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부산 부경보건고 졸업식…중학생 119명ㆍ고등학생 174명
오는 6일 오전 10시 부산시 사하구 은항교회에서 특별한 졸업식이 열린다.
이날 부경보건고 졸업식에는 50∼70대 나이에 배움의 끈을 놓지 않은 290여명이 중학교(119명)와 고등학교(174명)를 각각 졸업한다. 졸업생들의 평균 연령은 50대.
김해순(60·여)씨는 입학 후 교통사고로 식물인간이 된 남편을 4년간 극진히 간호하면서도 공부를 계속해 고교 졸업의 기쁨을 누린다.
네팔인 이주여성 알레파라티마쿠마리(한국명 김은주)씨와 중국인 이주여성 리우얀리씨도 30대의 나이에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고교 졸업장을 받는다. 이들은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이주여성들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희망으로 부산경상대 사회복지행정학과와 중어중문학과에 각각 진학한다.
졸업생 중에는 아들이 사업에 실패한 뒤 며느리의 가출로 남겨진 지적장애 2·3급의 손자 2명을 돌보면서도 배움을 계속해 중학교를 졸업하는 학생, 70대 나이에 특유의 성실함으로 졸업장을 받는 학생도 있다. 졸업식에는 임혜경 부산시 교육감이 참석해 늦깎이 졸업생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권영호 부경보건고 교감은 “모든 역경을 이겨낸 이들의 장한 모습은 어려운 경제 한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보통 이웃들에게 열심히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
- [국민연금 백문백답] ⑫내년부터 보험료율·소득대체율 동시 인상
- 국민연금은 국민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국가가 운영하는 대표 사회보험 제도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에 대해 ‘국가가 최종 지급을 보장하는 제도로 국가가 존속하는 한 반드시 연금을 지급한다’고 안내한다. 노후 자금의 기본이자 토대인만큼 는 ‘국민연금 백문백답’을 통해 국민연금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가장 효율적인 연금 활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내년부터 국민연금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동시에 조정될 예정이지만, 이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특히 ‘더 많이 내고 덜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는 좀처럼 가라앉지
-
- [카드뉴스] 여행 경비 줄이는 '시기별 추천 카드' 정리
-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시니어에게는 어떤 카드를 쓰느냐가 곧 여행 경비와 직결될 수 있다. 성수기에는 항공·숙박 혜택 카드가, 비수기에는 환전·ATM 수수료 우대 카드가 유리하다. 또 건강·문화 여행이나 장기 체류에는 의료·복지, 공연·문화 혜택이 있는 카드가 도움이 된다. 여행지에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계절과 목적에 맞는 카드를 현명하게 고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행 시기별 카드 전략을 카드뉴스로 확인해 보자. 취재 윤나래 기자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가을 한강 120% 즐기는 법
- 바쁜 일상,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중장년이 꼭 챙겨야할 각종 무료 교육, 일자리 정보, 지자체 혜택 등을 모아 전달 드립니다. 서울의 가을은 단풍뿐만 아니라 한강에서 더욱 특별하게 만날 수 있다. 바쁜 일상에 지쳐 잠시 숨 고르기가 필요한 중장년층에게, 서울시가 마련한 ‘한강 역사탐방’과 ‘한강 야경투어’는 힐링과 배움, 낭만을 동시에 선사한다. 한강의 숨은 이야기를 만나는 ‘역사탐방’ 서울의 젖줄 한강은 단순한 산책로가 아니다. 과거 나루터와 명승지를 따라 걷다 보면 도성의 흥망, 문화의 흔적, 인물들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살
-
- '세대의 경계를 허물다’ 고창 CCRC의 새로운 지평
- 초고령사회, 노년은 이제 ‘여생을 보내는 시기’가 아닌 ‘새로운 삶을 설계하는 시기’로 재정의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CCRC(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은퇴자 마을)다. 건강할 때부터 마지막 순간까지 한 공간에서 주거·의료·돌봄·여가를 통합적으로 누릴 수 있는 복합 커뮤니티를 말한다. 전북 고창의 웰파크시티가 주목받는 이유다. 미국에는 현재 2000여 개에 달하는 CCRC가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서울 여의도의 13배 면적에 3만
-
- [사회적가치 페스타] “고독 줄이고 존엄 지키는 돌봄 모델”
-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페스타 현장에서는 일자리 못지않게 ‘돌봄 혁신’에 주목한 기업들도 돋보였다. 초고령사회에서 돌봄은 단순히 의료 서비스 차원을 넘어, 정서·문화·법적 안전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사회적 과제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집중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업들을 현장에서 만났다. △ 나나스(스프링어게인) 나나스는 사는 곳이 어디든 나답게 나이드는 스타일링을 줄인 말이다. 치매 진단 가족 돌봄 경험에서 출발한 ‘찾아가는 뷰티살롱’으로, 자택 또는 기관을 방문해 이미용과 문제성 손발톱 케어를 제공한다. “멋쟁이는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