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잘 쓰기 위해 알아야 할 것

기사입력 2020-05-18 10:30 기사수정 2020-05-18 10:30

여성학자 정희진의 책 두 권이 동시에 새로 나왔다. '나를 알기 위해 쓴다'와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쓴다'. 둘 다 글쓰기 책이다.

그의 글을 읽으면 잘 쓴다는 게 어떤 것인지 대번에 알 수 있다. 밑줄 그으려고 연필을 들면 모든 문장에 밑줄을 긋게 되는, 놀라운 밀도의 글쓰기는 흠모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정희진이라는 이름을 단 책을 고르는데 망설임이 없다. 다만 어느 책을 먼저 읽을까 하다가 '나를 알기 위해 쓴다'를 집어 들었다.

이 책에는 정희진이 읽은 64권의 책과 그의 생각이 담겨있다. 한겨레에 연재했던 칼럼을 모아 놓았는데 한 권 한 권 꼭꼭 눌러 쓴 독후감은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다. 글쓰기가, 인생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를 쓰는 것 보다는 그 경험을 해석해 내는 것이라면, 정희진의 똑 부러진 글들은 그가 읽은 책들을 통해 나온다는 걸 알 수 있다.

책을 읽다 보면 그가 읽은 책을 죄다 읽고 싶어진다. 정찬의 소설을 두고 '숲 속을 걷다가 구덩이에 빠졌을 때 목이 아프게 올려다보는 세상 같다'고 했다. 정찬의 소설이 궁금해져서 밀리의 서재에서 정찬의 소설집을 내 책꽂이에 옮겨두었다. 이창호의 바둑책에 관한 글도 나온다. 바둑은 두고 나면 복기를 한다. 승패와 관계없이 바둑의 내용을 검토한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기도정신이다. 정희진은 글에서 '삶은 복기의 연속이다. 지나간 일을 제대로 해석하는 것. 중요하고 어려운 일이다'라고 말하면서' 복기란 승자와 패자 모두에게 진일보의 계기가 된다'라고 말한다. 이 맥락에서 보자면 우리 사회에서 성차별이 발생하는 것도 차이 때문이 아니라 사회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을까? 많은 사람의 고민이다. 이 고민에 대해 정희진은, '글만큼 그 사람 자체인 것도 없다'라면서 글은 '살아내는 대로 쓴다'라고 말한다. 글쓰기가 어렵고 두려운 것도, 그런데도 글을 잘 쓰고 싶은 욕망이 사라지지 않는 것도, 글쓰기는 삶과 분리될 수 없고 '내가 쓴 글이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어떻게 하면 좋은 글을 쓸까?’ 라는 질문이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을까?’ 라는 고민으로 바뀐다.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면 세상을 올바르게 해석하는 눈을 갖고 싶어진다. 50 이후 제대로 된 독서가 왜 필요한 지 이 책이 제대로 알려주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 언론인의 눈으로 본,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는 어떻게 살까?”
    언론인의 눈으로 본,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는 어떻게 살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여가친화경영 인증기관’에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여가친화경영 인증기관’에 선정
  • 뮤지컬 ‘알라딘’, 국내 착륙… 11월 문화소식
    뮤지컬 ‘알라딘’, 국내 착륙… 11월 문화소식
  • 제17회 서울국제노인영화제 단편 경쟁 출품작 공모 진행
    제17회 서울국제노인영화제 단편 경쟁 출품작 공모 진행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