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이는 우리에게 친근하다. 어릴 때 읽었던 우렁이 각시의 밥상 이야기가 기억에 남아 있다. 논이나 작은 연못에 사는데, 모내기한 벼포기가 진초록으로 바뀌는 5, 6월이면 짝짓기하는 우렁이를 발견할 수 있다.
짝짓기 시기가 지나면 논두렁의 풀이나 벼의 줄기에 선명한 분홍빛 알을 무더기로 낳는다. 농약살포를 비롯한 환경오염으로 그 수가 줄어들고 있어 간혹 우렁이 알 무더기는 볼 수 있어도 직접 알을 낳는 장면을 관찰하기란 쉽지 않다. 그나마 집 주변 들판에는 띄엄띄엄 친환경 벼농사를 짓는 곳이 있어 우렁이를 보곤 한다.
우렁이의 모습을 담기 위해 아침마다 카메라를 들고 마을 들길을 걷던 중 드디어 알을 낳는 광경을 목격하게 됐다.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현상을 마주하며 2시간 동안 카메라 셔터를 연신 눌러댔다.
우렁이 몸 안쪽에서 양수에 덮여 불그스레해진 알이 바깥으로 쏙 밀려 나와 알 무더기에 달라붙는다. 4, 5초 간격으로 수수 알갱이 크기의 알을 하나씩 낳아 무더기를 만드는 광경은 신비로웠다. 우렁이는 체내 수정 후 알을 외부 풀줄기나 벼줄기에 1년 동안 40~80개씩 무더기로 낳는다. 생후 1년이면 생식능력을 가지며 수명은 7~8년이다.
동의보감에는 전라(田螺)를 ‘우롱이’라 하고 “논에 살며 모양은 원형이고 복숭아나 오얏(자두)과 같다”라고 기록한다. 한의학에서 우렁이는 찬 기운을 가진 것으로 분류하며 독성은 없다. 고둥 맛과 비슷하며 목마른 증세를 멈추게 하는 효능을 갖는다.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술을 깨게 한다. 여름이나 가을에 잡아서 쌀뜨물에 담가 진흙을 제거한 후 달여서 먹으면 된다. 술을 깨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으니 제약회사에서 우렁이 각시가 건네는 숙취해소제 광고가 뜨지는 않을까?
‘우렁이도 두렁 넘을 꾀가 있다’는 속담도 있다. 미련하고 못난 사람도 제 요량은 있고 한 가지 재주는 다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세상을 사는 나름의 역할이 있음을 이른다. 우렁이를 보며 느끼는 삶의 지혜다. 건강한 삶이 우리의 바람이다. 좋은 환경이 그 바탕이 된다. 내년에는 다른 논에서도 우렁이가 시집 장가를 가고 고운 알을 낳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때도 그 장면을 카메라에 담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