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여자로 살면서 결혼 후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게 되면 그 둘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힘겹게 이어나가게 된다. 특히 육아 문제는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거의 불가능 하다. 우리 세대 역시 일을 병행하려면 육아는 누군가가 대신해야 주어야만 했고 그 대역은 대부분 조부모였다. 세대가 바뀌었어도 어려운 환경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맡기던 사람이 맡아주는 사람으로 역할만 바뀌었을 뿐 이다,
필자의 친구들도 손자를 봐주느라 꼼짝 못하는 친구들이 한두 명 씩 늘어나고 있다. 황혼 육아가 현실로 닥치기 전 대부분의 친구들은 ‘난 절대로 손자 봐주지 않을 거야.’ 라고 선언했었다. ‘이제야 겨우 온전히 내 시간을 가질 수 있는데 아무리 울고불고 사정해도 절대사절이야’ 라고 다짐하곤 했다. 그런 친구를 매정하다 나무라는 친구도 없었다. 그러나 황혼육아가 현실이 되었을 때 평소 소신대로 자식의 어려움을 단호히 외면 한 친구는 한 명도 없다.
육아를 대신해주기로 결정하고 가장 껄끄러운 사항이 대가를 받을 것인가의 문제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받아야 한다. 이다. 자식의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선에서 금액을 정하고 정확하게 대가를 받아야 한다.
그 힘든 육아를 맡겨 놓고 아무런 보상도 안 할 자식은 없다. 그러나 모호하게 대충 생각해서 용돈 주듯 한다면 서로 말 못하는 사이 켜켜이 섭섭함이 쌓여 갈 수도 있다.
모든 오해와 섭섭함은 주는 사람 마음과 받는 사람 마음이 서로 다른데서 생겨난다. 자칫 주는 사람은 줄 거 다 주고 눈치 보며 할 말 못한 거 같고, 받은 사람 받은 건 별로 없고 골병만 들었다는 피해의식에 빠질 수 있다.
정당한 대가를 받고 아이를 봐주기로 한 이상 보육 전문가 못지않은 보육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사랑으로만 키워주는 것이 아니라 준 프로 보육 자는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조부모가 육아를 대신하는 집은 육아방식에도 갈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육아 지식으로 무장한 아이부모와 다양한 경험을 장착한 조부모의 주장이 부딪히기 때문이다. 과학적이고 정확한 매뉴얼에 따르고 싶어 하는 아이 엄마 와 ‘니들도 다 그렇게 키웠고 아무 문제없었다’ 는 할머니의 주장이 팽팽하게 맞선다. 황혼육아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하는 순간부터 보육 관련 서적과 여러 기관에서 실시하는 조부모 손자 보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보육의 전문성을 키운다면 이런 갈등은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 자식 사이에 냉정한 계산이 걸린다면 그 돈의 일부를 자식과 손자를 위한 기금으로 적립해도 좋을 것이다. 그 매정한 정리가 훗날 자식과 손자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절묘하게 사랑을 표현할 수 있는 기금이 된다면 이 또한 얼마나 보람 있는 일이겠는가.
부모. 자식 간이라 해도 정확한 대가 정의를 통해 아이의 맡기는 사람도 맡은 사람도 서로 당당하게 자신의 교육철학 및 보육방침을 소통하고 거기에 손자 사랑 더하기를 한다면 그 안에서 아이가 사랑받고 따뜻하게 자라서 삼대가 모두 윈. 윈. 윈 할 수 있는 최상의 육아 시스템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