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때 했었고 그때 하지 못했던 말들이 추억이 되어 시간에 남겨졌다.
낙서#1
2013년 9월 7일
강촌에는 가을 내음이 내려앉기 시작했다.
성환과 땅꼬맹이 그리고 꽁이는 밤이 깊어가는 강촌에서
호롱불만큼 보이는 길을 따라
이제는 철길이 사라진 강촌역까지 걸었다.
그들은 더 이상 비둘기호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 것에 아쉬워하며
그리고 이 순간을 그리워하며
‘PM 11:43’ 하얀 도화지에 시간을 그렸다.
낙서#2
신촌의 허름한 주점이 술에 취해 비틀거린다.
술잔에 담긴 말들은 주점의 벽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이야기가 됐다.
‘우리 자주자주 모이자고, 애들아 사랑해.’
얼마 후 짧은 도심 속 여행이 끝난 빈자리와 아쉬움의 시간은 짧은 글귀로 아로새겨졌다.
그들에게 어느 날 오후의 공간은 너무나도 소중했다.
낙서#3
2013년 7월 19일
또경이랑 또민이는 청량리역 플랫폼에서 정동진행 무궁화호에 몸을 실었다.
그 여름 둘만의 1박 2일 여행.
여행을 마칠 무렵 손끝에서 ‘빙빙’ 바닷바람이 맴돌았다.
연인은 아쉬움을 바람에 던져 ‘정동진’을 ‘우리 공간’으로 기록했다.
정동진 시비의 한 뼘 남짓한 공간에서 그들의 여정이 다시 살아났다.
연인이 한잔 술에 속삭였을 사랑이 동해의 파도소리와 함께 들려왔다.

Where the sidewalk ends.
이야기가 끝나는 공간에서 그렇게 낙서가 시작됐다.
기억의 부재…더 이상 희로애락을 추억하지 않는 시대를 사는 이들에게 과거는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비밀의 메시지를 담은 낙서는 그날, 그 시간, 그곳에 있던 그들을 기억하게 했다.
낙서는 젊음의, 추억의, 인생의 흔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