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論]안영희 중앙대 교수 "이젠 다양성의 시대다"

기사입력 2014-01-02 15:58 기사수정 2014-01-02 15:58

1년 중 가장 춥다는 대한(大寒)도, 봄을 상징하는 입춘(立分)도 지났다. 입춘은 24절기의 시작이고, 바야흐로 봄을 맞아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한다는 절기이다. 그래서인지 그동안 맹위를 떨치던 추위도 한풀 꺾이고 제법 봄기운이 느껴지기도 한다. 예년의 기온을 보면 입춘이 지나고 설을 쇠어도 아직 춥기는 매한가지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설을 쇤 대지는 한겨울과는 다른 온기가 차오른다. 매섭던 칼바람도 한결 부드러워진 듯 하고 깊게 쌓인 눈도 하루하루 녹아서 없어지는 것이 눈에 보인다. 역시 이름답게 봄의 문턱에 들어섰다는 의미일 것이다.

봄이 오면 만물이 생동한다. 특히 '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꽃일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찍 피는 꽃은 뭐니 뭐니 해도 복수초(福壽草)라고 할 수 있다. 새해 달력이나 야생화를 주제로 한 사진 작품에서 하얀 눈 속에 노랗게 꽃이 핀 복수초가 흔히 등장한다. 실제로 우리나라 복수초는 자생지에서 2월 말께 개화하는 종도 있다. 복수초(Adonis amurensis)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자생식물이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지역에 따라 독특한 개화습성과 형태를 지닌 복수초가 자생한다. 백두대간 산줄기에 자생하는 복수초는 꽃이 먼저 피고 나중에 잎이 나오는 특징이 있고 개체의 크기가 작으며 가장 일찍 개화한다. 그러나 제주도의 복수초는 잎과 꽃이 동시에 피고 키가 큰 것이 특징이다. 중부지방의 서해안 일대에서 자라는 복수초는 꽃이 크게 피지만 개화시기가 늦은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이렇듯 외국에 비해 국토 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에 다양한 복수초가 자생하고 있다. 복수초는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가까운 일본에서는 무려 60여종의 원예품종이 육종되어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식물체에서 아도닌(adonine)을 비롯하여 각종 유용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밝혀진바 있다. 따라서 이뇨제나 강심제 등의 생약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복수초 종류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의 반대편인 중남부 유럽에도 복수초와 유사한 종이 자생하고 있다. 보통 아도니스(Adonis aestivalis)라고 부르는 종으로 꽃이 새빨갛고 1년생 풀인 것이 다르다. 유럽에서 이 식물을 재배한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그리스 신화에 아도니스는 잘 생긴 미소년으로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의 애인으로 나타나 있다. 사냥에 나선 혈기왕성한 아도니스는 연적인 아레스가 풀어놓은 산돼지의 날카로운 어금니에 물어 뜯겨 죽었다. 아도니스의 상처에서 떨어진 붉은 피는 붉은색 복수초가 되어 피어났고 이를 애통해하는 아프로디테의 눈물은 흰 아네모네(바람꽃)라는 꽃이 되었다고 묘사되어 있다. 희한하게도 유럽과는 환경조건이 전혀 다른 우리나라의 산야에도 복수초가 피는 곳에는 반드시 바람꽃이 함께 자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구상에는 비슷한 듯 하지만 서로 다른 생물 종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종의 다양성은 물론 인류 및 문화의 다양성은 지구의 미래를 위해 중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세계는 더욱더 글로벌화 되고 있고 가까워지고 있다. 이전과는 달리 우리나라에도 많은 외국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을 위해 방한하고 있다. 우리는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 많고 더 다양한 외국인들과 그들의 문화를 접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반만년 이상 단일민족으로 살아온 우리에게는 큰 충격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자생 복수초가 있듯이 지구의 저 편에 또 다른 복수초가 있다는 것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다양한 복수초는 개발 여하에 따라 인류를 위한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지난 설 연휴동안 TV 방송에는 저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을 소개하는 설 특집 프로그램이 방영됐다. 이제는 우리들 주변에 너무도 가깝게 다문화가 자리잡게 되었다. 더불어 우리들 의식도 이제는 보다 범세계적이고 포용력 있게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밝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건설적인 다문화를 보다 자연스럽게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를 존중해주는 풍토가 마련되어야 하지 않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노인 인구 1천만 명 시대의 공략법 ‘시니어 파워 시대’
  •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손녀딸의 치매 할머니 간병기, “증상 완화보다 ‘존중’이 먼저”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고위험군 의심되면 신속 치료
  •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카드뉴스] 초고령사회 앞둔 한국을 향한 경고
  •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80세 할머니들과 40대 창업가의 성공 신화 ‘우키하의 보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