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가끔가다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가다 딴 생각을 해’, ‘손끝으로 원을 그려봐 네가 그릴 수 있는 한 크게 그걸 뺀 만큼 널 사랑해’ 등 말랑말랑한 구절로 1990년대 청춘들을 사로잡은 원태연 시인. 다시 독자들을 만나고자 펜을 들었지만 시가 너무 써지지 않아 ‘별짓’ 다했다. 잠을 설치고, 스스로에게 욕을 내뱉고, 의자에서 벌떡 일어나다 머리로 천장도 뚫었다. 20년 만의 새 시집 ‘너에게 전화가 왔다’는 고뇌의 시간만큼 솔직한 사랑의 속내를 엿볼 수 있다.
원태연 시인의 집으로 들어서면 오른편에 높고 좁은 계단이 있다. 뒤뚱뒤뚱 계단을 오르면 약 1m 높이의 어둑한 다락방이 눈에 들어온다. 어둠을 비집고 등장한 원 시인은 “천장이 낮아. 이거 타고 와요”라며 바퀴 달린 작은 의자를 데구루루 굴려 보낸다. 아, 예사롭지 않다.
날것의 미학
원태연이란 이름을 세상에 알린 첫 시집 ‘넌 가끔가다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가다 딴 생각을 해’는 중학생 때부터 7년간 쓴 시를 엮은 것이다. 공부는 못했지만 매일 뭔가를 썼다. 오늘의 나는 볼품없지만, 시는 오늘 내가 쓸 수 있는 것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작은 출판사에서 매절계약(출판사가 저작자에게 일정 금액만 지급하고 향후 저작물 이용을 통해 얻는 수익은 모두 독점하는 계약)으로 출판했는데 베스트셀러가 됐다.
150만 부가 팔렸다지만 정작 그에게 들어온 인세는 없었다. 두 번째 시집 ‘손끝으로 원을 그려봐 네가 그릴 수 있는 한 크게 그걸 뺀 만큼 널 사랑해’ 이후 낸 시집들은 출판사 대표의 야반도주 등으로 인세 정산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그의 저서는 총 600만 부 팔렸다고 추산할 뿐 정확히 얼마나 팔렸는지는 모른다.
“시집을 많이 팔았대요. 처음 보는 사람들이 선생님이라는 호칭으로 불러주고, 술자리를 같이하려 했지. 버스를 열 번 타면 한두 번 정도는 누가 옆에서 내 시집을 읽고 있었어요. 어릴 땐 천재였던 것 같기도 해요. 하지만 교만했어요. 가진 걸 당연하게 여겼으니까요. ‘너에게 전화가 왔다’는 그랬던 과거의 나를 바닥까지 반성하면서 작업했어요. 예전 같지 않더라고요. 자전거를 타다 체인이 빠졌음에도 멈출 수 없는 기분이었죠. 시한테 많이 혼났어.”
새 시집 속 ‘버퍼링’은 9개월 동안 70번 넘게 수정한 시다. 어떻게 적어봐도 도대체 매력을 살릴 수 없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퇴고한 원고를 모으면 버퍼링으로만 책 한 권을 낼 수 있을 정도란다. 그러다 우연히 자판을 잘못 눌러 ‘끊어진다/마음/이’라는 일곱 글자만 남았다.
안녕하세요, 난독증 겪는 시인입니다
그는 시인이자 작사가이자 영화감독이다. 1995년 가수 김현철의 ‘왜 그래’를 시작으로 드라마 ‘시크릿 가든’ OST ‘그 여자’와 ‘그 남자’, 개그맨 박명수의 청혼곡 ‘바보에게 바보가’, 허각 ‘나를 잊지 말아요’, 유미 ‘사랑은 언제나 목마르다’ 등의 노랫말을 썼다. 권상우, 이보영 주연의 영화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도 제작했다. 장르를 불문하고 사랑과 이별의 번민을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난독 증세다.
“40살이 넘어 난독증이 있다는 걸 알게 됐죠. 현재 한국난독증협회 홍보대사기도 해요. 난독증은 글자를 ‘아예 못 읽는’다고만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증상은 제각기 달라요. 난 ‘잘못 보이는’ 거예요. 그래도 시도 쓰고 작사도 하고 다 해요. 오히려 난독증의 수혜자야. 사람들에게 익숙한 단어를 낯설게 받아들이거나, 반대로 남들에게 낯선 단어가 익숙하게 떠오를 때가 있죠. 덕분에 훨씬 표현에 자유로워요. 이번 시집, 후회할 확률 27% 미만. 10%라고 하려 했는데 건방져 보일까 봐.”
멋있는 작가와 독자
요즘은 원태연의 해석으로 다시 풀어쓴 ‘단어 사전’을 쓰고 있다. 가제는 ‘원태연의 오리지널’. 그의 눈에 비친 것들을 그대로 표현해보고자 하는 의지가 담겼다. ‘이방인’의 경우 국어사전에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이라고 정의돼 있지만, ‘나를 위해 울어줄 이가 한 명도 없는 사람’이라 썼다. 언제쯤 책을 볼 수 있겠냐는 질문에 잠깐 침묵하던 그는 “출판사에서 보내셨어?”라며 볼멘소리를 던졌다.
“열다섯 살 때 장래희망 난에 ‘멋있는 남자’라고 썼었어요. ‘원태연이, 멋있는 남자가 직업이야? 뭐 먹고 살라고?’라는 담임선생님의 한마디에 우스운 놈으로 여겨진 일이 있었어요. 참 멋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는데. 고맙게도 독자들이 나를 그렇게 만들어줘요. 내 시를 칭찬하고, 공감해주죠. 책이 김밥천국 소고기김밥보다 비쌀텐데. 글이 아니라 내 마음을 읽은 기분도 들고요. 잠시 한눈팔았지만 돌아올 곳은 결국 ‘시’였을지도 몰라요.”
인터뷰가 끝나고 현관 밖까지 나와 “재밌었다”며 씩 웃는 그를 보곤 생각했다. ‘멋있는 남자’라는 꿈, 어쩌면 이루었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