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장례식장에 간 국회의원들이 인증 샷을 찍을 때 ‘엄지 척’ 포즈를 취했다가 거센 비난을 들었다. ‘엄지 척’은 사진 찍을 때 엄지를 치켜들며 찍는 것을 말한다. “호상이라 그랬다”, “좋은 세상 가라고 그랬다” 등 변명이 더 궁색했다. 위안부 할머니의 험난한 일생을 돌이켜볼 때 ‘호상’이라는 단어는 어울리지 않는다. 아무리 호상이라 해도 장례식장에서 웃는 모습으로 ‘엄지 척’까지 한 것은 지나쳤다.
단순한 인물 사진, 단체 사진 등 사진을 찍을 때 우리는 다양한 포즈를 취한다. 가만히 있으면 누군가 선동해서 통일된 포즈를 취하게도 한다. 웃는 모습을 하라며 “치즈~”, “김치~”를 권하기도 한다. 그 정도는 애교다. 주먹을 불끈 쥐고 “파이팅!”을 외치라고 주문하기도 하고 검지와 중지를 세워 빅토리(Victory)를 뜻하는 ‘V' 자를 만들라고도 한다. 요즘 유행하는 포즈는 사랑을 의미하는 하트 모양이다.
‘엄지 척’은 ‘최고’라는 뜻이다. 그것은 비교와 경쟁을 기반으로 한다. 손가락 중지와 검지로 만드는 ‘V'자가 의미하는 ‘빅토리’도 비슷하다. 젊은 사람들이라면 몰라도 시니어들이 이런 포즈를 취하는 것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누군가를 그 경쟁에서 탈락시켜야 한다. 시니어들은 양보의 미덕이 돋보여야 한다.
‘파이팅’도 그렇다. 군대도 아니고 스포츠 팀도 아닌데 파이팅해서 어쩌자는 것인지 모르겠다. 나이 들어서는 지나치거나 무리한 일을 하면 병난다. 과유불급이다. 시니어의 세계에서는 남을 이기겠다는 의지보다는 화합하고 어울리는 모습이 더 바람직하다.
두 팔로 만드는 하트 모양은 그래도 귀엽기는 하다. 그러나 엄지와 검지로 만드는 하트 모양은 비슷한 모양의 비속한 손가락 욕처럼 보여 민망하다. 아이들도 아니고 어른이라서 채신머리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개성 있게 보이는 것은 점프해 공중에 떠 있는 순간을 찍은 사진이다.
가장 자연스러운 모습은 대부분 스냅 사진에 담긴다. 스냅 사진은 자연스러운 표정이나 일상의 모습을 순간적으로 찍는 사진을 말한다. 단체 사진을 찍을 때도 그러면 좋겠다. 단체 사진을 찍을 때 마치 임시정부 수립 때 비장한 각오로 사진을 찍던 사람들처럼 포즈를 취할 필요는 없다. 무슨 중요 서류에 들어갈 자료도 아니고 당시 누가 참석했는지 기억할 수 있게 해주면 된다. 그러므로 누가 앞자리 중앙에 앉고 뒤에 서고를 놓고 신경전을 벌일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