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은 거실 소파에 편히 앉아 있지만 눈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TV 화면 속 할배들과 동행하여 체코 프라하의 추억을 반추해 본다. 한국에서 동유럽 여행 코스는 대부분 독일에서 시작하여 체코 프라하, 체스키크룸로프를 경유하여 비엔나로 향한다.
프라하는 체코 공화국의 수도이며 프라하 구시가지에는 체코의 상징물인 프라하성이 있다. 남쪽 오스트리아 국경지대근처에는 아름다운 체스키크룸로프성과 중세의 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체코 공화국은 지역적으로 10세기 이전부터 세계사를 끊임없이 움직인 강대국 사이에 위치해 우리나라 못지않게 역사의 부침이 심했다. 2차 세계대전의 피해국이었지만 직접 전쟁에 가담한 나라는 아니기 때문에, 유적만은 찬란하게 보존되어 있다.
약 10세기를 전후해 이전 신성로마제국 영토 일부에 건설된 보헤미아 왕국이 체코공화국의 전신이다. 보헤미아는 프라하의 옛 명칭이기도 하다. 14세기 세계적인 유적지 프라하 블타바강의 카를대교를 건설하고 유럽 최초의 대학인 프라하대학을 세운 카를 4세는 보헤미아왕국의 전성기를 이끈 인물이다.
16세기 체코는 바로 옆 나라이면서 유럽의 최강국인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에 속해 지배를 받다가 1918년 체코와 슬라브족의 슬로바키아를 합병한 체코슬로바키아라는 국명으로 독립한다. 하지만 다시 독일의 나치정권하에 속하게 된다. 2차 세계대전 후 독일로부터는 독립하지만 동유럽 공산국가로 옛 소련(소비에트 연방)의 영향권으로 편입하고 그 후 끊임없이 공산당과 비공산주의자들의 투쟁, 민주정권 수립을 갈망하던 중 개혁파가 정권을 잡기에 이른다. 이런 노력의 변화를 세계사에서는 ‘1968 프라하의 봄’이라고 부른다.
‘프라하의 봄’ 자유화 운동은 실패하여 다시 긴 겨울이 찾아오게 되지만 1989년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사회주의 체제 개혁에 힘입어 체코의 민주 시민 시위가 성공한다. 1993년 비공산주의자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 취임 후 바츨라프 광장에서 평화적인 무혈혁명을 연설했는데, 이를 상징적으로 ‘벨벳혁명’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드디어 체코 공화국과 슬로바키아는 분리됐다.
이후 체코 프라하는 세계인의 관광 여행 주 무대에 오르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이 보고 싶어 하는 프라하성은 9세기 보헤미아 왕국 시절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축되기 시작하여 고딕, 르네상스를 거쳐 18세기 바로크에 이르기까지 900년에 걸쳐 개축됐다. 그야말로 건축 역사의 진수를 보여주는데, 세계인은 그 아름다움에 놀라고 경탄을 금치 못한다. 프라하성에는 스테인드글라스창이 유명한 비투스 대성당과 대통령궁, 박물관, 유명한 야경 등 볼거리가 즐비하다.
역시 보헤미아왕국에 의해 13세기 고딕형식으로 건축되었던 체스키크룸로프성은 16세기에 르네상스 양식으로 개축이 되어 르네상스풍의 둥근 지붕이 특징이다. 체스키크룸로프성 인근에는 중세의 문화를 그대로 간직한 마을, 미로 같은 뒷골목과 상점들이 어우러져 아름답고 경이로운 풍경을 자랑한다.
관광객들은 활기찬 골목 쇼핑과 사진 찍기에 정신이 쏠려 언제 공산주의가 이곳에 있었는지 가늠해볼 겨를도 없다. 체스키크룸로프 마을은 ‘체스키크룸로프 역사지구’라 불리며, 마을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등재됐다. 체코의 음악가로는 우리가 잘 아는 안토닌 드보르작이 있고, 교향시 ‘나의 조국’의 작곡자 베드르지흐 스메타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