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

기사입력 2016-07-19 13:12 기사수정 2016-07-19 13:12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 책 표. (강신영 동년기자)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 책 표. (강신영 동년기자)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는 영국의 리처드 스티븐스(Richard Stephens)가 쓴 책이다. 대학 교수이며 영국심리학회 정신생물학 회장을 맡고 있다. 원제는 ‘Black Sheep:The Hidden Benefits of Being Bad’로 되어 있다.

위험하고, 삐딱하고, 나쁜 짓에는 대부분 안 좋게 생각하지만, 우리가 깨닫지 못한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섹스, 음주, 욕, 과속운전, 익스트림 스포츠, 공상, 게으름 피우기, 집안 일 미루기, 낙서하기, 껌 씹기 등 하나 같이 악동을 연상하게 하는 단어들이다. 그러나 이런 나쁜 짓을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은 문제가 있지만, 일시적인 일탈이라면 수많은 이익이 숨어 있다는 심리학자의 신선한 관점이다.

“술을 마시지 마라”, “기름진 음식을 멀리 하라”, “규칙적으로 운동하라” 그러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그렇게 산다면 재미는 어디서 찾느냐는 것이다. 책이나 영화를 봐도 리스크를 무릅쓰고 모험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뿐이지, 일탈 없는 정도만 걷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없다며 재미있는 삶을 살고 싶으면 리스크를 무릅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가 가장 중요하게 주장하는 것이 성생활의 이로움이다. 성서에 나온 이야기를 해석할 때 자위행위가 나쁘게 묘사되어 사람들은 눈살을 찌푸리지만, 시대가 변했다는 것이다. 피임약도 나오고 콘돔도 나와서 성생활이 자유로워진 것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성적 행동은 좋아하는 축구팀이 득점했을 때처럼 뇌의 보상 경로가 활성화된단다. 섹스는 즐거운 행위이며, 젊고 탄력적인 외모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통증과 불안을 해소하는데도 도움이 된단다. 의사결정력을 극단적으로 손상시키기도 하는데 그 덕분에 맨 정신으로는 못 사는 그 비싼 명품, 레스토랑, 등 소비시장이 돌아가는 모양이다.

다음으로 든 것이 술이다. 술은 양면성이 있다. 잘 마시면 약이요 잘못 마시면 악마로 변하는 것이다. 오죽하면 금주령이 내려졌을까. 지금도 일부 회교국가에서는 국법으로 술을 금지 시키고 있다. 술은 강심제 역할도 하고 진정제 역할도 한단다. 창의적인 머리를 만들어주기도 한다. 그러나 음주운전처럼 사고도 유발한다. 다행히 숙취라는 스톱 버튼이 있어 숙취로 고생하고 나면 과음을 조심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욕설이 있다. 욕에는 감정을 짧게 전달하는 숨은 혜택이 있다는 것이다. 비행기가 추락할 때 블랙박스의 조종사 음성을 들어보면 대부분 욕이 들어있다고 한다. 산모의 극심한 고통 때도 욕이 나온다고 한다. 욕은 그 자체로는 좋은 것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삶과 죽음의 고비에서도 어쩔 수 없이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다음은 질주 본능이다. 액션 영화를 보면 질주하는 자동차 장면이 자주 나온다. 운전 질주도 치고 박는 액션 이상으로 짜릿한 쾌감을 주는 것이다. 속도를 높이면 크게 다ㅊ치거나 죽을 수도 있어서 위험한 것을 알면서도 질주가 주는 혜택을 맛보려는 것이다.

사랑도 양면성이 있다는 것이다. 잘 되면 좋은 혜택이 있는가 하면 대부분의 사랑이 이별을 동반하듯이 잘 못 풀렸을 때에는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손상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은 찬밥이든 더운밥이든 기회가 오면 잡으라고 권고한다.

다음은 스트레스이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니 무조건 피하라고 하지만, 그것은 나쁜 스트레스인 디스트레스이고 좋은 스트레스도 있다. 유스트레스이다. 롤러코스터, 번지 점프, 스카이다이빙 등은 출발하기 전에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하지만 끝나고 나면 회복되는 과정이 유스트레스라고 한다. 일상의 지루한 생활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행위로 본다는 것이다.

시간 낭비도 낭비라는 말 자체가 부정적이듯이 나쁜 것으로만 알지만, 그 혜택이 있다는 것이다. 주변을 지저분하게 방치해두고 있을 때, 멍청한 사람처럼 껌을 씹을 때, 강의가 지루해서 낙서할 때 오히려 집중력이 길러지고 창의력이 나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관한 것이다. 임상적으로 죽었다가 살아난 수많은 사람들의 증언을 들어 볼 때 죽음은 고통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심장마비로 죽었다가 심폐소생술로 살아난 사람들 얘기를 들어 보면 너무 겁먹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