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란도트>와 <마농 레스코>를 보았는데 두 작품 다 아는 내용이었고 실제로 보는 무대는 아니었지만 오페라 실황을 그대로 촬영한 거라 느끼는 감동은 같았다. 오히려 인터미션(중간 휴식시간) 부분에선 좀 전까지 연기하던 배우를 인터뷰하는 장면과 작품 소개 등 더 세세한 작품 배경을 들을 수 있어 좋았다. 방금 죽을 듯 연기하던 배우가 인터미션에 웃으며 인터뷰하는 모습이 다소 생소했지만 흥미로웠다. 잠시 후 이 배우는 다시 진지한 연기로 노래를 부를 것이다.
영화는 센트럴 메가박스에서 상영하는데 이 극장에선 미리 신청하면 영화를 보는 동안 와인을 마실 수도 있다. 좌석에 작은 테이블이 있어서 음식을 먹는 사람도 있었다. 필자도 이번엔 케이크 한 조각과 보온병에 커피를 준비해서 영화를 보는 동안 우아하게 즐겼다. 오늘 작품은 <로베르토 데브뢰>다. 오페라에서 <투란도트>나 <마농 레스코>, <나비부인> 등은 잘 알려진 작품인데 <로베르토 데브뢰>는 내용을 알지 못한 채 관람하게 되어 더욱 몰입해야만 했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 이야기로 나이 어린 애인을 향한 질투와 애증이 적나라하다. 늙은 여왕은 평생 결혼하지 않았지만, 사랑하는 남자가 있었으니 바로 나이가 20세나 어린 로베르토 데브뢰 에식스 경이다.
그러나 데브뢰에게는 사랑하는 공작부인 ‘사라’가 있었다. ‘사라’는 데브뢰의 친구 노팅엄 경의 부인이다. 여왕은 그에게 반역의 죄는 용서할 수 있어도 배신하는 꼴은 못 본다며 노심초사한다. 그리고 여왕의 총애를 받는 그를 질시한 귀족들이 반역죄로 몰아 데브뢰는 처형당할 위기에 처한다.
(늙은 여왕과 연적인 젊고 아름다운 공작부인 ‘사라’)
여왕은 마지막 사인을 하지 못하며 그를 용서하려 하는데 공작부인과 사랑하는 사이라는 증거가 나오자 사형선고를 내리고 고뇌하는 모습을 보인다. 친구 데브뢰를 구하려던 사라의 남편 노팅엄 경도 배신감에 분노한다. 이들의 사각 관계가 가슴이 아프다. 사랑이 뭐길래 이렇게 얽히고설키는지 모르겠다.
엘리자베스는 왕비의 자리에 오른 후 천일 만에 참수형을 맞은 앤 볼린의 딸이다. 이 이야기는 <천일의 앤>이라는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튜더 왕가 헨리 8세의 사랑을 듬뿍 받았지만 아들을 낳지 못해 버림받았고 자신의 야망 때문에 수많은 사람을 죽인 ‘앤’은 자신의 딸을 여왕으로 만들기 위해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다. 지금도 <천일의 앤> 마지막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엄마가 처형당하고 울려 퍼지는 나팔 소리를 들으며 쓸쓸히 뒤돌아서던 어린 엘리자베스. 그렇게 애처롭던 아이는 여왕이 되어 영국을 잘 다스렸다고 한다. 그런데 왜 말년에 나이 어린 남자를 사랑하게 되어 그런 고통을 받았는지 인생은 참 알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소프라노와 테너인 주인공들은 3시간여 동안 계속 노래를 불렀다. 영화가 끝났는데도 그들 목소리의 여운은 귓가에서 오래 사라지지 않았다. 도니체티의 오페라 <로베르트 데브뢰>는 역사적 사실에서 사랑 이야기에 좀 더 초점을 맞춰 각색한 작품으로 네 명의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과 비련의 사랑 이야기를 아름다운 아리아로 가득 채웠다. 빗나간 사랑 이야기는 언제나 가슴이 저리다. 깊어가는 가을, 참으로 멋진 오페라 한 편을 영화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