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의 여파로 그 폭염 열기가 계절을 초월해 최고조를 달린다. 이에 상응이라도 하듯 나라에는 크고 작은 사건들이 곳곳에서 터지고 그 애도의 열기도 식을 줄을 모른다. 가습기 사건, 강남 묻지마 화장실 사건 등등.
희생의 아픔보다 더한 무기력을 채우기 위해 햇살 가득한 베란다 밖으로 세상을 내다보았다. 자연은 여전히 청아하고 맑은 계절의 기운을 창출해 내고 있다. 아직은 살아있기에 성찰하며 그 애도의 마음을 보내고 싶다.
미처 준비하지 못한 죽음이라는 낭떠러지 끝에서 마지막 발버둥의 소리들이 귓전을 맴돌며 삶에 대한 허무가 눈물 범벅으로 내 몸을 전율로 뒤흔든다.
아무렇지 않은 듯 걸어 나온 가해자는 살아있고 살기 위해 허둥댔던 피해자는 너무나 우습게 죽어갔다. 삶과 죽음, 산 자와 죽은 자, 그 속에서 엇갈린 경계는 참으로 아무것도 아니었던 것이다.
치열하게 싸워야 했던 위급한 상황아래, 죽어가는 자는 무엇을 생각하며 삶의 문전이 얼마나 안타깝게 그리웠을까를 상상하면서 살아서 호흡하는 사람의 가슴에는 그저 아픔으로만 다가올 뿐이다.
그 고귀한 희생 앞에 방송에서 떠들어대는 통계의 수치가 무슨 의미이며 애도의 손길조차 어쩌면 한갓 사치에 불과할 뿐이다. 인간 부재의 의식적 공백이 치유되지 않는 한 얼마든지 반복되고 또 언젠가 내 자식들, 내 주변에서도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이다.
너무나도 소중하다고 외쳐대던 또 하나의 삶의 의식들이 그렇게 맥없이 사라져간 원인들은 과연 어디에 있었을까? 진정 넋 나간 한 사람의 병리적 원인으로만 탓해야만 할 것인가?
어느 때 어느 지역에서든 간에 소외 당한 자의 불평등에 대한 작고 큰 보복들, 아니 가슴에 담겨있는 응어리들은 그 정신적 사고를 넘어선 돌발의 범죄덩어리로 이 땅에 언제 다시 떨어질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사회적 평등은 그 완전을 보장할 수 없을 만큼 늘 요원 되어야 할 것이며 다만 우리는, 산 자들은 그리고 다행히도 살아 남은 자들은 그 심리적 공백의 허점을 분명 짚고 넘어가야 할 것만 같다.
그러나 위임 받은 공권력들은 세상을 이간질하고 시대를 대변치 못하는 양심들로 뻔뻔한 지성인들은 그 임무의 시기적 한계를 넘어선지 오래 인듯하다.
힘없는 국민은 위기의 순간에 그저 비명으로만 생을 마감한 희생자와 가족들의 가슴 아픈 삶의 허덕임 앞에서, 그 인간존재의 배타성 앞에서 그저 바라만 볼 뿐이었으며 꺼이꺼이 흐느끼는 속 눈물로 쓰린 가슴만을 적셔낼 뿐이다.
이처럼 온 세상을 슬픔의 도가니로 응분의 잿더미로 남겨놓은 그 희생의 뒤안길에는 어처구니없는 씁쓸함만이 남은 자들의 가슴을 후벼 파낸다.
철저한 배신과 죽음보다 더 무거운 불신으로 기인된 거부반응과 허무감만이 팽배해 있는 세상에는 또 언제 터져 버릴지 모르는 위태로움의 위기와 가치관의 왜곡들이 고스란히 폭염의 열풍에 또 녹아버리고 말 것이다.
돈과 기계, 물질만능을 신봉하는 인간세계는 아니 인간을 배신하는 행위는 결코 묵과 될 수 없음을 상기하지 않으면 간단히 죽음의 참사는 반복되는 것이리라.
슬픔이 넘치고 화가 나는 국민들은 저기 사라져 가는 영정 앞에 무엇을 어떻게 보답 해야 할 것인가. 감당하기 힘들만큼 비통한 유가족 들에게 무엇으로 채워 줄 것 인가. 때마다 감당하는 애도의 물결만이 감정의 앙금들을 치유 될 수는 있는 것일까.
가장 기본적인 최소한의 보이는 비상식들이 이 땅에서 사라지는 몸짓만큼이라도 보여 줄 수는 없는 것 일까.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여리고 파란 잎들처럼 맑고 청아한 세상, 그곳이 존재한다면 단 하루 만이라도 그곳에서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