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활한 사막을 사나이가 홀로 걷고 있었다. 멀리 보이는 아득한 수평선엔 끝없는 모래와 하늘이 가느다랗게 맞닿아 실눈을 뜨고 있었다. 머리 위의 뜨거운 태양도 간혹 부는 모래바람도 그를 달래주지는 못했다. 발에 푹푹 파이는 모래를 바라보며 걷던 사나이는 돌아섰다. 그리고 비로소 안도했다. 모래 위로 난 자신의 발자국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고도 너무 외로워서 뒷걸음질 치며 자신의 발자국과 같이 걸었다.
사막
그 사막에서 그는
너무도 외로워
때로는 뒷걸음질로 걸었다.
자기 앞에 찍힌 발자국을 보려고
-오르텅스 블루 -
파리 지하철 공사에서 공모한 시 콩쿠르에서 8천편의 응모작 중 1등 당선된 시다. 오래전에 이 시를 읽으며 울었다. 지독한 외로움을 겪어 본 사람은 이 시에 공감할 것 같다. 모든 사람이 외롭다. 둘이 있어도 더 많이 함께 있어도 결국은 외롭다. 군중 속의 고독이라지 않는가.
그런데 왜 그런 걸까?
인간관계가 부드러운 사람은 외로움을 느끼는 강도가 약하겠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
자의식이 높은 사람, 자신만 아는 이기적인 사람이 더 외로움을 탄다고 한다. 종종 자기만의 세계에 갇히기 때문이다. 이기심, 욕심, 자만심이 일정 수위를 넘으면 이웃이 안 보이게 된다. 자기 입장만 주장하게 되며 다른 사람의 처지를 들여다보는 마음의 창을 닫아버리게 된다. 물론 자신을 들여다 볼 수도 없어진다. 밖을 내다 볼 수도 없어 눈 뜬 장님이 되어 버린다. 사방이 막힌 스스로의 감옥에 자진해서 유폐되는 것이다. 주변에서 불편한 사람으로 남게 된다. 아무도 그의 곁에 머물고 싶어 하지 않으니 외로움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외로운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바보들로부터 벗어난 ‘천재의 외로움’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랑을 주는 방법을 한 번도 학습해 보지 못한 것 같은 사람이 의외로 많다. 그것이 오히려 ‘남자답다’ 거나 ‘순진하다’는 것으로 미화되던 시대는 지났다. 모자란 건 모자란 것이다. 자연스런 감정의 교류가 있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그것은 신선한 물에서 나는 향기와 같고 끊임없이 흐르며 종알대는 계곡의 물처럼 건강하다.
외로움을 극복하고 줄이는 방법으로 ‘수다’를 권한다. 카톡도 좋고 전화도 좋다. 말하기 쑥스러우면 한 마디만 해도 좋다.
“보고 싶다.”
미안하다고 말하면 혀가 굳어 버리기라도 하듯 망설이는 사람도, 한 번 해보면 미안한 상황에서 가만히 있는 것 보다는 그것이 훨씬 편안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결국은 소통인데 말만큼 쉽지는 않다. 어려서부터 가정에서 자연스런 소통을 경험한 사람에게는 그리 어렵지 않을 것 같다.
가끔 어떤 사람은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불의한 일을 보고도 공동체에서 쫓겨날까 두려워 입을 다문다. 말이 꼭 필요한 순간에도 입을 다무는 비굴한 모습을 본다. 피곤한 일에 끼어들기 싫은 것이다. 냉정하고 이기적인 모습이다. 점점 사람들이 떠난다. 신뢰할 수 없음으로. 큰 나무는 자라며 큰 그늘을 키운다.
이제 지독한 외로움에서 벗어날 우리들의 차례다.
우리 자신을 비추는 거울을 닦는다. 또 세상을 바르게 바라보는 거울을 빛나게 닦는다. 이제 밝은 눈으로 왜곡 없이 바라 볼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