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효찬의 명문가 자녀교육 따라잡기]아버지의 혁신적 육아법… '몽테뉴 家'

기사입력 2014-03-05 11:21 기사수정 2014-03-05 11:21

최효찬 자녀경영연구소장

르네상스 운동이 한창이던 1533년 프랑스 남부지방 보르도 인근에 사는 피에르 에켐은 상업으로 부유한 아버지의 도움으로 커다란 성을 사들여 귀족이 되었다. 아들 미셸이 태어나자 아버지는 장차 아이를 어떻게 키울지 고민하다 여러 학자와 권위자들에게 아동교육에 대해 문의했다. 그가 얻은 결론은 ‘아이에게 최소한의 강제를 과하고 스스로 공부하고 싶어지도록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었다. 아버지는 직접 실행에 나섰다.

먼저 피에르는 젖먹이 아들 미셸을 자신의 성 안에서 키우지 않기로 결심했다. 그는 젖먹이 아이를 농가로 보내 그 농민의 집에서 농민의 자녀와 똑같은 대우와 똑같은 음식으로 키우게 했다. 또한 최하층민이 세례를 받을 때는 아이에게 세례 반을 받들도록 시켰다. 아이가 농민 등 최하층민과 애정으로 결속하게 만들기 위해서였다. 현대의 진보된 교육도 이보다 더할 수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아버지 피에르는 당시 유럽 교양층의 언어인 라틴어를 아들에게 고생 없이 가르치기 위한 방편으로 라틴어를 훌륭하게 구사하는 독일인 가정교사를 고용했다. 미셸이 있는 데서는 누구라도 라틴어만 말해야 한다고 아버지는 명령했다. 그는 여섯 살 때까지 모국어인 프랑스어를 전혀 배우지 못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단지 이 방법으로 라틴어를 배운 결과 미셸의 라틴어 실력은 최고 수준에 올랐다. 아이는 라틴어로 고전을 섭렵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라틴어 교사들은 완벽하지 못한 자신의 라틴어 실력을 미셸이 알아챌까 두려워했다.

또한 아버지는 잠에서 깨어날 때 아이의 ‘말랑말랑한 두뇌’는 충격을 받을 것으로 믿고 악기 소리로 아이의 잠을 깨웠고 유모에게도 그렇게 하라고 일렀다. 그야말로 세심한 아버지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아버지는 자녀들에게 종교의 자유도 줬다. 아버지는 가톨릭 신자였지만 자녀들은 신교(기독교)를 믿게 했다. 16세기 프랑스는 신교에 대한 종교적 박해가 극심한 시기였다.

이렇게 자란 어린아이는 훗날 문필가로 이름을 날렸다. 그가 오늘날 에세이, 즉 산문 문학 형식의 전형이 된 ‘수상록’의 저자인 미셸 에켐 드 몽테뉴(1533~1592)다. 그는 ‘수상록’에서 이렇게 말한다. “젖 먹는 동안 내내, 그리고 그 뒤로도 오랫동안 농가에 살도록 하여 가장 소박하고 가장 평범한 생활방식을 훈련시켰다. 아버지의 뜻은 내가 민중과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 계급의 사람들과 동족이 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리고 아버지는 나에게 등을 돌리는 사람이 아니라 손을 뻗치는 사람을 보살필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셨다.”

몽테뉴의 ‘수상록’은 바로 아버지에게서 잉태했던 것이다. 다시 새학기를 맞으면서 ‘학부모’들의 불안이 시작되고 있다. 무엇이 자녀에게 참된 가르침인지 몽테뉴 아버지의 혁신적 교육법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나이 들면 잠 없어진다? O, X
    [카드뉴스] 나이 들면 잠 없어진다? O, X
  • 서울시, 중장년 공공일자리 ‘가치동행일자리’로 변경
    서울시, 중장년 공공일자리 ‘가치동행일자리’로 변경
  •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