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의 남부는 대체로 산지를 이루어 금학산ㆍ고대산 등이 있다. 임진강 지류인 한탄강이 군의 동부를 남북으로 흐르는데, 용암대지 위를 흐르면서 전형적인 유년기의 침식곡을 형성하였다. 하안에는 주상절리와 수직단애가 발달해 곳곳에 절경을 이루고, 역곡천이 군의 서부를 동서로 흐른다.
이들 하천 유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형성되었다. 철원평야는 200~500m 높이의 분지이다. 영서 북부지방에 있는 이 평야는 삼남지방의 평야지대에 비하면 작지만 평야가 좁은 강원도 내에서는 그 규모가 가장 크다. 현무암이 풍화된 비옥한 토양은 농사에 적합하여 예로부터 철원 오대쌀이 유명하다.
철원평야에는 물이 부족하여 평지에 흙을 쌓아 저수지를 만들었다. 이곳은 날씨가 추워서 논농사 한 번으로 끝이다. 겨울철은 낱곡을 찾는 철새들의 천국이 된다. 이때쯤 월동작물 재배를 위하여 준비가 한창인 다른 들녘과는 전혀 다른 풍경이었다. 밭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 한가한 이국이었다.
차를 이용할 때와는 사정이 달랐다. 관광버스가 유일한 교통이동 수단이었다. 백마고지역에서 버스를 타고 3시간 정도 안보관광을 하였다. 제2땅굴을 살폈다. 뭣 때문에 두더지처럼 바위를 뚫었나. 다음에 철원평화전망대에 올랐다. 철책선 하나를 사이에 두고 비무장지대와 철원평야가 확연히 갈렸다. 가을걷이 끝난 들판에는 아무 것도 없어 황량하였다.
민통선 너머로 푸르른 숲이 무성하다. 새들이 날고 짐승도 마음대로 뛰노는 우리의 강토다. 저 멀리 ‘피의능선’이 역사를 말하고 있다. 관광해설사의 날마다 남과 북의 주인이 바뀌었다는 백마고지의 혈투 설명에 가슴이 메었다. 수만 명 피를 흘리고 우리가 차지한 철원평야다.
철원군은 광복과 함께 38선 이북지역으로 들어갔다가 휴전이 성립되면서 철원읍 등은 수복되었으나 일부는 비무장지대로 또 다른 일부는 북한으로 나뉘었다. ‘철마는 달리고 싶다.’는 월정역을 둘러보았다. 통일대박을 꿈꾸던 곳이다. 하지만 월정역까지 복원공사가 중단되었다.
통일수도를 그려보았다. ‘한반도의 배꼽’ 이곳이 딱 좋은 장소다. 유라시아 철도를 개설하고 넓은 대륙으로 말을 달려보자. 갑갑한 가슴을 활짝 열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