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고 1때까지만 해도 개인적으로 영화를 보러 간 적이 거의 없는 모범적(?) 학생이었다. 그러나 고 2가 되어서는 사정이 완전히 달라졌다. 그 당시 필자는 자전거를 타거나 아니면 주로 걸어서 통학을 했는데 걸어 다니는 길목에는 속칭 하코방이라고 부르던 구멍가게들이 여럿 있었다.
주인은 대개 늙수그레한 남자 노인네들(그렇지만 지금의 필자보다 대부분은 더 젊었을 것이다)로서 손님도 별로 없어서 대개는 동네사람들과 담배나 소주 아니면 푼돈내기 장기들을 두고 있었다. 이런 곳을 지나가게 될 때에는 다리도 좀 쉴 겸 장기구경을 하다가 필자도 모르게 훈수를 해서 야단도 여러 번 맞았지만 어쩌다 상대가 없을 때에는 장기 상대도 해 주면서 이럭저럭 이분들과는 가까운 사이가 되었다.
그런데 당시에는 이들 구멍가게의 열어 놓은 문짝에 대개 주변에 있는 삼류극장들의 영화포스터들을 붙여 놓았고 이들 포스터의 아래 쪽 구석에는 소위 포스터권이라는 것이 붙어 있어서 이것을 가지고 가면 3일간의 상영기간 중 마지막 날에는 공짜로 극장에 들어갈 수 있었다. 여기에 재미를 붙인 필자는 영감님들에게 떼를 써서 포스터 권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였고, 주로 집에 가는 길목에 있던 동도극장에서 엄청나게 많은 영화를 보았다.
그때 본 영화 중 <파리의 연인(Funny Face)>은 한 순진한 소녀가 파리의 일류 모델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뮤지컬 드라마로서 청순하고 매력적인 오드리 헵번과 당대 최고의 무용수 프레드 아스테어가 주연을 맡은 작품이다. 당시까지 <로마의 휴일>을 보지 못했던 필자는 이 영화에서 오드리 헵번을 처음 보자마자 그대로 푹 빠져 왕 팬이 되어버렸다.
<랩소디 인 블루> 등으로 유명한 조지 거슈윈의 재즈 선율이 작품의 묘미를 한껏 살려주며, 할리우드 최고의 의상디자이너 에디스 헤드의 화려하고 황홀한 의상 쇼 속에서 오드리 헵번의 매력이 더욱 빛나는 이 영화를 보기 위해 다섯 번이나 극장을 갔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또 하나 <지상에서 영원으로>도 잊을 수 없는 영화다. 진주만 공습 직전, 하와이의 미군 기지를 무대로 평범하고도 다양한 군인들의 갈등, 사랑, 좌절 등과 함께 부대 내의 폭력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이 영화는 1953년 제25회 아카데미상을 8개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이 영화는 후에 세계적 가수가 된 프랭크 시나트라가 데뷔하자마자 남우조연상을 수상해 화제가 되었고, 바닷가에서의 워든(버트 랭커스터)과 캐런(데보라 커)의 키스 신은 영화사의 명장면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매지오(프랭크 시나트라)가 뚱보 저드슨(어니스트 보그나인)의 폭행으로 죽은 후 프루잇(몽고메리 클리프트)이 밸브가 없는 신호용 트럼펫으로 연주하는 주제가 <재입대의 블루스(Reenlistment Blues)>는 참으로 사람의 심금을 울려 그 장면을 다시 보러 극장을 4번이나 갔었으며 나중에 트럼펫을 꼭 배우겠다고 결심까지 했었다.
이렇게 한 번 영화에 재미를 붙이게 되자 때로는 계림극장이나 명동극장 등 시내 중심부까지도 진출하게 되었다. 지금도 기억나는 것은 브리지트 바르도의 전라(全裸) 신이 잠깐 나온다 하여 그 당시로서는 최고로 야하다고 하던
다행히 K선생님께서도 요 녀석이 하시면서 꿀밤을 주시기는 하셨지만 더 이상 문제를 확대하지 않아 무사히 영화를 보고 나올 수 있었다. 여하튼 이렇게 영화를 보다보니 나중에는 제작자 누구, 감독 누구, 배우 누구 하면 영화를 보지 않고도 내용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가 되었고, 고 2가 끝나갈 때쯤 1년 동안 본 영화들을 세어 보았더니 136개였던 것으로 기억되지만 물론 개중에는 동시상영으로 본 것도 여러 개 있어서 극장을 그 회수만큼 들어갔던 것은 아니었다.
이런 버릇은 고 3이 되면서 일단 수그러들었으나 대학에 들어간 이후에도 꽤 자주 영화를 보러 다녔다. 그런데 당시에는 유일하게 단성사만 예약제도가 있었고 또 단성사에서 상영하는 영화라도 미리 영화를 보려고 계획했던 것이 아니라 데이트 도중에 갑작스레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예약을 하지 못 해 표를 사놓고 두, 세 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영화를 자주 보러 다니다 보니 나중에는 예약을 하지 않고도 별로 기다리지 않고 영화를 볼 수 있는 요령을 터득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단성사의 경우는 상영시간 좀 전에 예약창구에 가서 예약을 했으니 표를 달라고 하다가 이름이 없다고 하면 “이상하다, 분명히 예약을 했는데.”라면서, 그러면 예약하고 안 온 다른 사람 표라도 달라고 하면 대개는 표를 살 수 있었다.
이 방법이 실패하거나 다른 극장의 경우는 극장 기도(입구를 지키는 사람이라는 일본어)를 찾아가 새끼손가락을 펴 보이며 “형! 표 없수?”라고 묻는다. 당시 기도들은 대개 동네 깡패의 중간보스쯤 되는 사람들로서 월급 대신인지 부수입인지는 모르지만 매회 표를 몇 장씩 가지고 있었고 필자의 말은 똘마니 중 한 명인 척하며 여자 친구를 데리고 왔으니 표 좀 구해달라는 뜻이다. 그러면 때에 따라 두 장 내지 넉 장을 구할 수 있었고 표 값을 지불할 때는 우수리는 받지 않았다. 그리고 넉 장일 때는 주변에서 표를 구하려고 서성대는 사람들에게 나머지 두 장을 넘기면 된다.
이런 방법이 통했던 것은 고등학교 때 본의 아니게 잠시나마 노랑머리파라는 동네 깡패들과 어울렸던 경험이 있었던 데다 어차피 그들에게도 필자가 자기들의 똘마니든 아니든 표만 팔아주면 아무 상관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결혼 후에는 공부하랴, 아이들 기르랴 등 이런 저런 사유로 영화에는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게 되었고 당시까지는 영화비디오가 있다는 사실조차 잘 몰랐으며 그저 음반 모으기에만 열을 올렸다.
1944년 서울 출생.
아호 무애(無碍). 경기고, 서울대 토목공학과 졸. 서울대대학원 교통공학 박사. 서울대, 명지대 토목공학과 및 교통공학과 교수 역임. 현재 명지대 명예교수, 서울특별시 무술(우슈)협회 회장 홍익생명사랑회 회장, 월드뮤직센터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