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위에 80세가 넘으신 분들과 직접 대화를 해보면 친구가 없다고 한다. 아니 자연히 없어지더라고 말씀하신다. 살아 있지만 거동이 불편하고 약주 한 잔 함께 나누지 못할 정도 건강이 뒷받침 되지 않는 친구는 더 이상 친구가 아니다. 이들은 자연히 멀어지더라고 한다. 게다가 친구 몇몇은 경제적 사정으로 만 원 한장도 수중에 없는 노인들이여서 만나기를 피하고 이런 사람들과 억지로 만나서 뭔 말을 하겠느냐고 한다. 농촌 마을도 별반 차이가 없다. 마을 경로당에 할머니, 할아버지가 모이지만 농사일도 해야 하고 누군가 새로운 소식을 공급해 주지 않는 한 만날 이유는 점점 희박해진다. 텔레비전으로 사람들이 모여 화기애애한 경로당의 모습보다 텅텅 비어있는 농촌 경로당을 자주 보면서 안타깝다. 친구는 힘 있을 때 돈 있을 때 친구가 필요하다.
올해 98세의 김형석 교수님의 ‘인생백년을 살아보니’ 라는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교수님의 강의 중 친한 친구 세 사람의 이야기가 나온다. 모두가 유명한 철학교수다. 이중 한분이 이제 살날도 많지 않은데 우리 자주만나 친하게 지내자고 제의를 했다. 그런데 다른 한분이 말씀하시길 맞는 말이지만 친하게 지내다가 먼저 저세상으로 가면 남아있는 사람의 슬픔을 생각해 봤느냐며 그냥 이정도 친분으로 지내자고 했다고 한다. 인생의 저승길은 누구라도 동행인이 없다. 혼자 가야 한다.
불교경전에 인생이란 원래 홀로 태어나 홀로 죽는다는 의미의 독생독사(獨生獨死)가 있다.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와 한역(漢譯)된 말이다. 카필라성의 왕자 싯다르타는 출가하는 날 자기와 함께 왕궁을 나온 마부 ‘찬나’에게 ‘카필라 성으로 돌아가라’고 했다. 찬나는 ‘무서운 짐승이 우글거리고 길도 험한데 왕자님을 혼자 내버려두고 왕궁으로 돌아갈 수 없다.’ 고 말을 했다. 싯다르타는 이렇게 대답했다. ‘찬나야 인생이란 홀로 태어나 홀로 죽는 것이다. 어찌 동반자가 있겠느냐? 고 대답을 했다. 독생독사란 말이 여기서 나온다. 필연적으로 인생길은 혼자다. 마음에 맞지 않는 친구와 마음을 맞추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자신과 친구가 되도록 노력하자. 나는 나와 제일 잘 맞는다.
나이 들어 애완동물을 키우는 분들을 보면서 반려동물에게 너무 깊은 정을 주지 말아야 할 텐데 하는 걱정이 앞선다. 애완동물은 사람보다 수명이 짧다. 자칫 정이 깊어지면 마음의 상처를 받고 슬픔에 복 받혀 거액을 들여 거창한 반려동물 장례절차를 치루지만 마음만 더 공허 해진다. 나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의 죽음은 특별한 감정의 동요가 없다. 하지만 배우자의 죽음처럼 친밀도가 깊으면 깊을수록 슬픔이 배가될 것이라는 점은 직접 겪어보지 않아도 짐작은 된다.
나이 들수록 혼자 노는 방법에 익숙해야 한다. 먹은 나이만큼 함께 살아온 자신이 가장 좋은 친구다. 혼자 밥을 먹고 혼자 술을 먹고 혼자 산에 가는 연습을 해야 한다. 고독력 키우기다. 나를 알고 나와 친해지고 ‘나는 나하고 제일 잘 맞아!’ 라는 말을 연습하는 것이 노년을 잘 보낸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