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산다는 것은 축복일까

기사입력 2016-12-16 17:06 기사수정 2016-12-16 17:13

▲오래 산다는 것은 축복일까(박미령 동년기자)
▲오래 산다는 것은 축복일까(박미령 동년기자)
나 자신이 일흔 살 되고 보니/ 옛날부터 드문 나이라던 시구가 맞는 말임을 알겠구나// 자리에서 담소 나누는 이들은 모조리 새 얼굴/ 꿈속에서 단란하게 모인 이들만이 옛 벗일세// 요동의 학처럼 고향 찾아와 슬퍼할 것까지는 없어도/ 빠른 말처럼 달리도록 누가 세월을 재촉하나?// 남아 있는 몇 사람도 이제는 모이기 힘들어/ 새벽 별 드문드문 반짝이듯 흩어져 사누나/

<밤마다 꿈에서 죽은 벗을 본다>는 제목의 이 시는 경현(警玄) 김효건(金孝建, 1584~1666))이 70세 넘어 쓴 작품인데 안대회 교수의 번역으로 옮겨 보았다. 그는 83세, 아내는 93세, 아들은 94세를 산 장수 가족이다. 지금도 드문데 당시로는 초장수다. 이 시에 드리운 쓸쓸한 분위기를 보면 장수가 그리 축복만은 아닌 것 같다.

이 시의 요체는 오래 살다 보니 주변에 이야기를 나눌 상대가 없어 외롭고 점점 더 견디기 힘들다는 것이다. 평균수명이 짧던 시절에 혼자 장수한다면 그랬을 것 같다. 그렇다면 백세시대인 지금은 어떨까? 같이 늙어가는 노인네들이 얼마간 있으니 덜 외로울 수도 있겠지만, 김효건의 시대에는 다수이던 가족이 지금은 줄었으니 피장파장이다. 게다가 경제력 없는 외로움은 더욱 힘들고 처량하다.

‘외로움’이 뭐 그리 좋은 것도 아닌데 요즘은 어느새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는지 너도나도 혼자 사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은 시대가 되었고 날이 갈수록 늘어만 간다. 1인 가구가 30%에 육박하고 대중매체에서는 ‘혼밥’이니 ‘혼술’이니 하는 예능 프로가 판치고 있다. 17세기 시인이 토로했던 외로움이 지금은 대중들이 소비하는 ‘정서 상품’으로 바뀌었다. 세상이 변해도 참 많이 변했다.

그렇지만 외로움에도 차이가 있다. 결혼 안 하고 혼자 사는 젊은이들의 ‘자발적 외로움’이 있다면, 늙어서 어쩔 수 없이 홀로 남겨진 ‘비자발적 외로움’도 있다. 같은 외로움이라도 비자발적 외로움이 훨씬 더 견디기 어려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니 나이를 먹어가며 걱정스럽기만 하다. 어찌 되었든 이 시대는 외로움에 익숙해져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이 된 듯하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면 홀로 있음이 모두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홀로 있는 상태가 ‘외로움’일 수도 있고 ‘고독’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월든>의 저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개념으로 보면 외로움(loneliness)은 누구를 만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고, 고독(solitude)은 자기 자신을 위해 투자하는 것이란다. 소로가 외딴 호숫가에 오두막을 짓고 혼자 3년을 산 것은 ‘고독’이었다.

현대인이 혼자 사는 것을 즐기면서도 ‘외로움’을 과거보다 더 못 견디는 것은 삶이 너무 분주해 진실로 ‘고독’해 보지 못했기 때문은 아닐까? 고독은 자신을 돌아보고, 주체적인 생각의 힘을 키우는 시간이다. 기나긴 노년이 될지도 모르니 그 외로움에 대비하기 위해 시니어 대열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부터라도 고독을 연습해 놓는 것이 필요하겠다. 자신의 내면을 확장하고 지혜롭게 세상을 살아가면 장수가 축복일 수도 있지 않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