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이후 돌발적 망상·성격 변화, 정신병 아닌 치매 조기 신호일 수도”

입력 2025-11-26 10:32

전홍준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인클리닉 교수 도움말

중년 이후에 갑자기 발생하는 돌발적 망상이나 성격 변화가 정신병이 아닌 치매 조기 신호일 수 있다는 견해가 나왔다.

전홍준<사진>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인클리닉 교수는 26일 “근거 없는 의심, 성격의 급격한 변화, 저장강박이 두드러질 경우 조현병이나 망상장애로 단정하기보다 치매 초기 변화를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매는 일반적으로 기억력 저하로 시작한다고 알려졌으나 실제 환자 중 상당수는 기억력 변화 이전에 행동·심리증상(BPSD)이 먼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 교수는 “‘물건을 훔쳐갔다’는 확신과 같은 망상, 평소와 다른 예민함이나 공격성, 필요 없는 물건을 반복적으로 쌓아두는 저장행동, 우울과 불안, 무기력을 비롯한 감정 기복 등이 주로 관찰된다”며 “이 같은 증상은 조현병 등 도파민계 이상으로 설명되는 정신병적 장애와 겉으로는 유사해 보이지만 발병 양상과 경과가 다르며, 영상검사나 신경인지검사에서 초기 치매 변화가 확인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치매를 정신병으로 오인해 장기간 정신병 치료만 받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치매로 인한 신경퇴행성 변화가 원인임에도 항정신병약 중심의 치료가 지속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전 교수는 “최근 기존 치매약과 다른 기전을 가진 항체치료제가 도입되면서 초기 진단의 임상적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특히 항체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에서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해 질병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중년 이후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는 단순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병적 장애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치매 초기 증상 가능성을 고려해 조기에 평가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증상 악화를 늦추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치매 환자 대상 금융사기 피해 확대…“치매케어 금융 필요”
    치매 환자 대상 금융사기 피해 확대…“치매케어 금융 필요”
  • ‘치매머니 154조’ 고령자 재산 보호 방안은…“후견·신탁 재설계 필요”
    ‘치매머니 154조’ 고령자 재산 보호 방안은…“후견·신탁 재설계 필요”
  • 주형환 부위원장 "고령자 재산보호 국가 책임 강화해야"
    주형환 부위원장 "고령자 재산보호 국가 책임 강화해야"
  • [AI 브리핑] 장기요양 대상 절반 치매…전담시설 14% ‘부족’ 外
    [AI 브리핑] 장기요양 대상 절반 치매…전담시설 14% ‘부족’ 外
  • “치매보험, 40~50대가 가입 적기…경증 치매 보장 잘 살펴봐야”
    “치매보험, 40~50대가 가입 적기…경증 치매 보장 잘 살펴봐야”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