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세 명의 60대 남자들과 함께 저녁을 먹었다. 막걸리를 곁들이며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 100세 시대로 화제가 넘어갔다.
“지겨운 배우자와 100세를 함께 사는 것은 고통이야.”
“100세까지 살려면 세 번은 배우자를 바꿔야 살 만하지.”
“그것도 모자란다.”
“난 먹을 것 충분히 주고 혼자 떠나고 싶어. 나를 찾아서.”
“그래서 졸혼(卒婚)이 유행이야.”
첫사랑, 첫 키스, 첫 남자. 처음처럼 신선하고 설레는 말이 또 있을까. 그런데 그 첫이 낡아서 헌것이 되어도 쓸모없어진 물건처럼 버릴 수 없는 게 문제다. 사람들은 싫증을 빨리도 낸다. 그래서 유행이 생기고 그 유행은 떠돌다 제자리로 다시 돌아오기도 한다. 유행이 유행을 싫증내는 것이다. 사랑도 싫어졌다가 핑계 대며 탕아처럼 다시 돌아오기도 한다.
부부가 의견이 안 맞고 화가 나도 선뜻 헤어질 수 없는 이유는 그 순수했던 첫사랑의 감정을 아직도 가슴이 기억하기 때문이다. *절절히 그리며 보고 싶어 했던 마음과 그 황홀했던 순간의 두근거림이 아직도 생생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남녀는 처음 만났던 시기의 모습을 호호백발이 되어서도 연상시키며 현재의 모습과 같이 *오버랩시키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구십 먹은 할아버지에게 팔십 먹은 할머니는 처음 만났던 20세 처녀의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단다.
남자들은 대부분 결혼 3년 차가 되면 신선함이 사라지면서 여성이 싫증이 나기 시작한다고 한다. 이 무렵은 출산과 육아로 여자가 자신을 가꾸는 것을 놓아버리기 쉬운 시기다. 김태희 같은 아내를 두고도 3년이 지나면 전원주 같은 여성과 바람을 피운다는 항간의 농담 같은 얘기도 있다. 신선함 뒤엔 편안함도 있고, 세련됨도 있고 느긋함도 따라오는데 그건 고려 대상이 아니고 성적 신선도에만 무게를 두는 것 같다.
남자도 여자도 자유를 꿈꾸기는 마찬가지다. 따스한 사랑을 꿈꾸기도 마찬가지다. “나는 사랑을 받기만 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평생을 외롭게 살 가능성이 많다. 사랑받고 싶으면 먼저 가슴을 열고 상대에게 사랑을 줘야 한다. 경험자의 충고다.
요즘 졸혼이라는 말이 유행처럼 퍼지고 있다. 졸혼이란 서류상의 결혼은 유지한 채 실제의 결혼생활은 졸업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졸혼을 꿈꾸는 남자의 심리가 궁금했다.
자유로워지고 싶다.
잔소리 듣고 싶지 않다.
남자로서 인정받고 싶다.
가부장제에 익숙한 남자들의 반란일 수도 있다. 집안의 기둥이며 중심이었고 최고 경배의 대상에서 제외된 소외감일 수도 있다. 책임은 고스란히 남아 있으나 대접에서는 배제된 가장은 서열이 강아지 다음이라는 서글픈 풍자도 있다. 그래서 허무감과 급속한 추락을 견디지 못하고 탈출을 꿈꾸는 것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러 피터팬처럼 자유롭고 싶은 것이다. 자신이 누구인가를 질문하고 찾아가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졸혼이 유행처럼 번지는 것은 서글픈 것 같다. 그러니 일탈을 계획하는 남자들에게는 미리 줘버리자.
먹고 싶어 할 때 먹인다.
재운다.
자유를 준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일정한 거리 이상의 접근을 삼가자. 왜 나와 틀리냐고 잔소리하고 묻지 말자. 다른 색깔도 함께 어울리면 훌륭한 조화를 이루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