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 년 전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친구랑 여주 도자기 축제에 갔어요. 덥고 갈증이 너무 나서 뭘 좀 마시고 싶은데 마땅히 차를 주는 곳이 없더라고요. 어느 도예가의 집에 들어가서 ‘물 좀 마실 수 있겠냐?’고 했더니 ‘차도 드릴 수 있다’고 하는 거예요. 너무 반가웠어요.”
‘다유’와 구자완(61) 원장과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여주 출신인 구
차는 오묘하다. 차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찻잎과 물, 그릇, 그리고 사람이다. 최고의 맛을 찾아가는 여정이 즐거워 차를 마시게 된다. 특히 차는 담아내는 찻그릇이 있어야 하고, 찻그릇 또한 차가 담겨야 존재의 이유를 드러내게 된다. 찻그릇의 고마움을 아는 차인과 차의 맛을 보다 깊게 담아내고자 하는 도예가가 넉넉한 마음으로 만나 차를 나누게 됐다.
예술이 인간을 구원하고 영혼을 인도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건 좀 과한 예찬일지도. 사르트르의 말마따나, 굶주려 죽어가는 아이 앞에서 예술이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러나 예술은 현실의 벽을 으라차차 걷어차는 행위라는 점에서 위력적이다. 종교, 사상, 철학을 부수거나 뛰어넘는 곳에 예술이 있지 않던가. 그런데, 창작이란 지병에 시달리는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