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좀 이상했다. 자기 이름으로 자신의 장례일정을 안내하는 문구였다. 순간 장난하는 건가? 아직 60대 초반. 열정적으로 일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장난이라면 아주 실감나게 한 것이고 아니라면? 갑자기 불안감이 스멀스멀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전화를 눌렀다. 받지 않았다. 몇 번이고 시도했지만 마찬가지였다. 다른 동료들도 서로 이것이 진짜냐고 묻기만 했다.
장례일정 안내에는 구체적으로 입관 날짜와 출관 날짜가 있고 미사와 장지에 대한 안내까지 있었다. 일단 가봐야 확인이 될 것 같았다. 날은 엄청 더워서 세상이 열기로 이글거리고 있었지만 내 마음 속은 서늘한 불안과 후회가 범벅이었다.
우린 스마트폰 사용법과 SNS 교육을 받고 팀을 꾸려서 강의를 같이 다녔었다. 스마트폰이 한창 나오던 시기여서 수요가 많고 보람도 있었다. 강의실은 늘 사람들로 북적였고 그만큼 공부하고 준비해야 할 것이 많았다. 새로운 것을 공부하고 교안까지 만들어야하는 작업이 만만치 않았다. 처음엔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의욕으로 잘 해냈지만 점점 시간을 많이 요하는 작업이라 좀 지치고 꾀가 나기 시작했다. 각자 맡은 강의의 교안을 만들어야하는데 그가 다른 사람이 한 것을 업그레이드 시키지 않고 카피하는 것을 보고 내가 나무란 적이 있었다. 내가 감독으로서 잔소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때 그가 좀 불손하게 말을 해서 나도 화를 내며 돌아서 버렸다. 그동안 워크숍도 여러번 같이 가고 또 자료를 만들며 회의도 많이 하고 강사료를 받으면 맛 집도 찾아다니며 정을 나누었는데 그렇게 불손한 것이 섭섭했고 그도 뭔가 섭섭해서 우린 그것으로 찜찜하게 헤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시간이 얼마나 지났다. 어느 날 단톡방에서 우연히 마주하게 되어 내가 인사를 건넸고 그는 답을 했다. 서로 간단한 인사였지만 섭섭함을 상쇄한 나름 편안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는 팀의 모임에 나오지 않았고 혼자 지방을 다니며 강의를 한다는 소식을 들었었다. 그리곤 불쑥 자신의 장례를 안내하는 문구를 본 것이다.
장례미사가 있다는 성당에 도착해서 보니 단톡방에 올랐던 장례안내 표지판이 붙은 빈소에 그의 영정사진이 올려져있고 흰 국화꽃이 무심하게 어지럽혀져 있었다. 슬픔에 잠긴 아내와 십대의 딸 하나가 빈소를 지키며 오열하고 있었다. 평소 심장이 안 좋았는데 사단이 났다고 하며 갑자기 가는 사람을 차마 놓을 수 없는 슬픔을 온몸으로 뿜어내고 있었다. 마주 볼 수도 없고,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다. 모두 굳어버린 것 같았다.
미사에 참여해서 떠나는 사람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었다. 마치 보상이라도 하듯 지인들에게 알려 받아온 봉투를 챙겨 건네며 그를 위해 조금이라도 뭔가를 했다고 스스로 위안했다. 시신을 따르며 부르는 성가, 망자를 다시 만나기를 바라며 보내야만 하는 아픔을 노래할 때 내 눈물은 자제력을 잃었다.
그와 함께 했던 추억의 조각들이 빠르게 지나갔다. 음식을 나누며 했던 농담들, 지친 몸으로 함께 걸으며 했던 얘기들….
눈물 고인 눈으로 바라보는 그의 영정사진은 관 앞에서 담담했다. 어른거리는 사진을 바라보며 웅얼거렸다.
“친구여, 잘 가시오. 잘 가시오.”
며칠 뒤 단톡방에 그의 이름으로 다시 글이 올라왔다.
“마지막 가는 길에 외롭지 않게 배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운 날씨에도 어려운 걸음 해주시고 마음으로 함께 기도해주심에 유가족 모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렇게 그는 갔지만 난 다시 일상의 일에 치여 나만 생각하며 살고 있다. 태어나고 죽고는 이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자연스러운 것이다. 스치는 바람처럼 지나가고 잊히는 것이다. 나도 그렇게 잊히며 죽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