거도, 그들이 일망타진되도록 작전에 임한 증거도 다 있다.
그렇다면 그의 정체는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 송강호는 자유자재로 표정을 바꾸어가며 모호한 경계인을 연기한다. 그래서 진실은 끝내 오리무중이다. 다만 마지막 의열단원 중 단장의 여인인 연계순(한지민)의 주검을 보며 오열하는 장면에서 안소니퀸의 영화 <25시>의 마지막 장면이 떠오른 것은 왜일까?
선과 악의 경계가 모호하고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회색 지대의 삶은 어떤 것일까? 이정출이 어느 편인가보다 그의 실존이 궁금해지는 이유이다. 그가 삶에 집착했다기엔 그의 처신이 너무 위험했다. 단선적인 캐릭터인 김우진 역의 공유보다 송강호가 칭송받는 것은 이정출이라는 인물에 힘입은 바 크다.
김지운은 자기만의 스타일을 가진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독특한 미장센은 시각적 쾌감을 주며, 루이 암스트롱이나 볼레로 등 상황을 역설로 들려주는 음악은 색다른 재미를 준다. 스파이 극처럼 스릴을 주면서도 심리극으로 끌고 가 철학적인 성찰을 제공한 것은 그의 또 다른 성취이다.
“우리는 실패해도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 실패가 쌓이고 우리는 그 실패를 딛고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의열단장 정채산(이병헌)의 대사가 귀에 남는다. 어쩌면 이 말은 가혹한 시대를 살아냈던 극 중 모든 사람에게 바치는 헌사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